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Author(s)
- 정세환
- Issued Date
- 2013
- Keyword
- 무인도,비형식,교육기관,환경교육,체험활동,프로그램 개발
- Abstract
- 본 연구는 환경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국가 간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국민이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지식․기능․태도․가치관의 환경교육의 목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특정한 장소를 배경으로 답사형식의 탐사활동이 아닌 “무엇을 탐사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참가자에게 숙고하도록 하며, 문제의식을 토출해내기 위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특징과 교육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1단계 프로그램 개발 단계, 2단계 적용단계, 3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의 3단계로 진행 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주로 프로그램 운영의 전반적인 사항을 계획 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장에 초점을 맞춰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수정·보완하여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2단계 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주제별 과제의 내용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본 프로그램의 특징, 적용 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직접 참관하고, 사진·비디오 촬영, 설문지, 강사의 인터뷰를 수집하였다. 3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코드화된 분석틀에 코딩작업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특징, 적용 후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7개의 주제, 동·식물, 대기, 해양1,해양2, 천문, 지질의 내용을 개별적인 분석의 결과, 행동 및 참여(Action & Participation : P)의 목표 중 직접적인 체험제공의 목표가 전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7 물 부족 해결 해수 담수화의 과제가 행동 및 참여의 목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기부여(Motivation : M)의 목표중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제시의 목표가 전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 2 육상동물 및 해안무척추동물, 과제3 무인도에서 바라보는 여름철 별자리, 과제 4 무인도의 지질조사, 과제5 무인도의 기상요소 분석의 주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과 강사의 교육 효과로는 환경교육의 목표에 대한 설문 결과 정보 및 지식의 목표(Information & Knowledge, Awareness : K)의 주제별 강의를 통하여 충분한 지식 전달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질문에 96%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기능(Skill : S)과 가치 및 태도(Value & Attitude : A)를 묻는 교재와 장소의 적절성을 묻는 대답에 각각 96%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강사의 인터뷰를 통한 본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로는 충분히 무인도가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제시를 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접촉제공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체험을 강조하며 환경 관련 자료 수집 및 해석 능력을 함양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인도생태탐사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내릴 수 있다. 첫 번째 무인도를 이용한 성공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적용의 전후에 있어서 사전교육 및 사후교육이 보강되어야 하며 두 번째, 성공적인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기획하는 사람과 강의 내용을 개발하는 사람, 그리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전체적인 워크숍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세 번째 무인도를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인도에 대한 인식부터 강화되고 변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는 환경교육의 목표에 더욱 접근하기 위하여 다양한 과제를 제시하고 주제별 내용의 통합적인 개발 틀을 제시하여 주제별 내용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인도와 같은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자연 그대로 보존이 되어 환경교육으로 가치가 있는 다양한 장소들을 찾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maximiz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 which people need to conserve the environment and improve necessary knowledge, capability, attitude and value, the educational program must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special place as background to proceed. This program was to make participants to make decision what question they explore, how they investigate, and what they have learned. In order to draw critical mind, it looks into program characteristic and training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ll of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eps. The first phase was to develop the program. The second phase was to implement the program. The third phase wa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 from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first phase, the overall plan for the program was progressed. Through th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field. and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ramework was designed to modify. The second phas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field. Explor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nd direct observation, the data (photos, video recording, questionnaire, interview instructors) were collected. The third phase, th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program and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how much the program was well developed with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were as follows. Seven different content which covered the area of animals, plants, atmosphere, Marin 1, Marine 2, Astronomical and Geological were analyzed by the analyzing frame of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One of the goals in Action & Participation: P, which was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target, was 55 % of the total counted objectives frequencies and it was the highest in the entire. Chapter 7 ‘In solving water shortage, Desalination' behavior and the challenges are high compared to other targets. One of the targets from Motivation: M, which is aiming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utilizing on the surrounded field, is highest in 56%. Chapter 2 ‘Land animals’ and ‘Coastal invertebrates’, Chapter 3 ‘In looking at the uninhabited summer constellations’, Chapter 4 ‘Geological Survey of uninhabited’ Chapter 5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elements uninhabited’ are higher compared to the ot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results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oal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formation & Knowledge, Awareness: K) of the program on the topic of the lecture was delivered sufficient knowledge about yourself. think that question. 96% of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action. 96% of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for the Function (Skill: S)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Value & Attitude: A) the question (specifically: books and place). Collection is the result of the instructor's interview.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an uninhabited island of the uniqueness of the presentation is to motivate. Students in Desert Island is providing for all things through direct contact and experience in the field emphasized. In addition, the interior of uninhabited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itself can be present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ble to mak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with uninhabited island in order to run a successfu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are required. Second, the successful activities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eople must be trained in pre-workshop. Third, with uninhabited island for the suc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on uninhabited island a strengthening awareness should be changed. Thus, for the future research it needs more accessible to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 to provide a variety of thematic development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Presenting topics that complement the lack of inform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And nature preserves to find an uninhabited island in the value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a meaningful one.
- Alternative Title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t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 The Case of Experiential Activity-Centered Program at Uninhabited Island
- Alternative Author(s)
- Jung, Se Hwa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지구과학과
- Advisor
- 박영신
- Awarded Date
- 2013-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I. 서론
I. 이론적 배경
A. 환경교육의 출현 배경
B. 비형식적 환경교육
1. 사회환경교육
C. 체험환경교육
1. 특정한 장소를 활용한 체험환경교육
III. 연구 방법
A. 연구과정
1. 체험활동장소
2. 연구대상
B. 연구내용
1. 1단계 프로그램 개발
2. 2단계 프로그램 적용
IV. 연구결과
A.무인도생태탐사 프로그램의 특징
1. 과제별 내용의 특징 분석
2. 프로그램의 포괄적 특징
B. 무인도생태탐사 프로그램의 적용 교육효과
1. 참여 학생의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
2. 강사의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
V. 결론 및 제언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정세환. (2013). 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92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997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