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韓國近代建築 登錄文化財의 變容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봉수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근대건축과 등록문화재의 선행연구와 이론고찰을 통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근대건축의 도입과정을 아시아와 조선의 시대상황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등록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자료구축이라는 견지에서 용도, 평면, 입면의 변용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변용의 원인을 찾고자 하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근대건축의 도입은 동․서양이 접속하는 결절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 동남아시아는 우리와 동일한 입장이거나 근대건축술의 전파경로 상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근대건축의 형성은 개항장의 조계지를 토대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경로는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외국공관 계통의 건축, 둘째는 선교사를 통해 들어온 서양인의 종교건축 과 교육시설, 셋째는 외국인의 상사 건물 및 주택, 다음으로 일본인에 공공건물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건축물은 설립자의 국적에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등 구미 각국의 전통적 건축양식이 표현되게 되었다. 서구 각국의 공관은 르네상스 내지 절충양식을 취하고 있으며, 종교건축은 고딕복고양식을, 일본을 통한 건물은 대부분 목조의 의양풍(擬洋風)이나 르네상스풍의 절충주의 건물이고, 후기에 오면서 정규교육을 받은 일본인 건축가에 의해 양식주의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한다. 결국 우리 근대건축의 형성기로 볼 수 있는 조계지에는 다양다종의 건축이 등장하게 되고 이후 내륙의 주요도시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한국 근대건축물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건축물의 건립시기와 용도를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건립시기의 구분은 외세의 문물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개항기를 시작으로 한일합방과 해방 등 역사적인 사건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용도의 구분은 근대에 건축되는 건축물의 용도를 조사하여 종교, 교육, 주거 등으로 그룹지어 그 용도별 특성을 고찰하였다. 건축적 특성은 근대문화유산에 등록된 등록문화재를 대상으로 각 평면형태, 건축물의 구조, 구성재료, 지붕가구, 지붕형태 등을 조사하고 비교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근대문화유산에 등록된 문화재를 대상으로 각각의 평면형태, 구조, 지붕가구, 재료 등을 조사하여 건립시기와 용도를 파악하여 시기의 경우 개항과 일제강점 해방 등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구분하였고 용도의 경우 종교시설, 업무시설, 교육시설 등 문화재청에서 종래 건조물 등록문화재를 등록할 때 분류한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평면변용의 유형은 면적을 증가시키는 증축, 단위 공간의 개수가 증가하는 분할과 역으로 공간의 개수가 감소하는 통합, 면적과 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축소 그리고 벽체의 이동을 통해 발생하는 조정으로 나눌 수 있었고 증축의 경우 기존건축물에 덧대어 실을 추가하는 부가와 기존의 실을 외부로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변용의 유형은 부가, 확장, 통합, 분할, 축소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었다. 대상건축물에서 발생된 변용의 유형별 빈도는 부가형 33, 분할형 18, 통합형 11, 확장 7, 축소 5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용은 하나의 유형뿐만 아니라 증축과 조정, 분할 및 통합 등의 복합적으로 발생되고 있었다. 특히 종교시설의 경우 부가에 의한 증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교육시설은 분할에 의한 공간의 조정이 변용의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업무시설은 부가를 통해 실과 면적을 증가시키고, 분할하여 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변용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기타시설 중 상업시설은 부가, 확장, 통합이 고르게 나타나고 공공시설은 분할의 방법으로 변용이 발생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입면의 변용은 창호, 지붕, 외벽, 출입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색상을 바꾸는 소극적인 경우에서부터 재료를 바꾸거나 형태까지도 변경시키는 등 다양한 입면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변용의 원인으로 내적인 측면에서는 건물의 내구년한과 소유권자의 상황성으로 생각되고 외적인 측면에서는 사회구조의 변화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내구년한에 의한 건축물의 노후는 입면변용의 원인이 되었으며 건립당시에 사용된 재료를 구할 수 없는 현실적 어려움은 타 재료로 대체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소유자의 상황성과 외적인 측면의 사회구조 변화는 상호 영향을 주면서 건물의 변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분석대상 등록문화재 14건에 대한 부위별 수리빈도는 지붕, 벽체, 창호의 순서를 보이는데 대부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후와 누수가 가장 큰 수리의 원인으로 판단되었으나 다른 수리의 원인으로는 과거의 수리로 인하여 원형이 훼손된 경우 원형복원을 목적으로 수리하는 경우도 파악되었다. 원형을 변화시키는 주된 재료로는 지붕부위에 주로 쓰이는 동판과 기존의 재질과 상이한 창호 등으로 확인되었다. 과거 설치되었던 골슬레이트나 기와를 대신하는 재료로 최근 활용도가 높은 동판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높지만 기존의 형태를 제대로 살리는 재료로는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섯째, 근대 서구양식건축의 보수에 대한 학술적인 검증은 실제 보수시에 적용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원형유지 및 보존을 위한 학술적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문화재 지정 및 등록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조사에서 연혁은 물론이고 양식적 건축적 특징에 관한 학술적 검증은 문화재 지정당시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실제의 수리에서는 수리업자에 의해 바뀌어버릴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최초에 건축물이 신축될 때에 적용된 기술이 더 이상 필요치 않다고 판단되거나 존치시키기 위한 구조의 강화책으로는 가장 과학적이고 현대화된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한국근대건축을 원형의 형태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근대건축에 관하여 전문적인 기술을 갖춘 기술인을 별도로 등록할 수 있는 기준의 마련과 향후 전통건축과 구분되는 근대건축에 대한 전문가 및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매년 시행되는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시험의 내용에도 근대사를 비롯한 근대건축의 구조 및 수리의 분야도 확장하여 다룸으로써 근대건축의 실무자 양성에 일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r
Alternative Author(s)
Lee, Bong-so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박강철
Awarded Date
2010-02
Table Of Contents
1. 序論
1.1 硏究의 背景 및 目的 1
1.2 硏究의 方法 및 範圍 1
1.3 用語의 使用 3

