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실외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Author(s)
- 김원준
- Issued Date
- 2009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기초체력, 신체적 자아개념, 일상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내용으로 구분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방향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 및 표현생활영역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유아의 심동적 측면에서는 기본운동능력과 기초체력, 인지적 측면에서는 운동, 건강, 안전 관련 경험, 정의적 측면에서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의 발달을 위하여 통합적인 방향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기본운동능력에 있어서 기본운동능력의 요소와 기본운동의 유형을 중심으로 유치원의 생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대. 소도구를 활용하여 유아의 기본운동 능력과 기초체력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단계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초기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 단계에서는 실외 공간을 충분히 탐색하고 신체와 관계를 맺고 실외 공간에 친숙해지는 단계로 유아가 공간과 신체를 활용하는데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적응할 수 있도록 했다. 중기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에서는 초기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응을 전제로 중기에는 보다 더 큰 공간에서 유아들이 공간과 신체와 물체와 관계를 맺으며 운동 개념과 운동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프로그램 말기에는 프로그램 초기 공간에 친숙하기, 프로그램 중기 공간에 적응하기 과정을 통하여 유아들은 기존의 일상적인 실외활동이 가져준 지루함과 단조로움에 벗어서 다양한 형태의 실외 신체활동 즉, 다양한 도구와 소품을 이용한 신체활동,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고 이용하면서 신체를 마음껏 조절하고 표현하는 활동, 음악과 사람(대, 소그룹)과 관계를 맺으며 신체활동을 응용하고 변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국내외 관련 논문 및 자료 분석, 전문가 협의, 활동 설계 및 시안 구성, 예비실험 후 보완 단계를 거쳐 죄종 마무리 하였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성된 활동의 적용과 평가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국내외 관련 논문 및 자료 분석, 전문가 협의, 활동 설계 및 시안 구성, 예비실험 후 보완 단계를 거쳐 죄종 마무리 하였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성된 활동의 적용과 평가 단계를 거쳤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과정의 순환적 4단계에 근거하였다. 즉,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의 목적 및 목표설정 단계, 목적과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하는 단계, 조직한 내용을 교수전략 및 교수원리를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시하는 교수․학습 단계 그리고 평가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실외 신체활동의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기초체력, 신체적 자아개념 증진과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스트레스 해소를 도모하는 것이다.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은 발달 적합성의 원리, 나선형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를 적용하였으며, 실외 공간과 대 ․소도구의 다양한 운동 교구를 활용하여 기본운동의 요소와 기본운동유형이 통합된 총 20회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에서 교수원리는 놀이학습의 원리, 탐구학습의 원리, 반복학습의 원리, 통합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교수방법은 Gallahue와 Dommelly(2003)가 제시한 유아중심의 비지시적 교수 방법과 교사 중심의 지시적 교수 방법을 결합한 상호작용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을 택하였다.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교사의 역할은 교사자신이 실외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유아의 건강 및 정서 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개방적이고 자극적인 언어 사용을 통하여 유아의 신체 움직임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칭찬과 격려 및 긍정적 강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항상 안전한 가운데서 신체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며 필요시 교사는 시범자와 설명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크게 교사의 자기평가와 교사의 유아에 대한 평가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자기평가는 활동 및 교수방법에 대한 평가 유아들의 활동 이해정도, 참여 태도 등을 포함하였다. 교사의 유아에 대한 평가는 기본운동능력의 정도 및 신체활동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M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었다.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절차는 검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예비 연구, 교사 훈련, 사전검사, 동작교육활동 적용,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유아를 위한 실외 신체활동을 적용하고 기본운동능력, 기초체력, 신체적 자아개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기본운동능력의 유형 중 이동 운동능력 검사 결과, 홉핑, 달리기, 겔로핑, 리핑, 수평점핑, 슬라이딩에서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기본운동능력의 유형 중 조작운동능력 검사 결과, 공차기, 공치기, 공받기, 오버핸드 던지기, 공굴리기, 공 튀기기에서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기초체력의 하위요소 중 순발력을 제외한 평형성, 유연성, 근력, 민첩성 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신체적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운동에 대한 유능감, 건강, 외모, 체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비난- 공격적 상황’, ‘불안-좌절 상황’, ‘자존감 상한 상황에서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ABSTRACT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Kim, Won Joon
Advisor: Prof. Park, Joosung, Ph.D.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to measure it's effect of the program to see if the program is effective on improving the basic motor skills, physical movement capabilities, physical self-awareness, and stress level of young childre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First, what elements are needed to be included in the program?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were 40 of 5-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groups. They were divided and assigned equally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12 boys and 8 girls) and a control group(8 boys and 12 girl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he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using various motor skill and movements,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the traditional outdoor physical activities for 10 weeks.
The TGMD Ⅱ was used to measure the basic locomotor skills in terms of run, leap, gallop, hop, jump, and slide. and to measure the manipulative skills in terms of hit, kick, overhand throw, catch, roll, and bounce. Baisc physical capabilites were measured too.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awareness in terms of appearance, motor skill self-efficacy, physical strength, and health. Korean Preschool Daily Stree Scale(KPDSS) was used to measure the daily stress level of young children.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Statistical methods used to analyze the data, t-test was used to see if two groups was homogeneous i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differences of pre-test between two groups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otor skills, basic physical capabilities, physical self-efficacy, and daily stress level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ut in post-test there exi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young children's motor skills, basic physical capabilities, physical self-efficacy, and daily stress level
- Alternative Title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Outdoor Physical Activities
- Alternative Author(s)
- Kim, Won J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Advisor
- 박주성
- Awarded Date
- 2010-02
- Table Of Contents
- 목 차
ABSTRACT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D.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A. 신체활동 9
B. 실외 신체활동 14
C. 기본 운동능력 17
D. 기초 체력 28
E. 신체적 자아개념 32
F. 유아의 스트레스 34
G. 선행연구 고찰 39
Ⅲ.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47
A.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47
B. 프로그램의 구성 49
C. 프로그램의 모형 59
D.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 62
Ⅳ. 실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64
A. 연구 대상 65
B. 연구 도구 72
C. 연구 절차 73
D. 자료 처리 84
E. 연구 결과 84
V. 논의 및 제언 104
A. 논의 및 결론 104
B. 제언 111
참고문헌 112
부록 123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김원준. (2009). 유아 실외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56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9479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0-01-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