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제2금융권 종사자들의 조직사회자본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정신사회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천호
Issued Date
2011
Abstract
제2금융권 종사자 특히 재무관리사들은 최근 높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관련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7개 제2금융권 사업장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을 중재하는 요인으로 조직사회자본을 설정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신뢰성이 입증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11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직사회자본이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독립적 효과, 상호작용효과, 간접효과 등을 밝히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주요결과와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사회자본 총점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는 독립적으로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요인이었다. 이를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보면 공통가치와 호혜성은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영역이었고 신뢰성의 경우는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을 유의하게 낮추는 요인이었다.
둘째, 조직사회자본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의 상호작용도 존재하였다. 즉, 조직사회자본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수준이 높은 집단보다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정신사회적 안녕수준의 향상에 보다 크게 기여하는 요인이었다.
셋째, 조직사회자본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신사회적 안녕을 향상시키는 간접효과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조직사회자본의 간접효과는 공통가치와 호혜성의 경우에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하면 전통적인 직무스트레스의 관리전략에 더하여 조직사회자본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적극적 노력이 요구된다.|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Job Stressors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Employees of Secondary Financial Companies


Choi, Cheon-ho
Advisor: Prof. Kang, Myung-Geun, M.D., Ph.D.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Background Nowadays, in Korea, the status of job stress among secondary financial company employees has been known high but there were little researches that identified the related factors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y for them.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effect, stress-buffer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secondary financial company employees.
Method Study subjects were 211 employees employed in 7 secondary financial companies in a metropolitan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administrated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measures for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OCS, and 3 sub-dimensions such as common values, trust, reciprocity), job stress,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We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stress modifying effec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test indirect effect(mediating effect) through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djusting covariates, overall score and 2 sub-dimensions(common values, reciprocity) of OSC were the factors that improved PWI but the subdimension, trust was no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job stress, which meant that OSC made a higher positive effect on PWI among low job stress group than among high job stress group. Regarding indirect effect, in the cases of subdimensions of OCS such as common values reciprocity, there were founded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WI.
Conclusion Summing up above findings, to manage job stress, it is suggested to use positively fostering OSC in company with stressful condition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Job Stressors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Employees of Secondary Financial Companies
Alternative Author(s)
Choi, Cheon-h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보건학
Advisor
강명근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 목적 5

Ⅱ. 연구방법 6
A. 연구대상 6
B. 조사도구 및 주요 연구변수 6
1. 연구대상자의 특성변수 6
2. 직무스트레스 요인 7
3. 조직사회자본 8
4. 정신사회적 안녕 8
C. 분석방법 10
1. 분석의 틀 10
2. 통계분석방법 12

Ⅲ. 연구 결과 14
A. 연구대상자의 특성분포 1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분포 14
2.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 분포 16
3.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특성 분포 18
B.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정신사회적 안녕의 관련성 20
1. 일반적 특성과 정신사회적 안녕의 관련성 20
2. 직업적 특성과 정신사회적 안녕의 관련성 22
3. 건강관련특성과 정신사회적 안녕의 관련성 24
C. 정신사회적 안녕, 직무스트레스 요인, 조직사회자본의 관련성 26
D. 조직사회자본의 정신사회적 안녕에 대한 독립적 영향력 28
E.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사회자본의 상호작용효과 30

Ⅳ. 고찰 34

Ⅴ. 요약 및 결론 44

참고문헌 45

부록 52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최천호. (2011). 제2금융권 종사자들의 조직사회자본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정신사회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2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204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