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양병
Issued Date
2010
Keyword
공공시설물디자인
Abstract
오늘날 한국 도시민들의 삶의 질은 도심지 과밀로 인한 교통혼잡, 환경오염과 녹지의 부족, 인간소외 등에 의하여 점차 악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심공간에 도시숲 조성과 문화컨텐츠 개발 등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위한 미래지향적 도시공원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공원에 있어서 공공시설물의 가치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문화재로서 의의를 가지며 도시공원은 이제 공원의 조성을 넘어 경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가 중시되는 단계이며, 레크리에이션과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가 있는 도시공원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도시민을 위한 미래지향적 도시공원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개발이라는 측면과 국민의 생활문화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는 국민건강 생활복지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국민 레저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구밀도가 높은 국내 7개 도시공원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현황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교분석이 가능한 3개의 도시공원을 이용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민들의 도시공원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통한 도시공원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2장은 도시공원과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도시공원의 개념 및 특성, 도시공원의 구성요소와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개념정의 및 공공시설물디자인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3장은 디자인평가의 개념, 역사적 배경과 디자인평가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고 디자인평가의 국내외적 사례를 조사하여 도시공원의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를 위한 평가척도어를 추출하였다.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 도구로서 거주후평가의 도입배경과 목적, 평가과정을 논의하였으며 평가방법 및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4장은 국외의 도시공원 사례와 국내 도시공원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조사 및 분석과 설문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공공시설물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원의 공공시설물디자인의 평가요소와 평가척도어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공원별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와 각 공공시설물디자인별 평가척도어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한 개선필요도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6장은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내 도시공원 중 서울숲공원, 여의도공원, 일산호수공원의 안내소, 아내사인, 버스정류장, 보호펜스, 밴치, 휴지통, 화장실, 공중전화부스, 운동기구, 가로수보호대에 대한 평가결과와 조화성, 심미성,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에 대한 공공시설물디자인 이용자의 평가결과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도시민이 보다 유익하고 건강한 도시공원을 즐길 수 있는 도시공원의 공공시설물디자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이며 이는 도시공원의 경쟁력을 높임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중요한 매개체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건설되는 도시공원의 공공시설물디자인에 대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Designs of Public Facilities
Alternative Author(s)
Lee Yang Byung
Affiliation
디자인경영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11-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 범위 및 방법 4
1.3 연구 흐름도 6

제2장 이론적 고찰
2.1 도시공원의 개념과 유형 8
2.1.1. 도시공원의 개념정의 8
2.1.2 도시공원의 발달과정 12
2.1.3. 도시공원의 유형 16
2.2 공공시설물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 21
2.2.1 공공시설물디자인의 개념정의 21
2.2.2 도시공원 공공시설물의 분류 22
2.2.3 공공시설물디자인의 특성 25
2.3 선행연구 31
2.3.1 도시공원 관련 연구 31
2.3.2 거주후평가 관련 연구 33

제3장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방법
3.1 디자인 평가 38
3.1.1 디자인평가 개념정의 38
3.1.2 디자인평가 배경 39
3.1.3 디자인평가 방법 42
3.2 국내외 디자인평가 사례 43
3.2.1 국외 디자인평가 사례 45
3.2.2 국내 디자인평가 사례 47
3.2.3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척도어 51
3.3 공공시설물디자인의 거주후평가(POE) 54
3.3.1. 거주후평가(POE) 개념과 특성 55
3.3.2. 거주후평가(POE) 도입배경 57
3.3.3. 거주후평가(POE) 목적 58
3.3.4 거주후평가(POE) 과정 59
3.3.5 거주후평가(POE) 평가지표 66
3.4 소결 71

제4장 공공시설물디자인 현황조사
4.1 국외 도시공원 사례 74
4.2 국내 도시공원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 81
4.2.1 조사개요 81
4.2.2 사례조사 82
4.2.3 공원시설물디자인 현황 91
4.3 설문조사 대상지 111
4.3.1 설문조사 대상지의 개요 111

제5장 공공시설물디자인 거주후평가(POE) 분석
5.1 자료의 수집 116
5.1.1 설문조사 116
5.1.2 설문의 구성 116
5.1.3 표본의 특성 118
5.1.4 자료의 분석 119
5.2 공공시설물디자인에 대한 평가 121
5.2.1 평가현황 121
5.2.2 공원 유형별 차이 124
5.3 공원별 이용자 평가결과 125
5.3.1 공원 유형별 이용자 평가차이 125
5.3.2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차이 129
5.4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결과 159
5.4.1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차이 159
5.4.2 공원별 평가요인의 이용자 평가차이 168
5.5 소결 195
5.5.1 실증분석 종합 195

