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덕남
Issued Date
2011
Abstract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관한 연구로써 그들이 이국땅에서 소수자로 살아가며 겪게 되는 체험에 귀를 기울이고, 이들의 체험에 내재된 근원적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진정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이주노동자의 체험 세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는 인간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실존범주(Lifeworld Existentials)- 몸, 관계, 시간, 공간 - 을 중심으로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의 본질의미를 탐구하였다.
실존적 탐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이주남성노동자 필리핀인 두 명, 동티모르인 두 명, 베트남인 한 명, 태국인 한 명, 총 여섯 명으로 그들의 생애사적 내러티브를 통해 얻어진 녹취록과 문헌 기록 및 연구논문 탐독, 다문화 소설, 정기 간행물, 영상물 시청, 다문화행사 참석 등을 통해, 이주남성노동자와 관련된 고유 성향이나 특징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물을 토대로 네 가지 실존범주에 고유한 체험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범주에서 도출된 주제들을 공통된 실존의 체험으로 다시 유형화시켜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이 때 각각의 이야기는 연구참여자들의 실존적 시간 의식을 따라 가면서 반성적으로 해석한 체험의 의미를 파악하여 하나의 줄거리로 엮어 내었고, 최종적으로 삶의 체험을 통한 본질적 의미를 밝혀 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자국의 취약한 경제구조의 상황으로, 온 식구들이 아침부터 밤까지 농사를 짓고 밭일에 매달려야 하는 열심히 일을 해도 먹고 살기가 빠듯한 삶을 살고 있었다. 대학원을 졸업해도 좋은 직장을 찾기도 어렵고, 직장을 갖는다 해도 가정을 꾸려 나가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입이다 보니, 열심히 뛰어도 몸만 고되고 가정 형편은 나아지지 않았다. 참여자들 모두는 부모, 자녀들, 형제자매의 뒷바라지를 위하여, 혹은 자기 자신의 못다 한 학업에 대한 욕구나 그리고 조그마한 사업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벌어 귀국한다는 소박한 꿈을 가지고 이주를 결행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꿈에 그리던 코리안 드림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에 도착한다. 하지만 코리안 드림을 실현시키기에는 현실과 이상은 차이가 많았다. 열악한 작업장 환경에, 쉬는 날도 없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다 보니, 체력에 한계를 느껴 근무지를 이탈하거나 옮기게 되어 본의 아니게 법을 어기는 불법체류자가 되어 버린다. 참여자들은 인간적 존엄성마저 짓밟히는 노동자로써, 코리안 드림을 버리지 못하고 목돈 모아 금의환향할 그 날을 꿈꾸며, 오늘도 죄인 아닌 죄인인 불법체류자의 신분으로, 몸이 아파도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여 병이 깊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다른 민족과 인종에 대한 배타의식이 강한 우리 사회의 인종관은 피부색으로 등급매기는 한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참여자들은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별과 멸시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가족의 생계는 필수이고, 부모님 집 마련, 자식과 동생들 교육, 형제 살림 돕기 등, 힘들게 벌어들인 돈을 가족을 위해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어서, 고향에서는 능력 있는 사람, 또는 영웅으로 불리우고 있었다. 어쩌면 이러한 대가가 참여자들을 고된 노동과 낯선 땅에서의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는 기축제가 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두 번째로 이주남성노동자들이 맺는 관계성은 본국에서의 원 가족들과의 끈끈한 정과 책임감에서부터 한국에서 경험하는 한국 사람들과의 이해를 바탕으로 다루었다.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모국의 취약한 경제, 사회적인 구조와 맞물려, 어릴 때부터 지긋지긋한 가난이 싫었고, 더욱이 가난이 자식한테까지 이어질까 염려스러워 힘닿는데 까지 교육을 시켜서, 자식들에게 능력 있는 애비로 인정받고 싶어 했다. 그래서 인맥을 통해 브로커를 소개받아 서류를 만드는 등, 비상수단을 써서 한국에 들어왔다. 그러나 한국에 입국하기 위해 소요된 많은 송출비용 때문에, 불법체류자가 되어서라도 한국에 남아 가족과 본인을 위한 돈 벌이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운명의 길을 걸어야 했다.
한국에 와서 장시간의 노동에 시달리다 보니, 몇 년이라는 세월이 눈 깜짝 할 사이에 지나갔고, 이젠 한국의 문화나 관습에 익숙해져 불편한 줄 모르고 지내게 되었지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표현하는 기본적 수단인 언어만큼은 좀체 익숙해지지 않았다. 한국말만 잘 하면 무식한 한국인 공장장이 잘 쓰는 ‘얌마!’의 말에도 당당히 대꾸하며, 속 시원하게 맞서기도 해 보겠지만, 하고 싶은 말은 입 안에서만 맴 돌 뿐이다.
소통의 부재에서 오는 위축감으로 참여자들은 때로는 좌절을 느끼기도 하지만, 고국에서 자신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걸고 있는 가족들을 생각하며 나름대로의 인내와 저항의식을 키우면서 이국땅에서 삶을 불태우며 살아간다.
처음에는 서툴고 힘든 일이지만 점 점 시간이 가면서 익숙해지고 능숙해 지는 것에 보람을 느끼며, 자기 앞에 놓여진 상황을 깊이 인식하며, 견뎌 내며 버티고 있다. 이러한 이주남성노동자들의 관계성은 공동체나 모임을 통해 고향소식도 나누고 정보도 나누면서, 한국사람 대하는 방법과 기술도 배우고 친목도 쌓으면서 세계화와 주류사회를 향하여 이질적인 타자로서, 그들과 구별 짓는 가운데, 자신들만의 적극적인 관계형성을 구축해 나간다.

