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교회정관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교회분쟁 해결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소재열
Issued Date
2013
Abstract
A Study of Civil Law on Articles of Church
- Focusing on the Resolution of Church Schisms -

So, Jae-Youl
Advisor : Prof. Kang, Hyuck-Shin, Ph.D.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n association is a personal organization for which many people gather for joint purposes and if it acquires legal personality based on the registration of corporation, it can be a corporation and if not, it becomes an association without legal personality. The organizations which are regarded as non-legal association follow precedents-oriented theories. One of non-legal associations which are recognized by precedents is church. The court identifies its reality based on the general theories of the Civil Law on non-legal association to settle discords on legal relations and decides whether it has to be judicially reviewed as church is a non-legal association. However, legal relations of church has lots of problems. As our Civil Law has a special institution of Gesamteigentum on revert of its property, its complication is increasing.
As church is a personal organization, continuous discords happen. The discords lead to property disputes and defects in judgement and procedures cause discords. One of important reasons of such discords is illegal behaviors of church. The standards to judge such illegal behaviors are the church articles and constitutions which are regarded as self-governing regulations. The problems are lack of recognition on importance of the articles, vagueness and imperfection of regulations, and ignorance of legal relations of the articles which are reasons of church discords. In considering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the internal relations of church as a non-legal association shall follow the regulations on corporation unless there are no regulations in other articles except the cases in respect to legal personality, or as long as there are no special conditions such as articles of corporation or regulations on specific projects, except cases which are not remarkably valid in social common concepts or whose decision procedures are remarkably against justice, the articles are important data for judicial reviews of the court on the church discords.
For the judicial review in church discords in accordance to the American Judiciary Law, peculiarity of church was respected, but now, they are being considered the same as property discords of general organizations, and whether a solution of discords follows the positive law is strictly examined. That is, Japanese and Korean precedents tend to deal with discords depending on the concept of the benefit in Civil Law or 'judicial discord' rather than constitutional viewpoints while American precedents consider the freedom of religion or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in the Constitution. Our country has a judicially negative position on religious situations(interpretation of religious doctrines, religious judgement and positions in religious organizations) while it is based on a judicial activism on property discords(positions of representatives in religious corporations and property disputes according to church discords and division).
However, most of the cases involving religious organizations or churches have suffered discords on church property rather than purely religious problems or religious doctrines, or they need judgement on religious parts as the first consideration to settle property discords.
In particular, in respect to legal relations on property discords or revert, previous judgements have recognized church divisions approximately for 50 years and when a church was divided into two,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property of previous church is owned by church members at the time of division.
As church members can use and have profits from church property within the range of church activities, one part can not ask to quit the church building to the other.
However, unanimity judgement negated church division against the previous supreme court's judgement in 2006, and it was declared that if members withdraw from their religious society, more than two thirds of church members with rights to vote shall agree to it. The judgement was meaningful in that a social phenomenon of church division was dealt with not through a legal approval, but general legal principles of the Civil Law.
The articles have legal functions to prevent church discords and normative nature which regulates legal relations as self-governing regulations as they restrict those who joined newly after the articles were made as well as those who participated in making them. The court judges based on the standards presented by the Civil Law and the court itself rather than the regulations of the articles for the cases which remarkably violate the concept of justice. In considering that reasonable and objective articles are effective as standards to prevent and deal with church discords, it can be said that the articles are a useful means for more reasonable management of churches, not suppressing church activities. They should include the contents to control absolute power and corruption of church organizations. If conscientious management of church can not be expected based on human nature, it is suggested that rather the articles can protect churches and the members.

key words : church polity, non-legal association, Gesamteigentum, judgement, judicial review, church schisms, church division, foundation, revert of church property, articles of church, change of articles, principle of decision by majority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Civil Law on Articles of Church: Focusing on the Resolution of Church Schisms
Alternative Author(s)
So, Jae-Youl
Affiliation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강혁신
Awarded Date
2013-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1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7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0

제2장 교회의 자기이해와 법률관계 12

제1절 서 설 12
제2절 교회의 자기이해 13
1. 교회법에서의 교회이해 13
2. 교회의 정체 16
3. 국가와의 관계에서 교회이해 20
4. 한국 개신교회의 교회법 22
가. 장로교헌법 23
나. 감리교 교리와 장정 24
다. 성결교헌법 24
라. 기독교 대한 하나님의 성회 헌법 25
제3절 민사법의 교회이해와 법률관계 25
1. 실정법과 판례에서의 교회 26
가. 실정법의 규정 26
나. 판례상의 규정 27
2. 단체법적 성질로 본 교회이해 28
가. 단체성 또는 사단성의 표지 28
나. 교회의 정체에 따른 단체형태의 검토 30
(1) 감독정체: 로마 가톨릭교회 30
(2) 감독정체: 감리교회 31
(3) 구세군 교회정체 31
(4) 장로정체 32
(5) 회중정체 32
다. 교회의 법인격 취득 33
3.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의 교회이해 34
가. 법인 아닌 사단의 의의 34
나. 법인 아닌 사단의 법률관계에 따른 적용법규 37
(1) 총유규정 37
(2) 법인규정의 유추적용 39
다. 법인 아닌 사단인 교회의 법률적 성질 40
라. 지교회와 교단과의 법률관계 44
제4절 소 결 48