제6장 결론 201

참고문헌 205
부록 209





표 목 차

[표1-1] 도시공원 공공시설물 디자인 연구 범위표 5
[표2-1] 도시공원의 기능 10
[표2-2] 서울특별시 연도별 공원 증감현황 15
[표2-3] 도시공원의 분류와 유치거리 및 규모 18
[표2-4] 국내 도시공원 종류별 현황 18
[표2-5] 시도별 도시공원 현황 19
[표2-6] 시도별 도시공원 현황 20
[표2-7] 연구자별 공공시설의 개념 21
[표2-8] 공공시설물의 기능별 분류 24
[표2-9] 공공시설물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구성요소 27
[표3-1] 디자인 이론의 방법 42
[표3-2] 토론토시 디자인 공모 평가항목 구성 및 내용 45
[표3-3] Spaceshaper의 평가분류 체계 46
[표3-4] DQI 평가항목 분류 47
[표3-5] 공공시설물 인증 세부부문 47
[표3-6] 심사항목 및 배점 48
[표3-7]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평가항목 50
[표3-8]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분류, 세부항목, 평가형용사 50
[표3-9]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분류 및 세부항목 51
[표3-10] 국내외 공공시설물 디자인 평가척도어 비교 분석표 52
[표3-11] 기존 거주후평가(POE) 과정 60
[표3-12] 거주후 평가요소와 평가개념 70
[표4-1] 조사대상지 공공시설물 분류 및 상세항목 81
[표4-2] 조사대상지 및 현장방문 시기 82
[표4-3] 서울숲공원 안내사인 92
[표4-4] 여의도공원 안내사인 92
[표4-5] 선유도공원 안내사인 93
[표4-6] 보라매공원 안내사인 93
[표4-7] 일산호수공원 안내사인 94
[표4-8] 성남시 율동공원 안내사인 94
[표4-9] 성남시 분당중앙공원 안내사인 95
[표4-10] 버스정류장 쉘터 96
[표4-11] 보호펜스 97
[표4-12] 맨홀덮개 97
[표4-13] 볼라드 98
[표4-14] 가로등 100
[표4-15] 벤치 101
[표4-16] 휴지통 102
[표4-17] 화장실 103
[표4-18] 음수대 104
[표4-19] 그늘막 105
[표4-20] 자전거주차대 106
[표4-21] 공중전화부스 107
[표4-22] 화분대 107
[표4-23] 가로수보호대 108
[표4-24] 운동기구 109
[표4-25] 놀이기구 110
[표4-26] 안내소 110
[표4-27] 공원별 특성 비교 111
[표5-1] 설문의 구성 117
[표5-2] 표본의 특성 118
[표5-3] 척도의 신뢰도 119
[표5-4]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중요성 121
[표5-5]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수준 122
[표5-6]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환경과의 조화 122
[표5-7]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 123
[표5-8] 시민들의 공중도덕과 윤리의식 123
[표5-9]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일반 의견의 공원별 차이 124
[표5-10] 평가요인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27
[표5-11] 공원유형별 평가요인 이용자 평가 결과 128
[표5-12]조화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31
[표5-13]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조화성 평가 결과 132
[표5-14] 심미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35
[표5-15]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심미성 평가 결과 137
[표5-16] 안전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40
[표5-17]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 결과 142
[표5-18] 기능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45
[표5-19]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기능성 평가 결과 147
[표5-20] 친환경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50
[표5-21]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친환경성 평가 결과 152
[표5-22]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설물의 공원유형별 이용자 평가 차이 155
[표5-23] 공원유형별 시설물의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157
[표5-24] 평가요인에 대한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 차이 160
[표5-25] 각 시설물에 대한 평가요인별 평가 결과 163
[표5-26] 서울 숲 공원의 평가요인에 대한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 차이 169
[표5-27] 서울숲공원 각 시설물에 대한 평가요인별 평가 결과 171
[표5-28] 일산 호수 공원의 평가요인에 대한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 차이 178
[표5-29] 일산호수공원 각 시설물에 대한 평가요인별 평가 결과 180
[표5-30] 여의도 공원의 평가요인에 대한 시설물별 이용자 평가 차이 187
[표5-31] 여의도공원 각 시설물에 대한 평가요인별 평가 결과 190



그 림 목 차

[그림1-1] 연구의 흐름도 6
[그림2-1] 도시공원의 체계도 12
[그림2-2] 공공환경디자인의 영역 26
[그림 3-1] Jay Doblin의 Operation Model 43
[그림 3-2] 평가도식 60
[그림 3-3] 평가에 있어서 자료를 조직하기 위한 구조 60
[그림 3-4] 평가도식 61
[그림 3-5] 평가과정의 기법연쇄 61
[그림 3-6] 통합개념 모델 62
[그림 3-7] 집합 주거환경 평가과정 모델 62
[그림 3-8] 성능평가 모델 63
[그림 3-9] 만족도 결정과정 모델 63
[그림 3-10] 설계과정과 형태연구 모델 64
[그림 3-11] 단계별 평가모델의 연계 64
[그림 3-12] 4가지 역할의 평가특성 65
[그림 3-13] 중요도/만족도의 산포도 69
[그림4-1] 센트럴파크 공원 75
[그림4-2] 우에노 공원 76
[그림4-3] 티어가르텐 공원 78
[그림4-4] 골든게이트파크 공원 79
[그림4-5] 레티로 공원 80
[그림4-6] 서울숲공원 안내도 83
[그림4-7] 여의도공원 안내도 85
[그림4-8] 선유도공원 안내도 86
[그림4-9] 보라매공원 안내도 87
[그림4-10] 일산호수공원 안내도 88
[그림4-11] 율동공원 안내도 89
[그림4-12] 중앙공원 안내도 9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Citation
이양병. (2010). 공공시설물디자인 평가 방법론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89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107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1-03-0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