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의 디자인 평가 지표 연구
- Author(s)
- 김도경
- Issued Date
- 2012
- Abstract
- 지금의 도시 공간은 세분화된 사회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요구받고 있다. 도시는 시민의 보편적 소통을 위한 공적 영역과 개인의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사적영역으로 나뉘어진다. 자본주의의 발달은 소비와 생산을 위한 사적 영역의 발전만을 초래했으며 이로 인해 공적 영역의 발전은 뒤쳐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시민의식의 성장은 공공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고 도시 디자인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불균형적인 발전에 대한 치료의 일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대인은 점점 도시공간에서 다채로운 공적 활동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상호 교류와 다양성의 존중, 소통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도시공간의 공공성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도시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도시 내 시설 및 공간을 미적 가치와 기능뿐만 아니라, 배려와 소통 그리고 치유와 같은 정서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려 하고 있다. 여기에는 단순히 조형적 요소로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취향만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원하는 감성과 가치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중반 이후부터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자체의 정책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도시구조물과 가로시설물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시행 후 평가도 심의를 통한 심사 정도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달리 세계 각국의 도시들은 공공디자인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시스템을 구축해 이용자들의 요구가 피드백 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놓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요하고 의미 있는 공간으로 도시 내의 공원을 들 수 있다. 공원은 도시민이 가까이에서 휴식과 여가활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도시의 공공디자인 활성화 및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서 상위 체계 영역인 공공공간에 대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태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적인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해 도시공원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공공공간을 평가한 평가 지표를 살펴 본 연구이다. 평가 지표를 위한 항목을 선정, 설문지를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설문 항목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와 일반적 특성과의 집단 간 비교검증(t-test)을 하였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어떠한 지표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설 검증을 위해 공원 전체 평가 지표를 접근성, 활용성, 경관성, 심미성, 안전성, 지역정체성, 커뮤니티, 쾌적성, 지속가능성, 기능성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독립변수가 만족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전체 공원 이용자 만족도 검증결과 경관성, 지역정체성, 커뮤니티, 쾌적성의 평가 요인들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 요소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쾌적성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에서 장소적 의미는 사회적 활동에 대한 유대감을 갖는데 커뮤니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공원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은 지역정체성으로써 지역 문화 보존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요소는 도시공원의 디자인 계획에 있어서 상위 개념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2. 전체 공원 이용자의 추천의도 검증결과는 쾌적성, 커뮤니티, 경관성, 접근성, 안전성의 평가 요인들이 충족될 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쾌적성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의 획일적 경관으로 인해 공원의 생태적, 환경적 필요성에 대한 요구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요소인 커뮤니티는 도시 공동체의 유대적 관계를 요구하는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자연적 경관성에 대한 의식도 이용자들에게 여가 요건의 역할과 같은 의미로 설명할 수 있다. 접근성 요인의 영향은 공원 이용의 한 형태로 교통에 대한 편리함으로 나타났다.
3.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평가 요인은 경관성, 커뮤니티, 쾌적성의 요인이었다. 그중에서도 커뮤니티와 쾌적성으로 구성된 사회적 요소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 가운데의 녹지 확보는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며, 공원 내에 좋은 조망은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공원이 도시경관에 있어 랜드마크 역할과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커뮤니티는 공원 활성화의 가장 기본적 요인로 공공성이 바탕이 된 다양한 프로그램은 시민들이 공원을 방문하게 하고 한곳에 집중 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사회적 요소가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로써 가중치를 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접근성, 활용성, 경관성, 심미성, 안전성, 지역정체성, 커뮤니티, 쾌적성, 지속가능성, 기능성의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로 만족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공공공간의 도시공원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요인들보다도 경관성, 커뮤니티, 쾌적성이 사전계획 및 사후 평가 시 중요한 평가지표로써 활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표본 대상 공간으로 세 개의 장소를 선정하여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공간의 도시공원의 평가지표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평가 체계에 대한 인식의 확대를 통해 이용자의 견해를 평가에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차후의 공공공간 디자인 개발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공공디자인, 공공공간, 평가 지표, 도시공원|A Study on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of City Parks
Kim Do-Gyoung
Advisor : Prof. Mun Jung-Min, Ph.D.
Department of Desig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Modern people have diverse public activities in urban space. Therefore, the need for publicness of urban space as a field of respect of mutual exchange and diversity and communication is increasing. We are changing cities as space for emotional satisfaction such as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nd therapy as well as with aesthetic value and functions. For the changes, we should consider emotional values desired by users as well as tastes for physical environment as a sculptural element.