세 번째, 이주남성노동자들이 체험한 시간은 각자 처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체험의 과정에 대한 의미를 새기면서 구조화시켜 나갔다.
세계화는 국경을 넘는 지구적 경쟁을 가속화시키면서 개인과 가족에게 생존전략을 모색하게 했고, 이러한 생존전략으로서 선택된 이주는 이주노동자 가족들을 장기적으로 이산하는 경험을 하게 했다.
한국의 외국인력 정책은 가족을 데리고 오는 것을 금지할 뿐 아니라, 한국에서 태어난 가족에 대해서도 육아, 교육 등 가족복지에 대한 혜택을 전혀 제공하지 않고 있어서, 한국에서 태어난 참여자 자녀는 본국에 있는 외가에서 살게 하고 있다. 보고 싶어도 갈 수 없는 불법체류자이기에 밤마다 그리움을 삭히면서, 부지런히 돈을 모아 만날 날만을 손꼽고 있다.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코리안드림’을 행운으로 여기고 꿈과 희망을 품고 한국에 왔지만, 현실은 너무도 가혹하고 비참하다. 어쩔 수 없이 처절한 삶을 영위해가고 있지만, 그러한 삶 속에서도 살아남기 위한 ‘생의 의지’ 또한 매우 강렬하다. 그들은 한국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며 나름대로의 저항의식을 키우면서, 이국땅에서 오늘도 싼거리 야채와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고, 지금처럼 고물가 시대에는 가족의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사용한 핸드폰 사용횟수를 줄여 생활비 부담을 적게 하고 있다.
한국에서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며 살고 있는 참여자 5를 제외한 참여자 모두의 월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본국으로의 송금이다. 그들은 평균 급여의 70.7%를 본국으로 송금하고 있으며 동티모르나 태국출신 참여자는 본국에 임금의 90%이상을 송금하고 있다. 참여자 1은 한국에 오기 전까지 직장에서 주는 월급으로는 네 식구 건사하기도 힘들고, 집 한 칸도 없이 겨우 굶주림만 면할 정도였으나, 한국에 와서 번 돈으로 지금은 새로 지은 집으로 이사도 하고 아이들 교육도 충분히 할 수 있게 되어, 마을에서 부러워하는 집이 되었다.