제3장 교회의 권징재판과 결의에 대한 사법심사 51

제1절 서 설 51
제2절 종교단체의 권징재판에 대한 사법심사 52
1. 부분사회의 법리 52
2. 교회 권징재판의 효력 판단에 적용되는 법리 54
3. 신분지위 등에 관한 권징재판과 판례 55
가. 대법원 1978. 12. 26. 선고 78다1118 판결 55
나. 대법원 1985. 9. 10. 선고 84다카1262 판결 56
다. 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다47193 판결 59
라. 대법원 2011. 10. 27. 선고 2009다32386 판결 60
4. 면직된 대표자의 당사자 적격에 대한 판례 62
가. 대법원 1972. 7. 24. 선고 72다1330 판결 62
나. 대법원 1981. 9. 22. 선고 81다276 판결 63
다. 대법원 1984. 7. 24. 선고 83다카2065 판결 66
5. 권징재판의 불법행위와 손해배상의 관계 68
6. 평가와 검토 69
제3절 종교단체의 결의에 대한 사법심사 70
1. 학 설 71
2. 공동의회 결의의 효력 등에 대한 판례 72
가. 대법원 2006. 2. 10. 선고 2003다63104 판결 72
나.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08다82612,82629 판결 77
다. 서울고등법원 2009. 10. 29.자 2009라579 결정 80
라. 대법원 1980. 1. 29. 선고 79다1124 판결 82
제4절 소 결 84

제4장 교회분쟁시 재산귀속에 대한 사법심사 88

제1절 서 설 88
제2절 교회재산의 일반론 88
1. 교회재산의 정의 89
가. 적극재산 90
나. 소극재산 91
다. 교회헌금의 법률관계 94
2. 교회재산의 형성과정과 권리관계 94
가. 교회 개척(설립)시 재산 94
나. 교회 설립 후 형성된 재산 96
3. 교회재산의 공시문제 96
가. 지교회 유지재단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 96
나. 교단의 유지재단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 97
(1) 명의신탁과 부동산실명법 98
(2) 지교회재산의 교단 유지재단에의 편입은 증여에 근거한 명의신탁 99
(3) 유지재단명의로 신탁된 교회부동산의 환원방법 101
(4) 부동산실명법을 위반한 지교회 자치규범의 효력 102
(5) 교단이 아닌 교단 유지재단 이사회에로의 재산 증여의 효력 103
다. 개인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 104
라. 지교회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 104
4. 교회재산의 소유형태 105
가. 민법 시행 이전의 판례 105
(1) 법인 아닌 사단인 교회의 경우 106
(2) 교회 이외 단체의 경우 107
나. 민법 시행 이후의 판례 107
(1) 분열 당시 그 교회 교도의 합유 107
(2) 분열 당시 그 교회 교도의 합유와 총유 109
5. 총유물인 교회재산의 관리ㆍ보존행위 110
가. 학 설 110
나. 입법례 111
다. 판 례 114
제3절 설립중의 교회와 청산중의 교회 119
1. 설립중의 교회 119
가. 사실관계 119
나. 원심법원의 판단 120
다. 상고심인 대법원의 판단 120
(1) 설립중의 회사의 법리를 유추적용한 문제 121
(2) 채무변제를 위한 담보와 명의신탁 122
(3) 반소, 건물명도와 부당이득 반환 문제 122
2. 청산중의 교회 123
가. 교회법에서의 교회폐쇄(해산ㆍ청산) 124
나. 청산중의 법인 아닌 사단의 성격 및 권리능력 125
다. 법인 아닌 사단인 교회청산과 민법규정의 유추적용 126
라. 청산인의 직무와 잔여재산 처리 문제 127
제4절 교회분열시 재산귀속에 대한 사법심사 128
1. 학 설 129
가. 분열 긍정설 129
(1) 공유설 130
(2) 청산설 131
(3) 이탈적 분열과 대등한 분열을 구별하는 견해 132
(4) 총유적 귀속설 132
나. 분열 부정설 133
다. 2분설 135
2. 판 례 136
가. 대법원의 종전판례 136
(1) 대법원 1971. 2. 9. 선고 70다2478 판결 136
(2) 대법원 1988. 3. 22. 선고 86다카1197 판결 138
(3) 대법원 1993. 1. 19. 선고 91다1226 전원합의체 판결 139
나. 새로운 판례(대법원 2006. 4. 20. 선고 2004다37775 전원합의체 판결) 142
(1) 사실관계 142
(2) 소송의 경과 143
(3) 판결요지 144
(4) 판결의의 147
3. 대법원 새로운 판례에 대한 검토 148
가. 적법한 절차와 결의권자 3분의 2 이상의 교단탈퇴 결의 148
나. 교단탈퇴는 설립목적으로부터의 이탈행위 150
다. 교회탈퇴와 교단탈퇴 154
라. 분쟁 해결로서 교회재산분할 규정 평가 156
마. 분쟁시 적법한 절차법에 대한 평가 158
바. 정교분리 원칙에 대한 평가 159
4. 민법개정에서의 관련 논의 160
5. 보론: 미국에서의 교회분쟁에 대한 논의 162
제5절 소 결 168

