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潑墨과 餘白을 통한 現代水墨畵 硏究: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천명언
Issued Date
2011
Abstract
현대 미술은 새로운 것과 흥미를 추구한다. 현대의 예술양식은 모방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 그 시대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현대적인 표현을 추구한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현대적인 표현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의 주된 표현 양식인 수묵(水墨)에 표현된 발묵기법(潑墨技法)과, 여백(餘白)의 개념 그리고 다양한 기법을 탐구함으로써 수묵화의 현대적 표현을 유도해 낼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동양 사람들은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외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선 내적 존재의 본질을 표현하려한 것에 주된 관심을 갖고 심미관을 추구하였다.
이렇듯 동양회화중 수묵화는 정신성을 강조하는데 수묵화가 갖고 있는 형상과 형상외의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 조형 요소 가운데 화가의 내적 초월 세계와 이상향을 동시에 창출하는 요소로는 선묘적인 요소 그리고 발묵법과 여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발묵(潑墨)과 여백은 형체표현의 의미가 함축되어있다.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빈 공간이지만 무한한 수용성을 가능케 하는 창조적인 공간, 우주만물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인 것이다. 특히 여백은 화면에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으면서 무엇인가 여운이 감도는 듯한 공백의 부분을 말하며, 화면을 돋보이게 하거나 연장으로 보이게 하여 그려진 부분과 마찬가지로 생명을 갖게 된다.
또한 동양회화는 천일합일(天一合一)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수묵화에 담긴 유가, 도가, 불가의 사상적 근거를 파악해 전통적 여백의 조형성을 통해 본 연구자는 발묵과 여백의 내재한 다양한 해석을 고찰함으로써 논문제목에 명시한 바와 같이 수묵화에서 발묵기법과 여백을 통하여 현대한국화의 나아갈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에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동양회화의 여백의 개념과 기법의 재해석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는 수묵화에서 발묵과 여백이 화면을 구성하는 형식적인 한 요소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정신 세계를 표현하는 사의적 공간이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개념정리가 요구된다고 본다.
연구자는 이러한 동양회화의 고유 양식과 정신을 현대 한국화의 감각에 맞게 도입, 응용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담긴 본인의 작품 분석을 통해 동양회화의 주요한 요소인 여백의 다양성과미를 재해석하며 연구하고자 한다.
발묵기법과 여백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노자, 장자 등의 사상과 철학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으며, 도교와 불교라는 동양의 대표적 종교에서 근원적인 고찰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Ⅱ장에서는 동양회화에서의 수묵의 정신성과 기운생동, 선, 용묵의 의미를 심도있고 체계적으로 인식하고자 하였다.
또한 Ⅲ장에서는 전통 동양회화에서 절대적인 사상과 철학적 영향을 준 종교사상과 연계하여 수묵의 특성과 선의 미학과 표현성, 그리고 발묵기법을 통한 여백과 공간의 조형성을 살펴보고 새로운 시각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자의 작품에 표현된 발묵기법과 여백의 개념과 양식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인은 작업 제작에 있어서 전통적인 여백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대적 활용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통해 융합과 창조적 정신을 지향하고 아울러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양식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2010년도에 제작한 작품을 시작으로 하여 우연적 기법에 의한 발묵과 여백표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최근 작품을 통해 주관적 해석에 의한 여백의 표현과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현대 한국화의 고유의 전통성과 오늘날의 현대적 정신에 미의식을 절충한 새로운 표현기법을 창출하여 현대미술로서의 그 존재가치가 더해지게 되는 것을 알기 위함이다.|Contemporary styles and modes of art go through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in pursuit of modern expression reflecting elements of the times. Throughout the world, modern expression has continuously drawn attenti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blurring of Indian ink, the void space and a range of techniques used in water and ink paintings as the major modes of Oriental paintings to represent the inner transcendental world of painters, one of the formative components in water and ink paintings, with a view to derive contemporary expression from such paintings.
Besides, considering the sense of unity with nature as the spirit of Oriental paintings,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Confucianist, Taoist and Buddhist ideas underlying water and ink paintings so as to speculate on diverse interpretations inherent in the void space and the blurring of Indian ink through the formativeness of the traditional void space. In sum, the present study inquires into the direction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 should take based on the blurring of Indian ink and the void space.
Currently, the concept of the void space and relevant techniques need be reinterpreted from modern perspectives in the sense that the blurring of Indian ink and the void space are not just formal aspects but also serve as some space for speculation, representing artists’ world of inner spirit, regarding which this study clarifies right perception and conception.
I have made efforts to adopt and apply unique styles and spirits of Oriental paintings to the sense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 Analysing my own works assuming a series of these processes is a re-interpretation of diversity and beauty of the void space as the major element of Oriental paintings.
The concepts of the blurring of Indian ink and the void space root in Confucianist and Taoist ideas and philosophy and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s of Taoism and Confucianism representing Oriental faiths. To be specific, chapter II seeks systematic and in-depth perception of the spirit, vital energy, lines and gradation of Oriental water and ink paintings.
Chapter III examines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ink paintings, aesthetics of lines and expressiveness and formativeness of both void and entire space focused on the blurring of Indian ink to find out application of new perspectives in conjunction with the religious ideas that have influenced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in terms of absolute thoughts and philosophy.
Chapter IV analyses the blurring techniques of Indian ink, the concept of the void spac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styles represented in the investigator’s works. In creating art works, I advocate unity and creative spirit through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modern application based on traditional concept of the void space. At the same time, I pursue new styles of expression beyond the conventional approaches.
Water and ink paintings emphasize spiritual aspects. Among formative elements possibly regarded as the attributes and techniques of water and ink paintings, line drawing, blurring of ink and void space create both transcendental inner world and utopia of artists. Focusing on these three aspects, the tendencies of my works are comparatively analysed in order to shape a central axis for future directions of my creation.
As such, the present study establishes the starting points of materials, forms and processes to find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my future work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odern Water and Ink Paintings Focused on Blurring of Indian Ink and Void Space:with Researcher's Works
Alternative Author(s)
Cheon, Myeong e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김종경
Awarded Date
2012-02
Table Of Contents
Ⅰ.서론 1
Ⅱ.水墨畵의 精神性 3
A.수묵의 정신 3
B.기운생동 5
C.선(線) 8
D.용묵(用墨) 10
Ⅲ.水墨畵의 潑墨과 餘白表現 14
A.수묵의 특성 14
B.선(線)의 미학과 표현성 16
C.여백과 공간의 조형성 21
D.발묵기법과 우연효과 23
Ⅳ.연구자의 작품에 표현된 潑墨技法과 餘白 27
A.발묵과 여백을 응용한 조형탐구 27
B.자연을 응용한 조형기법 연구 30
Ⅴ.결론 42
참고도판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천명언. (2011). 潑墨과 餘白을 통한 現代水墨畵 硏究: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34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73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