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회화형식의 다양성을 위한 검은 그림 표현특성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유섭
Issued Date
2012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자의 연구 작품 연구자는 논문에서 연구자의 을 통해 현대추상회화에 있어서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회화에 있어서 본질이라는 문제를 대두 시킨 이유는 2차 대전이후 세계미술의 중심이 미국에서 독일로 옮겨오는 결정적 역할을 한 8,90년대 신표현주의 전성기와 이어 등장하는 새로운 표현매체들 간의 치열한 경쟁을 지켜봄이 계기이다. 그리고 현대미술사에서 가장 격동기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세기말과 새로운 세기를 지나 미디어 등 새로운 표현매체와 기법들이 주역으로 부상하는 것을 지켜보며 연구자는 역설적으로 회화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가치와 역할, 기능 등에 주목하게 되었는데 이는 회화가 전통적으로 조형예술에서 모든 생각의 방법과 표현매체의 근간이라 믿는 까닭이었다.
현대미술은 한 가지 틀로는 해석 될 수 없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발전해 왔다. 주제의 선택이 비교적 고정되어 있던 과거의 미술이 표현양식을 중점으로 발전되어 왔다면, 현대미술은 표현 대상과 매체의 선택에 중점을 두고 발전되어 왔다. 이처럼 현대미술은 주제, 기법, 표현방식에서의 다양성으로 미술의 영역과 개념자체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옴과 그것을 다루는 작가들의 다양한 표현매체를 사용한 실험적인 시도들을 통해 그 개념이 확산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처럼 변화하는 상황에서 연구자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듀상(Duchamp)이후 현대에 들어 미술의 커다란 사조, 즉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 nism)과 이탈리아 트랜스 아방가드(Trans Avant Garde), 독일의 신표현주의 (New Expressionism)의 영향이 미술에 있어 개인적인 주제로 회화에서도 더욱 다양한 스타일과 장르를 생산해 내고 있음이다. 그런 가운데 연구자는 이 미술사적 의미에서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시대사적으로 미술사적으로 회화가 한계에 도달 했을 때 보여 지는 과 또 돌파구로서 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그림들은 다양한 형식으로 해석되었는데 예를 들어 말레비츠(Malevich), 라인하르드(Reinhardt), 스텔라(Stella), 리히터(Richter) 등의 사례를 보면 그들은 을 자신의 방식으로 이슈화해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리히터 스타일 방식은 이를 잘 대변 한다. 그리고 이 프론디어적인 들은 말레비치 이후 바우하우스(Bauhaus) 기본철학으로, 라인하르드 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으로, 리히터는 신표현주의 이후 회화의 새로운 돌파구로 영향을 끼쳤음 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연구자의 을 시대사적 의미와 역할로 재 조망하고 을 연구자의 새로운 회화를 위한 실험의 장으로, 재창조 역할을 위한 하나의 제작도구(Tool)로 귀결한다. 또한 검다는 개념을 물리적 색의 개념을 포괄하는 작품의 확장된 형식개념으로서 탐구 하고,연구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으로서 의 개념을 절대주의가 지칭하는 '순수감성의 절대적 우위'로 설명한다. 이 말은 눈에 보이는 것만을 추구하는 사회 흐름에 반한 것 이지만 이것은 여전히 유효하다. 단지 사회현상뿐만 아니라 미술에 대한 많은 이슈들을 난무하는 지금 회화의 본연의 모습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연구자는 ‘무(無)형상’ 이라 칭하며 이 개념을 기법으로 환원해 주목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으로 파생된 일련의 실험작 시리즈들을 통해 그 매체적인 전환이 변화하는 동시대 회화환경에서 새로운 담론을 함의하며 나아가 이라는 창작도구로서 방식이 추상화된 세계를 고찰하고 나아가야 할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This study is for casting light up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eries of Black Paintings which are the subjects for me to study on and another series which stemmed from them and the concept and the methodology of the works.
I will attempt to concentrate upon considering the matter of ‘essence’ of modern abstract painting through the series of Black Paintings. the reason why I make this subject the first priority in painting is that I have been interested in the 1980-1990’s golden days of Neo-Expressionism which played a decisive role in getting the center of world’s art moving from Germany to America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subsequent intense competitions among new expression media. Following that new expression media and techniques such as mass media have served as leading roles since the end of the last century, I got to take note of the true value, role, function and etc. of a painting, and this is because I believe that a painting is the traditional basis of all the expression media in plastic arts.