In Korea, recognition on public design has begun since the mid-2000. However,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tend to be inclined to urban structures and street facilities, and evaluation of their implementation is only based on judgement through deliberation. However, cities of advanced countries have integrated and organized evaluation systems on public design where feedback to users' needs is available. City park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and meaningful space. For people can be relaxed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the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which can respond to various behavioral changes of users in public space for active public design and efficient use of space. It analysed existing evaluation indexes for proper evaluation of downtown parks and activation of public space. Items for evaluation indexes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n its confidence and validity were demonstrated. To evaluate validity of components in the questionnaire,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a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independent variable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n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which indexes had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e park evaluation indicators were accessibility, usability, aesthetic visual quality, aestheticism, safety, local identity, community, pleasantness, sustainability, and functionality. Using a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compared the influences of such independent variable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ng users' satisfaction in parks, it was discovered that aesthetic visual quality, local identity, community, and pleasantness had influences on satisfaction. It indicates that satisfaction relied on environmental factors. Pleasantness had a great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respect to the meaning of parks as space, bonds for social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community.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rks were factors influencing preservation and use of local culture as local identity. Such factors are considered as superordinate concepts in design plans of city parks.
2. As a result of analysing users' intention to recommend,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influenced by factors of pleasantness, community, aesthetic visual quality, accessibility, and safety when they were satisfied. Among them, pleasantness was the most influential. It reflected the needs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necessity of parks due to uniform visual quality of cities. Community as a social factor needs bonds between urban communities Recognition on natural visual quality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terms as role of leisure conditions to users. Accessibility relied on transportational convenience.
3. Design evaluation factors that influenc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simultaneously were aesthetic visual quality, community and pleasantness. More weight was put on social factors such as community and pleasantness. Psychological stability was enhanced by greens in the center of city, in which good view is provided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So, city parks have roles as a landmark and symbolic meaning in city landscape, and various community programs based on publicness have effects to attract citizen to parks. It means that social factors can have more weight as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positively analysed the influences of accessibility, usability, aesthetic visual quality, aestheticism, safety, local identity, community, pleasantness, sustainability and functionality as design evaluation indexes of public space on us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o enhance usability of city parks in public space, this study suggests that aesthetic visual quality, community and pleasantness should be used as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s in planning and evaluation. The study has a meaning in thatit developed evaluation indexes of pubic design including human behavioral,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general andprobablespatial design beyond theframe of partial factors.
key words : public design, public space, evaluation indicators, city parks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of City Parks
- Alternative Author(s)
- Kim Do-Gyoung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 Advisor
- 문정민
- Awarded Date
- 2013-02
-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ABSTRACT ⅵ
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범위와 방법 4
C.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7
Ⅱ. 이론적 고찰 9
A. 공공공간의 의미와 특성 9
1. 공간의 공공적 특성 9
2. 도시와 공공공간 12
3. 공공공간 영역으로써 도시공원 특성 16
B. 공공디자인에 관한 고찰 25
1. 공공디자인과 도시공원 25
2. 공원의 지자체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6
3. 공공디자인에서 공원의 활성화 31
C. 소결 35
Ⅲ.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요소 추출 37
A. 디자인과 공간평가 37
1. 디자인 평가 형태 37
2. 공간 평가 형태 41
B.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추출 43
1. 선행연구의 디자인 평가 지표 요소 43
2. 공공공간 평가 지표 분류 64
3.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추출 66
C. 소결 74
Ⅳ.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75
A. 디자인 평가 지표 항목 선정 및 분석 방법 75
1. 전문가 집단의 평가 75
2. 표본의 일반적 특성 76
B. 디자인 평가 구축 77
1.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77
2.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평가 지표 설정 83
C. 소결 86
Ⅴ. 실증 분석에 의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88
A. 연구 모형 88
B. 가설의 설정 89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90
D. 실증 분석 대상 공간의 선정 기준과 특성 91
1. 분석 대상의 선정 기준 91
2. 분석 대상의 일반 특성 및 공간 구성 93
E. 실증 분석 대상의 평가 지표 분석 98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98
2. 자료 분석 방법 99
3. 연구가설의 검증 114
F. 소결 128
Ⅵ. 결론 132
참고문헌 135
부 록 140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도경. (2012). 도시공원의 디자인 평가 지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7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635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1-10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