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법순
Issued Date
2009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포괄적 음악능력 계발 및 증진을 위하여 연령별(3,4,5세)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및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포괄적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연령별 효과는 어떠한가?
: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유아기관 실행을 위한 문제점 및 시사점 그리고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기초조사(교사인식, 현장 실태조사), 예비연구, 전문가협의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 등을 병행하였다. 첫째, 연령별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하여 연구자는 유아기관 교육과정 표현생활(예술경험)영역 및 유아음악 관련 문헌 분석과 현장 실태조사를 실행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개발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협의회와 3차 예비조사를 실행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먼저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4곳의 유아기관 원생 325명을 대상으로 음악능력을 측정한 뒤 305명(실험집단:153명, 비교집단:152명)의 자료만을 바탕으로 하였다. 효과분석은 SPSS/PC 15.0을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 평균의 차이로 T-검정, 영역별 집단 간 음악능력 점수 비교는 공분산분석, 실험집단의 지역별 음악능력 점수에 대한 비교·분석은 분산분석(ANOVA)을 통해 유의한 차이를 양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질적 연구 방법(면담, 관찰)을 활용하여 양적 연구에서 나타난 효과에 대한 요인, 변화과정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질적 연구과정에서는 기관장, 유아교사, 학부모 등 48명(기관장 4명, 교사 11명, 학부모 33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행하였고, 4개 반(유아기관별 1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자의 수업관찰과 유아 33명(3, 4, 5세)에 대한 담당교사의 집중 관찰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분석결과에서는 포괄적 음악능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3, 4, 5세 유아들의 정의적 특성, 음악적 인지, 표현, 창의 영역 등의 사후점수가 비교집단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정의적 측면은 연령별로 고르게 신장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그 외 영역에서는 나이가 어릴수록 높은 효과치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질적 분석에서는 양적 효과 검증과는 차별화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양적 효과검증에서는 유아들의 음악적 능력(정의, 인지, 표현, 창의 영역)이 전반적으로 신장되었음을 수치화하여 제시해주었지만, 왜 그러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그러한 변화의 요인과 변화 과정들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였다. 즉, 수업관찰과 유아 집중 관찰에서는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기존의 노래부르기 활동만이 아닌 다양한 음악활동을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조장하고, 시청각적 교구활용과 즐거운 음악놀이 등이 정의, 인지, 표현, 창의 영역의 신장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목도할 수 있었으며, 교사 면담에서도 유아들의 그러한 변화 과정과 변화 요인을 뒷받침해주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유아에게 적합한 통합교육과정의 구성에 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1990년대 이후부터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표현생활 영역은 심미적인 교육으로서 음악과 율동에 관심을 가지고 통합교육과정을 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표준보육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예술적 요소를 경험하고 탐색하고 표현하고 즐김으로서 심미감, 감성, 창의성을 기르고,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표현생활 영역의 구성은 음악을 보다 잘 이해하고 창작․연주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충분히 발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주제중심의 통합(주제와 관련된 교과 영역의 지식을 통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교육현장의 90% 이상이 표현생활 주제와 관련된 노래 부르기 위주로 진행되는 것(나정, 2005)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중심 통합 방식은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위축시키며, 또한 아직 교과 개념 및 구분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유아들에게는 사회, 언어, 탐구(과학․수학) 등은 적절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포괄적 음악 프로그램의 효과는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한 단초를 제공한다. 즉, 포괄적 음악프로그램은 정의, 인지, 표현, 창의적 영역에 높은 효과를 가져 왔을 뿐만 아니라 배려심, 사회성, 협동심, 탐구정신, 어휘 구사력, 수 개념, 그리기 능력 등 유아의 포괄적 능력 신장을 가져 왔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장애아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음악적 반응은 괄목할만한 것으로 다른 의미의 통합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유아기에는 음악 또는 예술 과목을 중심으로 포괄적 능력(정의, 인지, 표현, 창의성 영역) 신장 위주의 사회, 언어, 표현, 탐구를 포괄하는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유아들에게 보다 적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교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과 연수에 논의가 필요하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은 포괄적 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로 자신들의 지도능력 및 평가능력 부족 그리고 통합주제에 따라 포괄적으로 음악을 재구성하는데 한계를 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원인은 현장을 외면한 대학의 유아교육관련 커리큘럼과, 참여 불가능한 연수여건(시간대, 기간, 연수내용 등)이 급변하는 시대에 자신감을 잃게 한다고 하였다. 교사들은 심층면담결과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기를 희망하였으며 연수에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의사소통의 창구를 찾지 못한 채 열악한 환경에 적응하기보다는 거의가 교육현장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현장 감각 있는 커리큘럼 운영과 유아교사가 참여 가능한 유연한 연수체제 조성은 교사들의 전문적 역할과 아울러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향상에 핵심적과제로 보인다.