Modern Art have developed with very various and complicated modalities which cannot be interpreted within one framework. While Pre-Modern Art which relatively had a limit in choosing subjects grew around expression modes, Modern Art have developed with the choice of expression subjects and media as centers. That is, it brought big change to the domain of art and its concept itself with the diversity of subjects, techniques, and expression ways, and the concept of Modern Art have been growing through experimental attempts by artists who have dealt with them.
Under this changing situation, the thing that I give attention to is the fact that more various styles and genres in painting have also been produced with personal issues a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s of Post-Modernism, Italian Trans Avant Garde, and German New Expressionism which are big trends of Modern Art after Duchamp. In them, I found that “Black Painting” has the art-historical meaning of ‘new beginning.’ That is, I took notice of “Black Painting” which we can see when a painting reaches art-historical limit and the one as a breakthrough of that. These paintings have been interpreted in various forms, and for example, following the cases of Malevich, Reinhardt, Stella, Richter, we can see that they got the series of paintings becoming issues in their own ways. Richter’s style especially shows that well. We can see that this series of paintings as frontier art works served as the basic philosophy of Bauhaus after Malevich, Minimalism to Reinhardt, and a new breakthrough of painting after Neo-Expressionism to Richter.
Thus, I will try to shed light upon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series of Black Painting again and conclude that this series of paintings are an experimental place for my new painting and a tool for the role of recreation. additionally, I will study on the concept of black as the extended form concept of the works embracing the one of physical colors and in the aspect of its contents, explain the concept of the works as ‘absolute priority of pure sensitivity’ which suprematism says. These expressions are against the current of the present society in which only visible things are sought but still valid. As a way to find the essence of painting in present time when too many issues of art are rampant as well as social phenomena, I will refer to this concept as the nothingness of a subject and take note of reducing it into a technique. Lastly, it can b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series of my paintings which stemmed from the series of Black Paintings, the change of media implies a new 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of painting, and furthermore, the way as tool called “Black Painting” has many potentialities to consider abstract world.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Black Painting for the Forms of Painting
Alternative Author(s)
Kim,yusob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
Advisor
조윤성
Awarded Date
2012-08
Table Of Contents
도판 목차 ⅳ
연구작품 목차 ⅴ
Abstract ⅷ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Ⅱ. 고찰 9

1. 이론적 배경 10
1.1. 검은 색에 대해 10
1.2. 무(無)형상 개념과 추상 12

2. 의 시대적 흐름 15
2.1. 20세기의 현대회화 흐름 15
2.2. 추상회화의 의미적 접근 19
2.3. 70.80년대의 시대적 상황 24

3. 의 선행 연구 27

3.1. 러시아 아방가르드 26
3.2. 혁신성- 말레비치 30
3.3. 정신적인 면-라인하르트 35
3.4. 예술로서 예술 -스텔라 39
3.5. 반형식-마크 로드코 43
3.6. 검은색의 변용과 한계 -리히터 48


4. 검은 회화의 영향 분석 54


Ⅲ. 검은 그림 59

1. 시대적 형성과 구성 59
1.1. 형성기 57
1.2. 62
1.3. 개인적인 면 64

2. 작품구성 66
2.1. 실험 영역으로서 - P1 68
2.2. - P2 72
2.2.1. 성찰 72
2.2.2. 자아 75
2.3. 변용 - P3 80

3. 재료 84


IV. 결론 91

1. 시스템 91
2. 지향 92
3. 과제 93

참고문헌 9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유섭. (2012). 회화형식의 다양성을 위한 검은 그림 표현특성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63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50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