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소리 시김새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 개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자경
Issued Date
2010
Keyword
가야금병창|소리 시김새
Abstract
우리 전통 고유문화의 보전과 발전이 강조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 국악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갖고 교육하고 전승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통음악 교육은 구전심수의 방법으로 도제적 교육 방식으로 전해 오고 있다. 이 도제적 교육은 직접 체험할 수 있고, 스승과 제자 사이의 일대일 유대 관계 형성뿐만 아니라 전승 보전하는데 있어 이러한 방법은 매우 중시되어 왔다. 즉, 스승의 시범(선창)과 제자의 따라하기(후창) 그리고 반복적인 연습에 따른 암송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제자는 스승과 함께 일정기간 생활을 같이하면서 관찰 → 모방 → 지도 중심의 구전심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교재와 교수방법이 성문화 되어 있지 않아 자칫 소중한 우리의 무형문화재가 실전될 우려조차 있다.

그나마 국악 여러 장르 중 기악곡들은 많은 서양 악보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5선보로도 거의 모든 음악을 표현할 수 있다. 국악기 중 가야금의 악보는 특히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가야금병창은 가야금과는 달리 악보, 교재 및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가야금병창은 소리 시김새를 구사하여 노래를 부르면서 가야금을 연주하는 형태로서 두 가지를 동시에 악보로 표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야금병창은 가창곡으로서 가창자의 소리 시김새에 따라 다르게 불려지기 때문에 표준화된 악보를 채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소리 시김새는 소리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서 창법에서 소리를 치켜 올렸다, 끌어 내렸다, 꺽었다, 목을 떨었다 하여 소리의 흐름에 다양한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소리 시김새는 배우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사하는 방식은 각 창자마다 다르고 그것을 표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전공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배우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우선 첫째로, 국악 교재 연구에 관한 교재 개발 및 국악 가창곡 지도에 있어 사용되는 정간보와 시김새에 관한 연구,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여러 선행 논문 등 학술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악교육 현장에서 국악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재나 교육방법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고, 최근 들어 가야금을 중심으로 한 국악기는 성문화된 악보자료가 개발되고 있으나, 판소리나 가야금병창은 아직도 거의 개발되지 않고 있다. 국악교육을 위한 자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교육기관 자체에서 제작한 사설보 및 단순 정간보가 대부분이다. 또한 오선보로 기보되었다 하더라도 주음만을 표기하여 정확한 장단 및 시김새를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교재가 없기 때문에 가르치는 사람마다 다르게 가르치고 있으며, 배우는 사람은 표준화된 악보가 없어 배우는데 혼란스러움이 따른다. 또한 가창곡 교육에 있어 가장 핵심적 요소인 시김새 표현의 문제인데 시김새란 서양음악의 꾸밈음으로만 오해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진도아리랑의 남도민요로 꺽는음과 떠는음 등으로 표현해야 하는데 오선보에는 그런 표시를 상세히 할 수 없어 본래의 곡의 맛을 표현하기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시김새 표현 문제점은 국악교육을 체계화하고 활성화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리 시김새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악보를 개발하고, 개발된 병창악보를 활용하여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함으로써 가야금병창을 배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반화된 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많은 부분이 성문화되어 있지 않은 소리 시김새에 따른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 중, 고, 국립 일반 문화학교에서 국악 가창곡 교재로 사용하는 현황을 정리하여 분석한 후 전래/창작동요포함 5곡, 민요(경기민요, 남도민요) 5곡, 단가/ 판소리 포함 5곡등 20곡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20곡에 따른 소리 시김새 유형및 빈도수를 파악하였고, 기존의 곡들을 중심으로 가야금병창곡으로 편곡하였다.

셋째, 소리 시김새 유형및 빈도에 따른 난이도를 설정하여 초급- 중급- 고급의 3단계로 90차시의 가야금병창 프로그램 설계및 개발을 하였다. 설계 및 개발과정에서는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구성하였다.

넷째, 본시 학습 과정안에는 18개의 유형의 소리 시김새를 익힌 후, 제재곡에 따라 학습 주제,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구분하였다.
학습단계로는 도입- 전개- 정리, 세 단계로 나누어 그에 따른 학습 차시 구분과 지도 방법시 유의점등을 제시하고, 과정안 지도를 한 후에 학습 정리를 통해 배운 부분을 정리 복습하여 다음 시간에 그 내용이 연장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시간에 배울 부분의 차시 예고를 통해 예습함으로써 보다 가야금병창을 소리 시김새를 살려 효과적으로 교육 할 수 있도록 과정안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재 방식과 새로운 오선보 + 정간보 + 소리 시김새 + 가야금병창보를 한눈에 보여줌으로써 가야금병창을 교육하는데 있어 새로운 방식의 국악 교육 교재 개발을 시도하였는데 의의가 있겠다.