제5장 교회정관의 자치법상 구속력과 판례검토 171

제1절 서 설 171
제2절 정관의 의미와 효력 173
1. 정관의 정의 및 법리와 판례 173
가. 정관의 정의 173
나. 학설과 법리 175
다. 판 례 178
(1) 사실관계 178
(2) 판결요지 178
(3) 판결의의 178
2. 교회분쟁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 교회정관 180
가. 정관의 권력구조 규정 181
나. 교인의 권리의무 규정 184
다. 교회재산 규정 185
라. 결의절차에 대한 규정 185
제3절 교회정관의 제정과 법적 효력 186
1. 정관상 명칭과 목적 186
가. 교회 명칭 186
나. 소 속 188
다. 고유 목적 190
라. 목적의 변경과 제한 190
2. 정관제정의 주체 190
가. 담임목사 임의로 제정한 정관 190
나. 당회 임의로 제정한 정관 191
다. 교인총회로 제정한 정관 193
3. 정관제정ㆍ변경을 위한 의사정족수와 의결정족수 195
가. 정관제정 195
나. 정관변경 196
4. 정관 유무의 증명력 198
가. 당회의 교인총회 소집결의를 위한 회의록 198
나. 정관제정, 변경을 위한 공동의회 회의록 199
5. 정관 해석의 구속력 199
가. 사실관계 200
나. 판결요지 200
다. 판결의의 200
6. 정관위조와 공정증서부실기재죄 201
제4절 교회정관과 교단헌법의 법률관계 203
1. 교회정관과 교단헌법과의 관계 203
가. 교단과 총회의 개념이해 203
나. 교회정관과 교단헌법과의 관계 205
다. 교회정관과 노회규칙과의 관계 208
라. 정관상으로 담임목사 임기제와 시무투표제 규정 문제 210
2. 교회정관과 교단헌법이 교회에 적용되는 범위와 한계 211
가. 지교회의 자유로운 법률행위 211
나. 지교회재산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효력 212
다. 지교회 운영에 대한 교단헌법의 구속력 212
제5절 교회 내부징계와 권징재판 절차 214
1. 종교단체 내부의 징계규정 효력 215
가. 종교단체 내부규정의 효력 215
나. 제소금지 규정 217
다. 교회 구성원의 징계(권징) 220
라. 적법절차의 원리,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221
2. 교회 내부의 권징재판의 절차 222
가. 교회재판의 종류 223
나. 교회재판의 관할 225
다. 공소제기와 소를 제기한 원고 228
라. 재판 전 화해절차 230
마. 판결효력 239
바. 소송의 특별규칙 231
(1) 위탁판결 231
(2) 상소절차 232
(3) 재심절차 232
(4) 소원 233
(5) 치리회간의 재판규례 233
(6) 시벌과 해벌 234
제6절 정관효력이 사법심사에 미치는 영향과 판례검토 235
1. 교회분쟁시 정관의 자치법상 구속력과 적용의 한계 235
가. 소속교단의 정체에 반한 정관 규정의 효력 문제 235
나. 부제소 위반의 징계규정의 효력 문제 238
2. 불법행위에 대한 정관적용과 한계 239
3. 권징재판에 대한 사법심사의 적용범위와 정관 241
가. 권징재판에 있어서 정관의 효력 241
나. 권징재판에 대한 사법심사의 정관적용 범위 242
4. 재산분쟁에 대한 사법심사의 범위와 정관 245
가. 재산분쟁에 있어서 정관의 효력 245
나. 재산분쟁에 대한 사법심사의 정관적용 범위 246
제7절 소 결 247

제6장 결 론 249

ㆍ참고문헌 25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소재열. (2013). 교회정관에 관한 민사법적 연구 -교회분쟁 해결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82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58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3-01-08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