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호남 장수벨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체계적 접근 :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공민
Issued Date
2011
Abstract
호남 장수벨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체계적 접근
-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


조 공 민
지도교수 : 김 용 섭
사회복지학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호남 장수벨트 노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체계적 접근과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밝혀내어 이를 기초로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 방안 및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유용한 노인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다가오는 초고령화 사회의 현상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미 고령사회에 속한 농촌 후기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살펴봄으로써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호남 장수벨트 노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들을 탐색하고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위해 각 하위 생태체계 요인을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의 네 가지로 구성하였다. 개인체계 요인으로는 자존감, 신체적 건강, 경제능력, 미시체계 요인으로는 배우자 관계, 자녀관계, 중간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여가활동 참여, 주거환경 만족, 거시체계 요인으로는 개인주의, 집단주의, 사회 신뢰 등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2011년 3월 7일부터 5월 20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전라남도 구례군, 곡성군, 담양군과 전라북도 순창군의 노인복지관, 경로당, 공공기관 내 노인대학, 무료급식소 등의 75세 이상 후기 노인 3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표준편차, 신뢰도, t-test, ANOVA 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은 남자노인이,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이 높을수록, 종교활동을 하는 경우, 배우자나 기혼자녀와 함께 동거하는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비생계형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일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개인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이 높을수록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부적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능력이 높을수록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미시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정적정서는 높고 부적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중간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는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부적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환경만족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거시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집단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부적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적정서에는 자녀관계, 집단주의, 신체적 건강, 사회신뢰, 사회적 지지, 배우자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부적정서에는 자녀관계, 집단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는 배우자 관계, 집단주의, 여가활동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노인의 생태체계별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개인체계 요인인 자존감, 신체적 건강, 경제능력, 미시체계 요인인 배우자 관계, 자녀관계, 중간체계 요인인 사회적 지지, 여가활동 참여, 주거환경 만족, 거시체계 요인인 집단주의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정적정서, 부적정서,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거시체계 요인인 개인주의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정적정서, 부적정서,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신뢰는 감사성향을 통한 간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접근에 있어서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생태체계적 접근이 실증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둘째, 노인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영향력의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생태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노인의 자존감, 신체적 건강, 경제능력, 배우자 관계, 자녀관계, 사회적 지지, 여가활동 참여, 주거환경 만족, 개인주의, 집단주의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안녕감의 개념을 정서적 개념과 인지적 개념을 사용하여 안녕감을 의료적 측면이 아닌 건강한 측면의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있어 감사성향이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만큼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 요인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감사성향을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ABSTRACT


A Ecological Systematic Approach on Subjective Well-being of Honam Longevity Belt Elderly
: Mediated Effect of Gratitude Inclination


