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住居環境評價에 관한 硏究
- Author(s)
- 박영신
- Issued Date
- 2010
- Keyword
- 지속가능발전|주거환경관리|주거환경 특성평가|계층성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지역 전체 차원에서 환경용량에 기초하여 도시성장을 관리하고 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할 수 있는 주거환경관리를 위한 평가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 주거환경 특성평가에서는 주거환경의 구성요소인 안전성, 보건성, 편리성, 쾌적성, 지속성 등 5개 요소에 23개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성별, 연령별, 직업별 등 계층성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주거환경의 요소 중 「안전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에는「보건성」 「편리성」, 「쾌적성」, 「지속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에 대하여 전체적으로「우수하다」고 한 사람의 비율은 43.8%,「좋지 않다」고 한 사람의 비율은 25%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성과 여성이「우수하다」고 한 비율은 43.8%로 동일하였다. 연령별에서는「우수하다」고 한 비율은 50대가 47.3%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40.7%로 낮게 나타났다. 직업별에서는「우수하다」고 한 사람의 비율은「사무직」이 42.1%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 거주자의 계층성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지속가능 주거환경평가틀의 타당성을 밝힐 수 있었다.|This study is based on the entire reg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capacity to manage urban growth and ultimately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criteria for housing management should aim to present.
Therefore, evaluation of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component to evaluate the five kinds of elements (safety, health, convenience, comfort, sustainability) were set twenty-three kinds item. Gender, age, occupation, etc. Hierarchical analysis was based.
The safety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e best in the health, convenience, comfort, continuity of the order is excellent.
Overall living environment for the "good" that is 43.8% of respondents and the percentage of "bad" people that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is 25%. Gender in the "excellent"response rate was 43.8% both men and women.
Regarding the age index 'excellent' response rate was highest in their 50s to 47.3 percent, to 40.7 percent was lower in their 20s. Regarding the job 'excellent' response rate of people in the office was the highest 42.1%.
Thus,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n prove the validity.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 Alternative Author(s)
- Park, Young Si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Advisor
- 임만택
- Awarded Date
- 2011-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2장 지속가능 환경지표 5
1. 지속가능성의 개념 및 환경지표의 특성 5
1.1 지속가능성의 개념 5
1.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표의 선정기준 7
