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국 디자인정책과 전략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왕설영
Issued Date
2011
Abstract
Design, an important factor in management of enterprises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helps us to have advantages in fierce competitions between countries and enterprises, enhance and differentiate values of products. It provides convenience and prosperity for individuals, leading to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life.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of Chinese design promotion policy to enhance design competitiveness through examining design promotion policy of China, hoping that they will be helpful to development of design promotion policy which is appropriate for changed environment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This global society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t effect of design industry on higher global competitiveness. Many countries and districts have developed and realized programs to support design policy as means to promote their development. Decision makers of each country have recognized the reason and objectives to enhance design, but countries and districts should develop and realize specialization policies as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ed.

A few design policies and promotion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to design field to achieve national competitiveness. Advanced countries have supported design strategies which a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The main policy in this area gives a 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design capability and wellbeing as a necessary factor which the government supports and implements to obtain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profits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rough policy is very important to all the international governments,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programs should have long-term monitoring to develop the optimal national design programs and lead in its development as well a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policies of each country is close to its industrial area. For example, declaration of Korean government which gave a focus on design in national strategies facilitated growth of SAMSUNG and LG, and became energy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markets, Danish government supported design through an official resolution as it promised in 2007. However, such examples of success could not be automatically applied for other countries. Design policy and its strategic arrangement are restricted by dynamics of design industry and a large context of economy. As various design industries and economic environ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such variable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developing design policy. Therefore, a basic problem is how such variables influence design policy. That is, how design policy changes dynamics in design industry. To identify it, this study analysed two different design policies: One is to represent economy of intelligent markets based on design policies and promotion organizations of advanced countries(England, Finland, Japan and Korea) and the other is to represent industrial economy of China.

Transfer of industrial base of England to knowledge-based industry was a cause of decreased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was demonstrated through conversion into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ical industry. Values of design ical been considered more nsportant through innovation and encouragement of England due to such changes. Korea has made enormous investment to education and employment of designers. Japan has achieved great success in design industry using incentive system for good design.

It is difficult to enthusiastically support design industry because of the vulnerable structure of design policy system. Design policy based on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esign should be liberal, creative and predicable,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it is hard for political system in initial stage to secure ability to promote design industry which is a core of creative and predictable national industries.

To maintain such vision of design policy, this study investigated design policy of Chinese governments and analysed proble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sign policy. Specifically, the study analysed goals of design policy of China, the systematic model of design policy, design promotion and support, design education and political direction of design organizations.

To effectively execute the directions of research-oriented design policy,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design policy plans for innovation of management models of industry and healthy environment of design industry, nurture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enhance national design consciousnes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plans and directions to enhance “design industry of China” and reinforce design institutes and university education.
Third, independent design promotion institutes for design industry R&D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unique design styles and pursue future design industry.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urchase good design products which were awarded at China red star and designate design creation districts.
Last, national design industry should give a focus on four sections: policy and supply plans to allocate design resources, needs of corporations, pubic design and design education.


Key words : design policy, design industry, design promotion institutes, design education and design promotio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esign Policy Directions for Competitiveness of Chinese Design
Alternative Author(s)
wangxueyi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김남훈
Awarded Date
2011-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2
제1절 연구의 배경 2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프로세스 11

제2장 디자인정책의 개념과 본질 15
제1절 디자인정책 개념 및 유형 15
1. 디자인정책 개념 15
2. 디자인정책 역사 20
3. 디자인정책 유형 28
제2절 디자인 진흥 정책의 본질 32
1. 디자인정책 목적 및 필요성 32
2. 디자인정책 영역 36
3. 디자인정책 제도의 구성요인 39

제3장 국가별 디자인정책 사례 45
제1절 사례 선정기준 45
1. 세계 디자인진흥기관 현황 45
2. 조사 목적 47
3. 선정 타당성 48
제2절 국가별 디자인정책과 진흥기관 53
1. 영국 53
2. 핀란드 61
3. 일본 65
4. 한국 73
제3절 국가별 디자인정책 종합 비교분석 81
1. 지원제도의 특징 81
2. 디자인진흥 구조 모델 특징 87
3. 디자인 진흥기관 특징 93

제4장 중국 디자인정책의 현황 분석 및 인터뷰 조사 97
제1절 중국 디자인정책 현황 97
1. 디자인 정책과 지원제도 97
2. 산업체 119
3. 디자인 교육 128
제2절 중국 디자인정책을 위한 인터뷰 조사 130
1. 인터뷰 조사 목적 130
2. 인터뷰 조사 대상 130
3. 인터뷰 조사 내용 131
제3절 인터뷰 조사 결과 132
1. 중국 디자인정책 진단 134
2. 중국 디자인정책의 방향 추진 역할 143
3. 중국 디자인정책 방향의 의견 144


제5장 중국 디자인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자인정책 구축방안 149
제1절 개선방향 및 추진전략 149
1. 개선방향 149
2. 중국 디자인정책 추진과제 154
제2절 중국 디자인정책 실행 방안 162
1. 통합적 디자인정책 기조 수립 162
2. 디자인정책체계 실행 방안 163
3. 국가 디자인 시스템 구축 165
4. 산업체 지원체계 실행방안 167
5. 선진 디자인교육 혁신 구축 실행 방안 168
제3절 디자인정책 수립과 실행 고려요건 170

