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차(茶)생활이 청소년의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공귀옥
Issued Date
2011
Abstract
초 록


요즈음 청소년들은 입시나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차생활을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감정을 조절하여 조화롭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정신 장애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차생활을 심리학적으로 해석하여 방법으로 제시하고 그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식으로 하였다. 먼저 이론연구에서는 차의 효능과 심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변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생활 방법을 모색하였다.그리고 이어 차생활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연구를 2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MMPI-A(다면적인성검사)를 실험 측정 도구로 해서 차생활을 효과를 검증하였고 2단계는 상담사례를 통해 질적으로 차생활 효과를 검증하였다. MMPI-A를 실험 측정 도구로 해서 양적으로 차생활을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숭의고등학교 1,2학년 학생 중에서 30명을 선정하여 학생 20명은 실험집단으로 하고 10명은 통제집단으로 해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 20명은 둘로 나누어 10명은 비 발효차인 녹차를 이용한 차생활을 실시하였고, 10명은 발효차인 홍차를 이용한 차생활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는 2010년 6월 1일에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한 차생활은 2010년 9월 1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 20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2011년 6월 10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MMPI-A를 이용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차생활이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방법은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간 심리변화의 사전. 사후 차이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여 t-test를 실시하어 비교하였다. 둘째 한 집단은 비 발효차인 녹차를 음용하는 차생활을 실행 하고 다른 한 집단은 발효차인 홍차를 음용하는 차생활을 실시하여 2종류의 차생활이 심리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차생활을 실시한 전후의 심리치료 효과를 알아본 결과, 비 발효차생활을 한 경우울증과 내향성에 임상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 발효차인 녹차를 이용한 차생활 집단과 발효차를 이용한 차생활 집단을 비교한 결과 비 발효차를 이용한 학생들이 발효차를 이용한 학생보다 우울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발효차를 이용한 차생활 또한 비 발효차를 이용한 차생활에는 못 미치지만 우울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단계 실험으로 문제해결 차원에서 차생활을 이용한 분노치료를 실시하였다.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차생활이 문제해결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심리치료 효과의 원인은 현재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차생활이 마음비우기를 狙되求 다도(茶道)가 상실감을 극복하고, 자연의 이치에 따른 다례(茶禮)가 긍정적 사고를 키우고, 미적 승화를 추구하는 다예(茶藝)가 자기애를 길러주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차생활 자체의 특성을 합리적으로 사용하면 차생활 활용범위를 넓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차 생활과 심리학을 접목여 심리치료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차 생활 심리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ABSTRACT

The Effect of Tea Life in Psychological Changes
in Adolescents

- Focusing on an Analysis of MMPI-A Results-


Kong Kuy-Ok
Advisor : Prof. Hwang, Byung Ha, Ph. 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ea Cultu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se days adolescents are under a great deal of psychological stress due to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ir surrounding circumstances. Thus,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help these people reflect on themselves, control their emotions, and lead a harmonious and happy life through tea life.
Progression of this study involves giving shape to a method of tea lif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and verifying effects of the method. First, in a theoretical study, an efficacy of tea and factors for psychological changes affecting psychological changes were considered and methods of tea life were explored, followed by the second phase of an experimental study to verify the effects of tea life. In the first phase, the effects of the tea life were demonstrated using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A) as an experimental measurement tool, and in the second phase, the effects of tea life were qualitatively verified using counseling case examples. For a study that quantitativel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tea life with an experimental measurement tool of MMPI-A, 3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1st and 2nd grades of Sungeui High School located in Gwangju with 20 students chosen as a test group and 10 students as a control group.
The test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consisting of 10 students subjected to a tea life using unfermented green tea and the remaining 10 students leading a tea life using fermented black tea. Pre-tests for the two groups were carried out on June 1, 2010. The tea life program for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a total of twenty sessions from September 1, 2010 to May 30, 2011. Subsequently, post-tests using MMPI-A were given to both test and control groups on June 10, 2011, and the effects of tea life on psychological chan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for the measurement method, differences between prior and post psychological changes for test and control groups were first calculated in term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s were conducted for comparisons. Secondly, the effects of two kinds of tea life on psychological chang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having one group to practice a tea lfe of drinking unfermented green tea with a meaning placed on internal reflections and the other group to conduct a tea life of drinking fermented black tea with a focus on artistic sublim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effects of the tea life on psychological changes:
First, an investigation of the psychological treatment effects before and after executing the tea life program indicated that the life with unfermented tea had a clinical effect on mild depression and introversion.
Second, a comparison between the tea life group using unfermented green tea and that using fermented black tea showed that the subjects administered unfermented tea showed fewer signs of depression than those given fermented tea.
Third, it could be seen that drinking fermented tea was somewhat effective for depression although the effect did not match that with unfermented tea.
In addition, actual counseling was performed on a dimension to resolve problems in a second phase experiment. An investigation of clinical effects of tea life through actual counseling cases verified that the tea life had an effect on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roblem resolution. The reason that it may be effective for depression is as follows. Depression is caused by a sense of loss, negative life events, or the lack of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tea ceremony and manners with a practice of emptying one's mind in the tea life overcomes the sense of loss, tea ceremony complying with the logic of nature encourages a positive thinking, and tea art pursuing aesthetic sublimation nurtures self love so as to heal the depression.
The above study results can be seen to demonstrate that tea life helps us to develop an ability to reflect on oneself, have a positive thinking and put a control on emotions. Thus despite being limited, it is our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ay contribute in utilizing the tea life in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ea Life in Psychological Changes in Adolescents
Alternative Author(s)
Kong Kuy-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국제차문화학과
Advisor
황병하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제2장 차생활의 개념과 차의 정신적 특성 8
제1절 차생활의 개념 8
제2절 문헌을 통해 살펴본 차생활의 의미 14
1. 중국 문헌을 통해 살펴본 차생활의 의미 14
2. 한국 문헌을 통해 살펴본 차생활의 의미 18
제3절 차생활에 내재된 차의 정신 21
1. 차의 기본 정신 22
2. 시대별 차의 정신 24
3. 차생활 유형에 따른 차의 정신 37
제4절 차 성분의 정신적 특성 40

제3장 차생활과 심리변화의 상관관계 46
제1절 차생활과 심리변화에 관한 선행연구 46
제2절 차생활에 내재된 심리변화의 요인 49
1. 일반 상담기법과의 공통적 심리변화 요인 50
2. 차생활 고유의 심리변화요인 57
3. 차생활의 신체 변화 효과 68
제3절 심리변화 요인이 일상에 미치는 영향 69

제4장 심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차생활 방법 72
제1절 현재의 인성교육 방법 73
제2절 차생활에 내재된 상담기법 74
제3절 심리변화를 위한 차생활 방법 75
제4절 서양의 심리치료 방법과 차생활의 차이점 82

제5장 경험적 연구 87
제1절 예비연구: MBTI를 통해 알아본 차생활 효과 87
제2절 양적연구: MMPI-A를 통해 알아본 차생활 효과 89
1. 연구 진행방법 89
2. 연구 기간에 이루어진 차생활 내용 93
3. MMPI-A를 이용한 양적 연구의 결과 분석 99
제3절 질적 연구: 분노해결을 위한 차생활 사례 108

제6장 결론 및 제언 126
참고문헌 129
부록1 133
부록2 134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공귀옥. (2011). 차(茶)생활이 청소년의 심리변화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44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94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