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회화에 나타난 민속화의 비교 분석:시각디자인을 위한 민화·세화·우키요에를 중심으로
- Author(s)
- 윤미영
- Issued Date
- 2009
- Abstract
- 새로운 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보화로 세계가 빠르게 통합되어가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종교·인종·언어 등에서 서로 다른 국가들이 공통점을 갖는 몇 개의 문명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불럭 문화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한·중·일 3국이 중심이 된 동북아시아는 문자 측면에서 한자(漢字)를 공유해 왔으며, 유교사상에 기반한 사회적 계층의 위계질서를 형성하여 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세계2차대전 이후 일본을 시작으로 한국, 중국이 계속 경제적 성장을 거듭해가면서 그들의 문화적 잠재력 또한 일찍부터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왔다. 비서구사회와의 대칭적 입장에서 경제·문화·스포츠 등 독보적 성장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다른 어떤 지역문화공동체보다 가장 강열한 개성과 발전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디자인에 있어서도 국제화시대에 들어선 오늘 날 한·중·일 각 나라가 ‘국제적 수준’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면서도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각 나라의 특성에 따라 발전의 방향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다. 이것은 각국의 역사문화의 영향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사상과 개성 및 주제의 흐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동북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 선조들이 물려준 거대한 ‘정신문화’의 유산은 반드시 미래의 후손들에게 계승 발전되어져야 한다.
한·중·일 3국의 민속화는 서민적, 실용적 그림이라는 특징에서 그의 예술성을 현대 디자인에 접목시키기에 아주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우수한 디자인은 제품의 지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미적 감각을 자극하고 느끼고자 하는 심리를 동시에 만족 시켜 줄 수 있다. 때문에 현대 디자인에 전통 민속 미술을 계승 발전시켜 응용 및 접목시키는 것은 역사문화의 새로운 매력과 자부심을 자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한·중·일 회화에 나타난 민속화의 비교 분석이라는 주제 속에 각국의 또 다른 특징인 민화·세화·우키요에 등으로 압축하였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서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민속화의 개념과 사상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한·중·일 3국의 민속화 개념을 이론적 배경, 역사와 발전, 실용화단계 그리고 3국의 민속화를 회화의 3요소인 형태·선·색채로 나누어서 객관적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 민화의 정의와 개념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민화의 변천과정을 ①고대로부터 삼국시대까지, ②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 시대까지, ③조선 중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3단락의 역사단계로 나누어보았다. 또한 민화의 형태·선·색채를 보다 구체적 주관적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으며 민화의 기능과 역할, 대중적 이미지, 실용 미술적 개념, 민화의 종류와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 세화의 정의와 개념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세화의 변천과정을 ①고대로부터 당조까지, ②송조에서 원조까지, ③명조에서 청조까지 등 3단락의 역사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세화의 형태·선·색채를 보다 주관적 구체적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으며 세화의 기능과 역할, 대중적 이미지, 실용 미술적 개념, 세화의 종류와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일본 우키요에의 정의와 개념을 보다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우키요에의 변천과정을 ①고대로부터 에도시대까지, ②에도시대 초기부터 중기까지, ③에도시대 중기부터 메이지 초기까지 3단락의 역사단계로 나누었다. 또한 우키요에의 형태·선·색채를 보다 구체적 입장에서 분석해 보았으며 우키요에의 기능과 역할, 대중적 이미지, 실용 미술적 개념, 우키요에의 종류와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제6장에서는 3국의 민속화 특징을 서로 비교 분석된 문헌 등의 자료가 거의 전무한 상태였지만 나름대로 연구하여 가급적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해 보았다.
제7장에서는 현대에 응용된 3국 민속화의 응용사례를 분석해 보았으며 특히 시각 및 인쇄 소재, 섬유 및 날염의 소재, 도자기 및 금속의 소재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위의 주제별로 연구한 결과 3국 민속화의 유사성과 비유사성, 현대적인 조형미, 독창적인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국의 전통문화 속에서 동북아의 미를 재발견하고 그것을 문화 경쟁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각각의 독자성을 갖기 위해서는 동북아시아의 문화에서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대상에 맞는 미의식을 정립해야 한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었다. 또한 세계 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닌 독자적 가치 및 현대의 대중적 정서와 쉽게 만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디자인으로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The world in the new century is being integrated rapidly by informatiz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s going forward to the time of block culture forming some civilization communities that different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religion, human race, language in reality.
Northeast Asia centered on Korea, China and Japan has shared Chinese character in the aspect of letter and formed the hierarchical order of social levels based on Confucian ideas.
In addition, these countries, while Korea, China and Japan grow economically again and again after the Second World War, has been recognized their cultural potential internationally from the early period.
They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more intensive individuality and development than any other cultural community in that they have achieved the most successful growth in the areas such as economy, culture, sports in the symmetrical position with non-western society.
In the aspect of design, each country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oday's international era is developing toward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hey are different a little bit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own feature.
We can see there is a flow of a certain thought, individuality and subject under the potential effect of history and culture in each country.
The heritage of a large 'spiritual culture' inherited from their ancestors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with lots of millennial history must be succeeded to their future generations and developed.
Folk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most suitable for applying their artistry to the modern design in the aspect of their democratic and practical ones.
Excellent design can not only raise its brand name, but also satisfy consumers who hope to be stimulated in the eye for the beauty.