제6장 결 론 173

참고문헌

표 목차
[표 2-1] 선행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본 디자인정책의 정의 19
[표 2-2] 국가 디자인 진흥정책의 모델 유형 28
[표 2-3] 일반적인 디자인정책 목표 33
[표 3-1] OECD 가입국의 디자인진흥기관 현황 (02년 기준) 46
[표 3-2] 조사대상 및 내용 47
[표 3-3] 세계 경제 발전의 단계 조사 49
[표 3-4] 각 국가별 디자인정책 및 종류 50
[표 3-5] 국가별 선정 대상 51
[표 3-6] 선정국가 타당성 52
[표 3-7] 나고야 국제디자인센터 현황 70
[표 3-8] 도야마현 디자인센터 현황 70
[표 3-9] 한국 지역 디자인센터 건립 현황 78
[표 3-10] 한국 8개 대학의 다학제 디자인 교육 커리큘럼 80
[표 3-11] 각국의 디자인정책 지원 비교 84
[표 3-12] 각국의 디자인정책 지원 및 특징에 대한 비교 85
[표 3-13] 국외 디자인 진흥 정책 특징 86
[표 3-14] 국가별 디자인정책 모델 유형 비교 89
[표 4-1] 중국의 주요 산업디자인정책 100
[표 4-2] 중국정부 중소기업 지원정책 세부내용 102
[표 4-3] 중국 CIDA의 운영 현황 107
[표 4-4] CIDA의 개괄적인 내용 108
[표 4-5] CIDA의 주요성과 109
[표 4-6] BIDC의 개괄적인 내용 110
[표 4-7] BIDC의 주요 기능 112
[표 4-8] BIDC 주요 성과 114
[표 4-9] HKDC의 주요성과 117
[표 4-10] 상하이 SIDA의 개괄 내용 118
[표 4-11] 중국내 기업의 산업디자인과 그 특성에 관련된 기관 125
[표 4-12] 인터뷰 대상, 시간과 장소 130
[표 4-13] 인터뷰 항목 131
[표 4-14] 중국 디자인 정책의 참여주체별 인터뷰 결과 133
[표 4-15] 교원업적 평가 기준사례 142
[표 5-1] 중국 디자인정책 방향 도출 결과 요약 148
[표 5-2] 중국 디자인정책 추진과제 155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목적 및 내용 8
[그림 1-2] 연구의 구성 10
[그림 1-3] 연구 방법과 프로세스 13
[그림 2-1] 디자인 정책 역사 단계 21
[그림 2-2] 국가 디자인 진흥정책의 모델 31
[그림 2-3] 조동성의 디자인정책의 목적 34
[그림 2-4] 디자인정책 기조 요소 37
[그림 2-5] 디자인정책 제도의 구성요인 40
[그림 3-1] 영국 주요 디자인정책 55
[그림 3-2] 영국 Design Council의 주요 실행방법 57
[그림 3-3] 영국의 디자인정책 전략 구조 60
[그림 3-4] 핀란드 주요 디자인정책 63
[그림 3-5] 핀란드의 디자인정책 전략 구조 65
[그림 3-6] 일본 디자인정책 68
[그림 3-7] 일본의 디자인정책 전략 구조 73
[그림 3-8] 한국의 주요 디자인정책 76
[그림 3-9]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주요 추진부문 77
[그림 3-10] 한국 디자인정책 전략 구조 80
[그림 3-11] 디자인 진흥기관 구조역할 1 90
[그림 3-12] 디자인진흥기관 구조역할 2 91
[그림 3-13] 디자인진흥기관 구조역할 3 92
[그림 3-14] 디자인진흥기관 구조역할 4 92
[그림 3-15] 5개 국가의 디자인정책 비교도 94
[그림 4-1] 중국 디자인 진흥 체계 104
[그림 4-2] 중국 정부의 디자인 진흥 부서의 변화 추이 105
[그림 4-3] 베이징시 산업디자인 진흥구도 111
[그림 4-4] DRC 정책목표 체제 115
[그림 4-5] 중국 디자인 산업 변화 과정 121
[그림 4-6] 중국 디자인 산업 전략 과정 122
[그림 4-7] 중소기업의 디자인조직 126
[그림 4-8] 디자인전담부서가 없는 경우 128
[그림 4-9] 인터뷰조사 프레임 윅 132
[그림 4-10] 정부와 민간 부문의 역할 차이 146
[그림 5-1] 중국 디자인정책 개선 방향 150
[그림 5-2] 중국 디자인정책 기조 실행방안 162
[그림 5-3] 중국 독립된 디자인정책 진흥기관(NDC) 구조 방향 164
[그림 5-4] 중국의 국가 디자인 시스템 구축 166
[그림 5-5] 중국 산업체 디자인지원 정책 체계 168
[그림 5-6] 선진 교육 추진 체계 16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왕설영. (2011).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국 디자인정책과 전략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10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90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8-1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