네 번째로 연구참여자들이 머무는 공간의 본질적인 구조는 ‘경계안의 세계와 경계 밖의 세계’에 머무는 이중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체험하는 공간은 출신국의 취약한 경제구조로 인해, 자국에서는 더 이상의 희망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공간을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족의 삶을 풍족하게 하고 경제적인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국가로 이주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하지만 더 나은 삶의 가능성을 찾아 나섰던 머나먼 곳은 꿈과 이상을 실현시킬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넘어야하는 장벽들이 산재해 있었다. 이주남성노동자들은 ‘우리 안에 금을 치고’ 있는 거주국에서 ‘금 밖의 존재’로 밀려나 소외된 삶을 살고 있지만, 이국땅에서의 오랜 시간은 오히려 거주국 사람과 비슷한 사고와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자신들을 발견하게 된다.

급속한 경제성장과 잇따른 국제대회 개최를 통해, 주변 아시아 국가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코리아 ... 코리아 ... 는 이주노동을 꿈꾸는 젊은 연구참여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했다. 하지만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참여자들은 바다를 건너 이 나라로 왔지만 주류사회와 그들 사이에 있는 금을 건너지 못했다. 금 안과 금 밖의 경계, 거기가 연구참여자들이 머물고 서 있는 자리였다. 주류사회로부터의 배타의식과 경계의식의 폭력은 연구참여자들의 삶을 더욱 더 고달프게 하고 경계 밖에서 게토를 형성하며 살게 했다.
소외된 계층으로서 소수의 약자의 처지이지만, 참여자들에게 있어 한국은 미래의 자신의 튼튼한 자산이 되고 있는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땅이다. 힘들고 무시당하고 보이지 않은 차별을 느끼지만, 열심히 일만 하면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며 본국의 가족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 사회의 문화와 제도에도 익숙해져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진다. 이처럼 연구참여자들은 생활수준이 불 보듯이 낮아지는 본국에, 쉽게 돌아갈 수 없다는 경제적인 절박감이 작용하고 있다. 계속 이주노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미 적응이 되어 익숙해져 있고 직장이 있는 한국에 정착하고 싶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연구참여자들에게 있어 국제 노동이주는 가족을 부양하고 자신의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되었다.

이주남성노동자들의 삶의 체험과 관련하여 연구 결과가 지닌 사회복지적 함의는 사회복지 전문가 집단에 의해 생산되는 정상화 담론에 밀려 정작 자신들의 목소리를 생산하지 못했던 사회적 약자들의 내러티브를 세상 밖으로 드러냄으로써 규격화된 사회복지 관리체계와 일상화된 실천가들의 행위와 태도가 이주남성노동자들에게 어떤 반응을 안겨 주는지 지적하고, 궁극적으로 고통 받는 이주민들을 향한 사회복지의 근원적인 가치로부터 우리 스스로가 얼마나 멀어지고 있는지를 성찰할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면담 서술 진행에 따라, 이국땅에서의 경험과정을 제시함으로서, 체험을 전후로 한 이주남성노동자들의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해석하였다. 이와 같이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있어서, 사회복지 서비스가 제공해야하는 중요한 기능적 요소를 구체화하고, 이들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 유용하고 기초적인 경험적 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의의를 지닌다.|ABSTRACT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ale Immigrant Laborers' Lived-Experiences

