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과 만족도 조사
- Author(s)
- 김민하
- Issued Date
- 2010
- Keyword
- 특수교육법|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인식|만족도
- Abstract
- 본 연구는 2008년 5월 이후 시행되어 온 「장애인 등에 관한 특수교육법」의 개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여 보고 앞으로 특수교육법 발전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법(survey method)을 이용하였고 설문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여 척도의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성 검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ronbach’s α계수가 0.981로 신뢰도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법 개정에 따른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의 인식도는 특수교사의 인식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학부모, 일반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식도에 비해 특수교사의 인식도가 높았으며 학부모와 일반교사의 인식도는 전체 평균 인식도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만족도의 순서도 인식도의 순서와 마찬가지로 특수교사, 학부모, 일반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와 학부모는 전체 만족도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일반교사는 전체 만족도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둘째, 인식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각 변인별로 살펴보면 본 연구의 표본 집단인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는 인식도와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사 집단에서 교육경력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보았더니 인식도에 대해서는 교사의 교육경력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 15~20년, 5~10년, 3~5년, 10~5년, 20~25년, 25년 이상, 1년 미만의 순서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평균을 비교하여보니 인식도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성별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의 평균을 비교해보니 연령에 따라서는 인식도와 만족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연령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연령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의 장애유형간의 인식도와 만족도의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지도학생 장애유형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특수교육법 개정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인식도와 만족도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족도 중에서 인지적 만족도와 실질적 만족도의 관계에 대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인지적 만족도와 실질적 만족도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질적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만족도는 특수교육법의 개정이 개별화 교육 강화, 보호자 교육참여 기회의 확대, 관련 서비스 지원 확대의 목표에 일치하게 개정이 되었는가에 관한 만족도이고 실질적 만족도는 이러한 법의 개정내용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만족도이다. 인지적 만족도와 실질적 만족도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결론은 각 집단별로 생각하고 있는 만족도와 실제적으로 나타나는 만족도가 일치함을 보여준 결과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survey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n the reform of「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etc.」and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to be utilized for suggest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laws.
The research method on this study was conducting a survey to 203 of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research materials and a validation process on the reliability with a provided scale was self-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conducted through the study. As a result, Cronbach’s α coefficient indicated an excellent reliability as 0.981.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wareness on the reform of the special education law, among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roup showed the highest mark, followed by the school parent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descending order. Compared to the awareness of the entire group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mark, and the school parent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relatively low awareness in the comparison with the average awareness of the entire groups. Similarly, in the satisfaction level,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chool parents, 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st marks in descending order. Satisfaction level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were scored as higher than that of the entire groups,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the entire groups.
Secondly, if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s by variable,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chool parents which were the sample group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As conducting the analysis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 group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educ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achers' awareness between the groups with different experiences in education, but in satisfaction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different experiences in education and 15~20 years, 3~5 years , 10~5 years, 20~25 years, more than 25 years, and less than 1 year experience group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in descending order. As comparing the averag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result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enders and the awareness of the females was higher. In the satisfaction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the comparison of the aware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he age, both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atisfaction tended to increase as the age increased. Also,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parent's disability types. The aware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udent's disability type.
Thirdl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reform of special education law.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the satisfaction level. Namely, the higher awareness corresponded to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satisfaction and the actual satisfaction was analyzed among the satisfaction levels. In the result, the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satisfaction and the actu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cognitive satisfaction corresponded to the actual satisfaction. The cognitive satisfaction is the satisfaction level on whether the special education law was successfully revised in accordance with its aims such as emphasis on individualized education, expanded opportunities for the guardians' participations, and the expanded supports for the related services, and the actual satisfaction is the satisfaction level on whether the revised contents of the law are being actually applied to the fields. The conclusion that the cognitive satisfaction and the actu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has a meaning in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hich each group realizes coincides with the actual satisfaction.
- Alternative Title
-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pecial Education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Alternative Author(s)
- Kim, Min Ha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 Advisor
- 김남순
- Awarded Date
- 2010-08
- Table Of Contents
- 목 차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ⅴ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4.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1. 특수교육법의 변천 및 주요내용----------------------------------- 6
1) 특수교육법 제정 이전---------------------------------------- 6
2)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 및 개정-------------------------------- 6
3)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정--------------------------- 8
2. 신․구법의 개정내용 비교---------------------------------------- 9
3. 선행연구의 고찰----------------------------------------------- 15
Ⅲ. 연구방법------------------------------------------------- 17
1. 연구설계---------------------------------------------------- 17
2. 연구대상---------------------------------------------------- 17
3. 연구도구---------------------------------------------------- 20
4. 연구절차---------------------------------------------------- 24
5. 자료분석---------------------------------------------------- 24
Ⅳ. 연구결과------------------------------------------------- 26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와 만족도 분석-------- 26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 26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만족도----------------- 27
2. 각 변인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와 만족도 비교--- 28
1) 3개 집단(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간의 인식도와 만족도--------- 28
2) 교사(일반교사, 특수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31
3) 성별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비교----------------------------- 33
4) 연령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비교----------------------------- 36
5) 학부모의 자녀 장애유형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비교------------- 39
6) 교사의 지도학생 장애유형에 따른 인식도와 만족도 비교----------- 42
3. 변수들간의 유의성 검증---------------------------------------- 45
1) 인식도와 만족도의 관계------------------------------------- 45
2) 인지적 만족도와 실질적 만족도의 관계------------------------- 46
Ⅴ. 논 의---------------------------------------------------- 47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와 만족도 분석-------- 47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 47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만족도------------------ 48
2. 각 변인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인식도와 만족도 분석--- 49
3. 인식도와 만족도의 관계---------------------------------------- 49
Ⅵ. 결론 및 제언---------------------------------------------- 51
1. 결론-------------------------------------------------------- 51
2. 제언-------------------------------------------------------- 52
참고문헌---------------------------------------------------- 54
---------------------------------------------------- 56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김민하. (2010).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과 만족도 조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77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0241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09-01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