1.3 지속가능성 지표와 종래의 지표와의 차이 8
1.4 환경지속성지수 9
1.5 환경성과지수 13
2. 환경지표의 설정 및 평가방법 14
2.1 환경평가의 목표 14
2.2 시민을 주체로 한 환경의 틀 16
2.3 환경지표의 평가대상 17
3. 환경용량의 개념 및 산정 18 3.1 환경용량 18
3.2 환경용량산정 22
4. 환경용량평가의 적용 22
4.1 환경용량평가의 개념 22
4.2 환경용량평가의 적용 23
5. 지속가능 발전지표 25
5.1 지속가능 도시발전 지표의 특성 25
5.2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방법 28
6. 주거환경평가 연구의 동향 31
제3장 지속가능 주거환경평가방법 34
1. 주거환경과 지속가능성 34
1.1「주거」관련 용어의 개념 비교 34
1.2 주거환경의 개념 36
1.3 지속가능성의 개념 38
2. 주거환경의 평가방법 39
2.1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 39
2.2 주거환경평가의 범위 40
2.3 주거환경의 만족도 40
2.4 평가기준 및 만족도의 수준 41
2.5 Z-Score 분석 (Standardized Score Analysis) 42
2.6 지속가능성의 평가 43
3. 주거환경지표의 설정 49
3.1 주거환경지표의 조건 49
3.2 주거환경지표의 종합화 50
제4장 지속가능 주거환경의 특성 평가 52
1. 조사의 개요 52
1.1 조사목적 52
1.2 조사항목 52
1.3 조사대상 52
1.4 조사방법 53
1.5 회수결과 53
2. 조사의 결과 53
2.1 구성 항목별 평가 53
2.2 구성 요소별 평가 99
3. 총체적 평가 109
제5장 결 론 112
참고문헌 114
표 목 차
표 1. 지속가능성지표와 종래의 지표와의 비교 9
표 2. 환경지속성지수 분야별 지표 및 변수 11
표 3. Inventory 분석의 대상항목 (예) 12
표 4. EPI의 구조 14
표 5. 한계요인으로 본 환경용량의 유형 20
표 6. 환경용량 산정에 필요한 구성지표 21
표 7. 환경용량평가의 유형 24
표 8. 특성에 따른 개발사업 유형화의 예 25
표 9. 전통적 지표와 지속가능성 지표의 대비 27
표 10. 지표개발 과정과 단계별 주요 내용 30
표 11. 주택지 및 주거환경의 거주수준 구성요인 37
표 12. 주거환경의 구성요인 38
표 13. 지속가능성의 평가 항목 구성 43
표 14.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삭감방안 46
표 15. 혐오시설로서의 폐기물처리시설의 오염발생원 대책 47
표 16. 주거환경지표의 체계 51
표 17. 성, 연령별 회수결과 53
표 18. 방범성 54
표 19. 교통안전성 56
표 20. 생활안전성 58
표 21. 자연재해안전성 60
표 22. 지반안전성 62
표 23. 도시화재안전성 64
표 24. 공해방지 66
표 25. 전염병예방 68
표 26. 자연향유 70
표 27. 생활의 편리성 72
표 28. 각종시설 등의 편리성 74
표 29. 교통편리성 76
표 30. 사회서비스의 편리성 78
표 31. 미적 쾌적성 80
표 32. 개방성에 관한 쾌적성 82
표 33. 커뮤니티 쾌적성 84
표 34. 혐오시설과의 거리 86
표 35. 녹․수변에 관한 쾌적성 88
표 36. 양호한 도시환경의 지속성 90
표 37. 지역매력 92
표 38. 주택지의 적절한 개선․갱신 94
표 39. 환경부하의 경감 96
표 40. 생물순환에의 공헌 98
표 41. 안전성 100
표 42. 보건성 102
표 43. 편리성 104
표 44. 쾌적성 106
표 45. 지속성 108
표 46. 전체평가 110
그 림 목 차
그림 1. 주거환경평가를 위한 연구진행과정 4
그림 2. 일반적인 지표개발과정 29
그림 3. 방범성 평가 55
그림 4. 교통안전성 평가 57
그림 5. 생활안전성 평가 59
그림 6. 자연재해안전성 평가 61
그림 7. 지반안전성 평가 63
그림 8. 도시화재안전성 평가 65
그림 9. 공해방지 평가 67
그림 10. 전염병예방 평가 69
그림 11. 자연향유 평가 71
그림 12. 생활의 편리성 평가 73
그림 13. 각종시설 등의 편리성 평가 75
그림 14. 교통편리성 평가 77
그림 15. 사회서비스의 편리성 평가 79
그림 16. 미적 쾌적성 평가 81
그림 17. 개방성에 관한 쾌적성 평가 83
그림 18. 커뮤니티 쾌적성 평가 85
그림 19. 혐오시설과의 거리 평가 87
그림 20. 녹․수변에 관한 쾌적성 평가 89
그림 21. 양호한 도시환경의 지속성 평가 91
그림 22. 지역매력 평가 93
그림 23. 주택지의 적절한 개선․갱신 95
그림 24. 환경부하의 경감 평가 97
그림 25. 생물순환에의 공헌 평가 99
그림 26. 안전성평가 101
그림 27. 보건성평가 103
그림 28. 편리성평가 105
그림 29. 쾌적성평가 107
그림 30. 지속성평가 109
그림 31. 전체평가 111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박영신. (2010). 지속가능 住居環境評價에 관한 硏究.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9020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