Lee, Duk Na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on male immigrant laborers' experiences was intended to pay attention to their experiences in a foreign nation as a minority, find the original meanings indwelling in the experiences, and thus understand the true meanings and essences of experiences. Accordingly, to deeply investigate the world of experiences immigrant labors have, this researcher explored the essential meanings of male immigrant labors' experiences by focusing on four Life-world Existentials-body, relation, time, and space-which makes up the life world of humans.
For existential exploration, data on a total of six male immigrant laborers-two Philippines, two East Timorese, one Vietnamese, and one Thailander were gathered in this study. Through the examination on recording and literatures obtained through their lifetime narratives, multi-cultural novels, periodicals, videos, and multi-cultural events,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unique dis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immigrant laborers, and reflected on the meanings of the Korean life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recorded materials,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meanings of unique experiences in terms of four life-world existentials, and materialized subjects drawn from each existential into common existential experiences to recompose episodes. At this time, each episode made a plot in the process that existential time consciousness of study participants had been followed, and then that the meaning of experiences, which had been reflectively interpreted through the memories, had been caught. And, the essential meaning through the life experiences was examined.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Due to the poor national economic structures of the participants, the male immigrant laborers whose entire family members engage in farming and work on the farm from at dawn until night merely make their ends meet no matter how hard they work. They had a small dream of earning money to financially support their parents, children, sisters and brothers, or to keep studying or to run a small business. To achieve the dream, they determined to come to Korea. They wanted to return to their own country after realizing Korean dream. But, in fac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their dream and reality in achieving the Korean dream. As they suffer from a long-hour labor in a poor work environment without taking a rest, they feel physical limitations so that they leave or move their workplace. As a result, they become illegal aliens against their will. The participants who should live as a criminal, though they are not morally, degrade to the laborers whose dignity of man is trampled down, yet still dream of returning to their home in glory with a good round sum. As an illegal alien, they don't receive any national health care services as they get sick so that sometimes their illness become more severe.
Moreover, since our society, which has strong exclusive consciousness against other races and people, classifies races as their skin color, the human rights of the participants are violated. Despite the discrimination and contempt, they are called a competent person in their home country since they naturally spend the hard earned money for their family members, such as by paying the cost of living for their family, buying a house for their parents, and giving educational support to their children and younger brothers and sisters. Such a support may be served as a critical reason that they overcome the hard labor and loneliness in a strange nation.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male immigrant laborers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close attachment and strong responsibility of their family members living in their home nation and of the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 through the experiences they have in Korea.
Since their childhood, most participants have loathed abominable poverty caused by the weak economy and social structure of their home nation. Moreover, they were afraid that the poverty would inherit their children, so they tried to educate their children as possible as they could, and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competent father by their children. For the reason, to enter into Korea, they met a broker through their personal relations and spent a lot of money in preparing relevant documents. Due to the enormous money they spent in entering into Korea, they were destined to stay in Korea to earn money for their family and themselv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become an illegal alien.
Since their arrival in Korea, several years have passed like a flash, and they got used to Korean cultures and customs, feeling comfortable with stay in Korea. But, they hardly got accustomed to speaking Korean, a fundamental tool to express their existence value. Being daunted by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y sometimes feel frustrated. Nevertheless, thinking about their family whose hope and expectation lie on them, the immigrant laborers raise endurance and resistant consciousness and work hard in a foreign nation.
Because of that, they get used and skillful to works in which they were unskilled at the beginning, feel worth living, deeply recognize what they are faced with before themselves, and endure their ordeal. As being a different kind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the mainstream societies, the male immigrant laborers create their own active relation toward the globalization and mainstream societies by sharing the news about their home country in a community or a gathering, learning how to treat Korean people, and improving friendship.
Thirdly, the male immigrant laborers structuralized their experienced time by remembering the meanings of the course of the experiences they had in their own circumstances .
Globalization accelerated the global competitiveness across the national boundaries, leading individuals and their family to seek a survival strategy and making immigrant laborers separated from their families for a long time. Korean policy on foreign laborers not only prohibits them from bringing out their family, but also prevents their Korean born children from receiving family welfare benefits such as child-care and child education.
Most participants came to Korea with a full of dream and hope, seeing 'Korean Dream' as their luck, but were faced with harsh and miserable reality in Korea. Nevertheless, they create a community in Korea and raise resistant consciousness, eating cheap vegetables and noodles. Moreover, in the high-price era, they less call their family with their cell phones, which were purchased to alleviate the nostalgic feeling of their family,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living.
All participants except for participant 5 who was married in Korea and has a family use the most amount of their salary for the remittance to their home nation. Before coming to Korea, the participant 1 hardly supported his own family with the salary he earned, and barely escaped from the hunger with no house, but, after coming to Korea, he bought a new house with the money he earned in Korea, educate his own children sufficiently, and now his neighbors are envious of him and his family.
Fourthly, the essential structure of a space where study participants stay showed duel characteristics of 'a world within the boundary and a world out of the boundary'. The long distance space wher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better life might make their dreams and ideals realized, but it is full of barriers they have to overcome.