Therefore, we will take pride in the new attraction of history and culture by applying traditional folk art to modern design.
This treatise is condensed into folk paintings, new year paintings and Ukiyo-e which have another features of each country in the subject, Comparative Analysis of Folk Paintings Shown in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first chapter, an introduction, suggests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and method of study.
The second one shows the concept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folk paintings.
I arranged the concept of folk paintings of three countries into the stages of theoretical background, history and development, and practical use, and divided their folk paintings into the form, line and color which are three elements of paintings, and studied them objectively.
The third one suggest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Korean folk painting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folk painting is divided into ①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② from Korea Dynasty to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③ from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to the last of Chosun Dynasty.
In addition, I analyzed the form, line and color of folk painting more subjectively, divided them into the function, role, popular image, concept of practical art, kinds and subject of folk painting and then studied them.
The fourth chapter presente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Chinese life painting more closely.
I divided its transitional process into ① from the ancient times to Tang Danasty, ② from Song Danasty to Won Danasty and ③ from Myeong Danasty to Ching Danasty.
Moreover, I also analyzed the form, line and color of life painting with more specific and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divided them into the function, role, popular image, concept of practical art, kinds and subject of life painting and then studied them.
The fifth chapter show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Japanese Ukiyo-e more closely.
The transitional process of Ukiyo-e is divided into ①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Edo era, ② from the former Edo era to the middle of Edo era and ③ the mid era to the former Maji era.
In addition, I analyzed the form, line and color of Ukiyo-e more subjectively, and divided them into the function, role, popular image, concept of practical art, kinds and subject of it and then studied them.
In the chapter 6 I tr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feature of the folk paintings of the three countries as objectively as possible, even though there were almost no compared and analyzed documental data about them.
In the chapter 7 I analyzed the applied cases of three countries folk paintings to the modern age, and especially divided them into the vidual material and printing material, fiber and textile printing material, pottery and metal material and then studied them.
As the result of studying according to the above subjects, I could confirm that we can express the similarity and non-similarity, the modern formative beauty and the originality of folk paintings of the three countries.
I found the beauty of Northeast Asia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three countries, and recognized that we have to establish the aesthetic concept in a modern sense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and continuous study in Northeast Asian culture for having our own individuality in the cultural competition age. Furthermore, it should be recreated as a future-oriented design which can easily meet the independent value and the popular emotion of modern with the universality which can have the sympathy in the world.
- Alternative Title
- Comparative Analysis of Folk Paintings Shown in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Focus on the Folk Painting, New Year Painting and Ukiyo-e for Visual Design
- Alternative Author(s)
- Yin, Mei Ying
- Affiliation
- 일반대학원 시각정보미디어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시각정보미디어학과
- Advisor
- 고현
- Awarded Date
- 2010-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국문초록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민속화의 개념과 사상적 배경
제1절 한·중·일 민속화의 이론적 배경 5
제2절 한·중·일 민속화의 역사와 발전 7
제3절 한·중·일 민속화의 형태와 실용화 11
제3장 한국 민화의 정의와 개념
제1절 민화의 변천과정 15
1. 고대로부터 삼국시대까지 15
2. 고려부터 조선 전기까지 16
3. 조선 중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17
제2절 민화의 기법 19
1. 형태의 특징 19
2. 선의 특징 20
3. 색채의 특징 21
제3절 민화의 기능과 역할 및 분류 23
1. 대중적 이미지 23
2. 실용 미술적 개념 24
3. 민화의 종류와 주제 25
제4장 중국 세화의 정의와 개념
제1절 세화의 변천과정 29
1. 고대로부터 당조까지 29
2. 송조부터 원조까지 29
3. 명조부터 청조까지 31
제2절 세화의 기법 34
1. 형태의 특징 34
2. 선의 특징 35
3. 색채의 특징 36
제3절 세화의 기능과 역할 및 분류 38
1. 대중적 이미지 38
2. 실용 미술적 개념 38
3. 세화의 종류와 주제 39
제5장 일본 우키요에의 정의와 개념
제1절 우키요에의 변천과정 41
1. 고대로부터 에도시대 초기까지 41
2. 에도시대 초기부터 중기까지 42
3. 에도시대 중기부터 후기까지 44
제2절 우키요에의 기법 46
1. 형태의 특징 46
2. 선의 특징 46
3. 색채의 특징 47
제3절 우키요에의 기능과 역할 및 분류 49
1. 대중적 이미지 49
2. 실용 미술적 개념 50
3. 우키요에의 종류와 주제 51
제6장 한·중·일 민속화의 특징과 비교분석
제1절 한국 민화의 특징 55
제2절 중국 세화의 특징 57
제3절 일본 우키요에의 특징 59
제4절 한·중·일 민속화의 전개와 방법 61
1. 한·중·일 민속화의 형태 61
2. 한·중·일 민속화의 선 62
3. 한·중·일 민속화의 색채 63
제5절 3국 민속화의 비교분석 66
제7장 현대에 응용된 사례 분석
제1절 한·중·일 시각 및 인쇄 소재 71
제2절 한·중·일 섬유 및 날염의 소재 79
제3절 한·중·일 도자 및 금속 소재 82
제4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 85
제8장 결론 86
참고문헌
영문초록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윤미영. (2009). 한·중·일 회화에 나타난 민속화의 비교 분석:시각디자인을 위한 민화·세화·우키요에를 중심으로.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64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673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