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현대 음다 공간의 활성화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홍정숙
Issued Date
2012
Abstract
현대의 飮茶는 단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차를 문화ㆍ예술적으로 즐기는데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이는 경제성장과 문화향유의 증대에 힘입어 차문화가 대중들에게 비교적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음다 공간은 대중과 밀착될 수 있는 개방적인 공간으로 자기연출이 가능한 공간, 다양성이 보장되는 공간, 소통이 가능한 공간,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한 공간, 자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차문화 교육이 함께하는 공간 등 다양한 기능의 복합공간이어야 한다. 소비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문화와 예술의 개념이 혼용된 음다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조응하는 음다 공간으로 기능성과 편리성을 갖춘 제 3의 문화가 연출되는 장소를 창출하자는 것이다. 음다 공간은 현시대가 필요로 하는 마음의 약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발전이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을 지향하듯이 진정한 음다 공간도 어디서나 주변 환경의 일부처럼 느껴지도록 조성해야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Way to vitalize Modern Drinking Tea Space
Alternative Author(s)
Hong Jeong Sook
Affiliation
조선대학과 대학원 국제차문화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제차문화학과
Advisor
김하림
Awarded Date
2012-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방법과 내용 3

제2장 음다 공간의 정의와 구성 요소 10
제1절 음다 공간의 정의 10
제2절 음다 공간의 변천 및 구분 14
제3절 음다 공간의 구성 요소 30

제3장 한ㆍ중ㆍ일 음다 공간의 특징 55
제1절 한국의 음다 공간 55
제2절 중국의 음다 공간 86
제3절 일본의 음다 공간 105

제4장 한ㆍ중ㆍ일 음다 공간의 비교 129
제1절 한ㆍ중ㆍ일 음다 공간의 공통점 129
제2절 정원문화를 통해 본 음다 공간의 공통점 148
제3절 한ㆍ중ㆍ일 음다 공간의 상이점 150

제5장 현대 음다 공간의 활성화 방안 157
제1절 현대 음다 공간의 필요성 157
제2절 전통적 음다 공간의 재조명 160
제3절 현대 음다 공간의 활용 방안 170

제6장 결론 176

참고문헌 17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홍정숙. (2012). 현대 음다 공간의 활성화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63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349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8-09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