Participants came to Korea, a land of opportunity, crossing the ocean, but failed to cross the line between themselves and the mainstream society. The boundary in between the line is where the study participants stay. The violence caused by the exclusive consciousness and boundary consciousness from the mainstream society have led the study participants to get tired in life and create a ghetto out of the boundary.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are placed as the isolated and weak class and a minority, they regard Korea as the land of opportunity to give their future strong asset and make them grow further. Being hard, being ignored, and feeling invisible discrimination, they can enjoy physical abundance and give a lot of help to their family living in their home country as they work hard. In addition, as they get used to Korean cultures and systems with the lapse of time, they want to settle down in Korea. There is another reason why they want to settle down in Korea. That is because of their economic pressure. They understand that their home nation has a low living standard, so it is not easy for them to return to the home nation. If they have to continue to do immigrant labor, they want to settle down in korea where they have a job they get used to. As an opportunity to escape from the circumstance,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international labor immigration as an opportunity to support their family and develop their future career.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ale immigrant laborers' life experiences are meaningful in the aspects that the study revealed the narratives of the social weak who failed to generate their own voices due to the normalization argument made by a professional group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that it pointed how the normalized social welfare management system and the routinely behaviors and attitudes of executors affected male immigrant laborers, and that it gave an opportunity for us to reflect on how we goes away from the original value of the socal welfare for immigrants who experience sufferings.
Alternative Titl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ale Immigrant Laborers' Lived-Experiences
Alternative Author(s)
Lee Duk-nam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용섭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목 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 문제 5

제2장 문헌고찰 6
제1절 이주남성노동자 6
1. 이주남성노동자는 누구인가? 6
2. 이주남성노동자의 발생 배경과 현황 9
제2절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대한 문헌고찰 11

제3장 연구방법 15
제1절 현상의 본질에 대한 탐구방법으로서의‘현상학’ 15
1. 해석학적 현상학 15
2. 해석학적 현상학 탐구방법 17
제2절 체험의 본질을 향한 집중 21
1. 현상에 대한 지향 21
2. 현상학적 질문형성 21
3. 연구자의 가정과 선이해 22
제3절 실존적 탐구 24
1.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25
제4절 자료수집과정 39
1. 연구 참여자 선정 39
2. 자료수집 43
3. 자료분석방법 44
4. 연구참여자의 개별 프로필 45
제5절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고려 53
1. 연구의 엄격성 유지 53
2. 연구의 윤리적 고려 55

제4장 연구결과 57
제1절 이주남성노동자와 신체성 57
1. 고된 몸 58
2. 노예의 몸 60
3. 병든 몸 62
4. 더러운 몸 65
5. 죄지은 몸 68
6. 영웅이 된 몸 70
제2절 이주남성노동자와 관계성 72
1. 책임감 72
2. 연결 74
3. 불안 77
4. 갈등 80
5. 이해 82
제3절 이주남성노동자와 시간성 84
1. 과거 85
2. 경험 86
3. 현실 88
4. 변화 90
제4절 이주남성노동자와 공간성 92
1. 생계가 보장되지 않은 공간 93
2. 미지의 공간 94
3. 경계 밖의 공간 97
4. 희망이 있는 공간 100
제5절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 103

제5장 결론 109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09
제2절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 114
1. 실천적함의 114
2. 정책적함의 117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20

참고문헌 122
부 록 136
논문개요 138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덕남. (2011).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40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85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