이러한 시도는 매우 단편적인 연구로서 가창곡을 가야금병창으로 실제 지도안을 제시해 주었다고 저절로 국악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소리 시김새 부분에 있어서는 부르는 사람마다 약간에 차이가 있는것을 인식을 하고, 앞으로 이러한 작업이 계속 수정, 보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작게는 가야금병창 레파토리 확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고 크게는 서양음악에 익숙해져 있고 길들어져 있는 우리들에게 우리 음악의 우수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아울러 우리의 민족의식을 고취 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ayageum-Byungchang stepwise instructional program utilizing Sori Simimsae to provid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ors with a guided instructional material,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a self-study instructional material.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steps. First, K-12 music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used in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institu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econd, 20 of Korean traditional songs were selected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progra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20 songs, 17 styles of Sori Sigimsae were drawn. Fourth, Jeonggangbo with Sori Sigimsae were developed. Fifth, Gayageum-Byungchang scores utilizing Sori Sigimsae were developed. Sixth, the scores were developed in 3 levels(basic, intermediate, advanced) by the difficulties and complexities of the music and Sori Sigimsae. Finally, total of 90 hours of the lesson plans were developed.
The Gayageum-Byungchang scores are consisted of song staff notation, Gayageum staff notation, and Saseol Jeonggangbo with Sori Sigimsae. As a result it can be easily read by the musicians who play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tudents who want to learn the music.
It is suggested that following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the near future. First, patterns of Sori Sigimsae might be related with the songs, 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needs to be explored. Second, melod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ight be related with styles and patterns of Sori Sigimsae, 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needs to be investigated. Third, it is worth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tyles and frequencies of Sori Sigimsae between Pansori and Gayageum-Byungchang.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Gayageum Byungchang Instructional Program Utilizing Sori Sigimsae
Alternative Author(s)
Jung Ja Ky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박주성
Awarded Date
2010-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Ⅴ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방법 및 한계 4
D.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소리(가창) 8
B. 가야금(기악) 34
C. 가야금병창(가창 + 기악) 39
D. 선행 연구 고찰 44

Ⅲ. 개발 모형 및 절차 53
A.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53
B.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54

Ⅳ.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 개발 65
A. 학습전개 계획 65
B.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 68

Ⅴ. 결론 및 제언 251
A. 결론 251
B. 제언 252

참고문헌 253



민요의 토리별 특성 11
장구와 북 연주 방법 21
시김새 부호 및 설명 33
가야금 연주법(오른손) 38
가야금 연주법(왼손) 39
선행 연구 분석 44
학교급에 따른 장르별 제재곡 분석 57
학교급에 따른 장단별 제재곡 분석 58
학교급, 장단 및 시김새 유형에 따른 제재곡 분석 59
제재곡별 시김새 유형 분석 61
제재곡별 시김새 유형 출현 횟수 62
소리와 가야금 악보 존재 여부에 따른 개발 내용 및 개발 곡 63
단계별 학습전개 계획 66
교수 · 학습 과정안의 틀 68




[그림 1] 정간보 구조도 18
[그림 2] 정간보 분할 예시 19
[그림 3] 음표 시가 분할 예시 19
[그림 4] 진양조 장단보 22
[그림 5] 진양조장단 정간보 예시(춘향가 중 퇴령소리) 22
[그림 6] 중모리 장단보 23
[그림 7] 중모리장단 정간보 예시(호남가) 23
[그림 8] 중중모리 장단보 24
[그림 9] 중중모리장단 정간보 예시(사랑가) 24
[그림 10] 굿거리 장단보 25
[그림 11] 굿거리장단 정간보 예시(늴리리야) 25
[그림 12] 세마치 장단보 25
[그림 13] 세마치장단 정간보 예시(아리랑) 26
[그림 14] 자진모리 장단보 26
[그림 15] 자진모리장단 정간보 예시(경복궁타령) 26
[그림 16] 휘모리 장단보 27
[그림 17] 휘모리장단 정간보 예시(옹헤야) 27
[그림 18] 경토리 선법 28
[그림 19] 육자배기토리 선법 28
[그림 20] 메나리토리 선법 29
[그림 21] 수심가토리 선법 29
[그림 22] 가야금 구조 35
[그림 23] 가야금 연주 자세 35
[그림 24] 가야금 음역 36
[그림 25] 가야금 연주 수법 37
[그림 26] 가야금병창 전승 계보 40
[그림 27] 전래동요 교재 중 오선보 예시 49
[그림 28] 가야금병창 교재 중 사랑가 정간보 예시 50
[그림 29] 가야금병창 교재 중 사랑가 오선보 예시 50
[그림 30] 단소 교재 중 정간보 예시 51
[그림 31] 판소리 교재 중 오선보 예시 51
[그림 32] 민요 시김새 지도 교재 중 정간보 예시 52
[그림 33] 민요 지도 교재 중 가락선 악보 예시 52
[그림 34] 개발 모형 53
[그림 35] 가야금병창 악보 예시(새야새야) 63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정자경. (2010). 소리 시김새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교육 프로그램 개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745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019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