Gong-min, Cho
Advisor : Prof. Yong-seob, Kim,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of gratitude inclination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ecological systematical approach on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s representative Honam longevity belt elderly and to present useful elderly welfare policy and social welfare practice measures preparing for the aging society and measures for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in terms of social welfare based on it in the situation where aging is rapidly developing.
This is because it can be a model to prepare comprehensive measures by examining subjective well-being of rural elderly in late years who already belonged to the aging society based on interests and critical minds on the phenomenon of coming the super aging society.
To explore ecological systematic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Honam longevity belt elderly and identify relative influence, this study composed each sub ecological systematic factor as four kinds such as personal system, microsystem, intermediate system, macrosystem.
dignity, physical health, economic capacity were selected as personal system factors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s microsystem factors and social suppor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s intermediate system factors and individualism, collectivism, social trust as macrosystem factor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March 7 to May 20 2011 and was conducted targeting 323 elderly in late years aged 75 or older of soup kitchens, Elder’s colleges in public institutions, senior citizen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etc. of Jeollanamdo Guryegun, Gokseonggun, Damyanggun and Jeollabukdo Sunchanggun.
To verify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etc.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7.0 for Windows program.
The main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appeared high if they are males, as their age is lower, as they are highly educated, if they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if spouses or married children live together, if they have no chronic diseases, as average monthly income is higher, if they engage in non-livelihood type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of personal system factors of the elderly o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the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area of subjective well-being.
As self-esteem is higher and physical health is better,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nd negative affect appeared low.
Also, higher economic capabilit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of microsystem factors of the elderly o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the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area of subjective well-being.
It turned out that a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s better, positive affect is high and negative affect is low and life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is bett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s better.
Four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intermediate system factors of the elderly o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they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ub-area of subjective well-being.
It turned out tha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increased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nd lowered positive affec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s affect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Fif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macrosystem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as collectivism inclination is higher,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ppeared high and negative affect low.
Also, lower individualism inclination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ixth, the result of examining relative impact of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showed that it appeared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collectivism, physical health, social trust, social support, relationship with spouse in positive affect.
It appeared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with children, collectivism in negative affect. In life satisfactio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with spouse, collectivis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eventh,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inclination in subjective well-being and factors by ecological system of the elderly showed that dignity, physical health, economic capacity which are personal system factors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ch are microsystem factors and social suppor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hich are intermediate system factors and collectivism which is a macrosystem factor have a direct․indirect influence 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hich are sub areas of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individualism, a macrosystem factor, appeared not to affect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hich are sub areas of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indirectly and social trust showed only indirect effects through gratitude inclination.
The following significances we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in the approach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ecological systematic approach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 environment is applied empirically.
Seco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difference of influence was identified more specifically.
Among ecological systematic factors,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turned out to be dignity of the elderly, physical health, economic capacity, relationship with spou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social suppor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Third, by using emotional concept and cognitive concept, an approach of healthy aspect on well-being, not medical aspect was presented for the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Fourth, gratitude inclination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but study for this is incomplete an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ecological systematical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by using gratitude inclination as a parameter.

Key words : Honam Longevity Belt elderly, Subjective Well-being, Ecological Systematic Approach, Gratitude Inclination.
Alternative Title
A Ecological Systematic Approach on Subjective Well-being of Honam Longevity Belt Elderly : Mediated Effect of Gratitude Inclination
Alternative Author(s)
Cho, Gong Mi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용섭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5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장수벨트 7
1. 장수도의 개념 7
2. 장수벨트의 선정 8
3. 장수벨트의 변천 9
제2절 주관적 안녕감 11
1. 주관적 안녕감의 개념과 구성요소 11
2. 주관적 안녕감의 관점 15
제3절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체계 영향요인 18
1. 생태체계 접근과 유용성 18
2. 개인체계 요인 22
3. 미시체계 요인 28
4. 중간체계 요인 30
5. 거시체계 요인 36
제4절 감사성향 41
1. 감사성향의 개념 41
2.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 43
3. 생태체계 요인과 감사성향 44
제3장 연구 설계
제1절 연구모형 46
1. 변수의 선정 46
2. 연구모형의 정립 47
제2절 연구가설 48
1. 생태체계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48
2. 생태체계 요인과 감사성향 49
제3절 변수의 정의와 조사 도구 내용 50
1. 개인체계 요인 50
2. 미시체계 요인 51
3. 중간체계 요인 52
4. 거시체계 요인 53
5. 주관적 안녕감 54
6. 감사성향 55
제4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56
1. 자료의 수집 56
2. 자료의 분석 56
제4장 실증 분석
제1절 기술통계 분석 58
1. 표본의 특성 58
2. 생태체계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내용분석 60
3. 표본의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분석 61
4.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69
제2절 가설검증 71
1. 생태체계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71
2.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 76
3. 생태체계 요인과 감사성향 82
제3절 분석결과의 논의 88
1. 특성별 차이분석 결과 88
2. 가설검증의 결과 89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96
제2절 연구결과 시사점 98
1. 이론적 시사 98
2. 정책적 시사 98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01
참고문헌 102
부록1. 설 문 지 119
부록2. 척도들의 분석결과 12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공민. (2011). 호남 장수벨트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생태체계적 접근 :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49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702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