2. 理論考察
2.1 登錄文化財의 槪念 8
2.1.1 導入의 背景 8
2.1.2 制度의 特徵 9
2.1.3 指定文化財와의 比較 15
2.2 變容의 槪念 및 原因 17
2.3 先行硏究考察 19

3. 韓國近代建築의 導入과 形成
3.1 近代建築의 導入 26
3.1.1 아시아의 近代建築 導入 26
3.1.2 朝鮮의 近代建築 導入 28
3.2 韓國近代建築의 地域別 形成 32
3.2.1 釜山 34
3.2.2 仁川 39
3.2.3 木浦 42
3.2.4 群山 44

4. 登錄文化財의 建築的 特徵
4.1 建築的 特徵 48
4.1.1 用途別 建築特性 48
4.1.2 時期別 建築特性 68
4.2 登錄文化財 事例 81
4.2.1 宗敎施設 81
4.2.2 業務施設 85
4.2.3 敎育施設 90
4.2.4 其他施設 94

5. 登錄文化財의 建築的 變容
5.1 平面의 變容 102
5.1.1 업무시설 103
5.1.2 교육시설 106
5.1.3 종교시설 108
5.1.4 기타시설 109
5.2 立面의 變容 112
5.3 修理에 의한 變化 118
5.3.1 修理現況 118
5.3.2 修理事例 125
5.3.3 修理에 의한 變化 151

6. 登錄文化財의 保全 方案
6.1 制度 및 政策의 轉換 158
6.1.1 指定 및 登錄基準의 改定 159
6.1.2 保存方式의 多樣化 163
6.2 修理技術과 紀錄의 아카이브화 164
6.2.1 修理技術에 관한 記錄管理 164
6.2.2 修理 專門人力의 擴充 170

7. 結論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이봉수. (2009). 韓國近代建築 登錄文化財의 變容에 관한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64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65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