셋째, 학부모의 관심과 유아교육기관의 주도적 프로그램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학부모의 관심분야는 장차 초등학교성적을 염두에 둔 학습관련 인지분야로 언어(영어), 수 등이며 음악은 우선순위가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그동안 유아기관들의 특별프로그램 운영은 학부모 관심분야에 따라 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미적 감수성과 창의력 등 고차원적인 두뇌활동이 요구되는 시대적 인재양성이 교육목표임을 감안할 때 유아기 포괄적 음악능력에 증진을 가져오는 음악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본 연구는 열악한 음악교육 환경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실행결과 유아, 교사, 부모가 순환적이고 상호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교육의 높은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의 효과는 또 교사와 부모의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이에 유아기관에서의 포괄적 음악교육을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기관 통합교육과정 표현영역 주제에 따른 연령별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포괄적이며 음악개념의 심화 확대를 기본으로 구성됨으로서 유아의 포괄적 음악능력 증진은 물론 유아기관 표현영역의 목표달성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교사와 부모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후속연구로 전 연령대 연 간 프로그램과 음악 또는 예술 과목을 중심으로 포괄적 능력(정의, 인지, 표현, 창의성 영역) 신장 위주의 통합교육과정 구성과 검증이 요구된다.|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cusing on its Effects and Implications for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Kim, Beobsoon
Advisor : Prof. Na, Jangham, Ph.D.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young children's musical competence, (b)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3, 4, and 5 year olds respectively, and (c) to examin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programs for further active application.
The music education program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upon the basis of literature analysis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field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centers. The developed program went through the supervision of expert council composed of 2 and 3 music education and young children's education professionals respectively, and were revised after three pilot studies.
The programs were conducted to 325 kindergarteners from four areas with different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data of 305 children's(153 in the experimental and 152 in the control group) musical competence were tested quantitatively. For further investigation, 48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were interviewed, and four classes on different education centers were observed. An intensive observation of 33 children by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m were also includ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tested by mean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t-test), the difference of musical competence among musical domains were tested with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the difference of groups among local areas were tested with analysis of variance(ANOVA) using SPSS 15.0. Some qualitative investigation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added to analyz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es show that the scores of 3, 4, and 5 year olds posttest(in affective characteristics, musical cognition,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in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scores of children in control group. The affective aspects showed even increase across ages, but younger children showed greater effect in musical cognition, expressiveness, and in creativity.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ed in differentiated information. Even th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e children's musical competence were increased based on the score, it couldn't provide the detailed information about why the change occurred. But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provided the frame to understand the factors and course of the change. From class observation and intensive observation of 33 childre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came from following factors: it fostere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it was composed to provide possibility to increase affect, musical cognition,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by using various audio-visual educational instruments and amusing musical plays. Interviews with teachers procured data about active responses to music which support the factors underlying the change proces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me following issues and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iscuss the composition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apt for young children. Since 1990, the expressive area in kindergarten curriculum has pursued to make comprehensive education curriculum concerning music and rhythmic movement, but above 90% of educational curriculum at the institutions around the country are comprised of singing that are related to express some theme.
These theme-centered methods restrict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ome subjects like social study, language and inquisitive activities(science and math) are not proper for young children who do not have any concepts about subjects and who can't distinguish between subjects.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provided a basis for this task. The music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had great effect not only on young children's affect, cognition,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but also on their care for others, sociability, cooperativeness, inquisitiveness, free usage of vocabulary, concepts for figures, and drawing abilities. Especially the interest for and the response at the music that the disabled children showed implied some other possibilities for integration. From these points,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it is more proper for the young children to form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music or art including subjects for increasing sociability, language usage, expressiveness, and inquisitive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urriculum and training program of collage related to young children's education. The teachers at the young children's education centers listed their weakness in teaching, assessing, and recomposing music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comprehensive theme as their reason for inability to practic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They pointed the inapt curriculum at the college that does not consider the need at the real field and the improper training programs that they can't attend because of timing, period and contents. They wanted more field-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training programs. They showed great will to attend the training program if it could serve their needs. The curriculum that reflect, the need at the field and the flexible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to attend seems to be the central task to be done for enhancing young children's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caring.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relation between interest of parents and the primary programs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centers. The parents in our country are not interested in music but are most interested in subjects like language(English) and arithmetic that are related to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future. And the special programs in the kindergartens tended to be composed of domains that reflect parents' interest. But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hat increase the comprehensive musical competence can never be overemphasized considering the need to raise sensitivity to beauty, creativity and other high-level thinking ability that are necessary in this age. Even though the environment for music education was poor, the program in this study yielded high effect from interactiv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is effect provided an occasion for changing thought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young children's education.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support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to be practiced primarily at the young children's education cent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development of mor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for their ages, provision of possibility to achieve the objects of expressiveness as well as comprehensive music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 provision of occasion for changing teachers and parents' thoughts about music education.
As follow-up studies,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test some yearly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all ages(1-5year olds) and to form and test integrative curriculum to increase comprehensive competence(affect, cognition,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centered around music or art.
Alternative Titl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cusing on its Effects and Implications for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Alternative Author(s)
Kim, Beobso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나장함
Awarded Date
2009-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ⅶ
I. 서 론 1
A.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범위 5
1. 용어의 정의 5
2. 연구의 제한점 7
3. 논문의 구성 7
Ⅱ. 이론적 배경 9
A. 유아의 음악능력과 포괄적 음악교육 9
1. 유아의 음악능력 9
2. 포괄적 음악교육 13
B. 포괄적 음악교육 교수․학습 방법 고찰 17
1. 유아음악교육 교수․학습 17
2. 아마데우스 클래스 음악교육 방법 19
3. 유아기관 통합교육과정 안에서의 음악교육의 문제점 22
C. 선행연구의 고찰 23
1. 우리나라 유아음악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23
2.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24
3. 유아의 음악능력에 관한 연구 25
Ⅲ.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30
A.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30
1. 교수 효능감 및 포괄적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실태 32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내용분석 40
3.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시안 구성 47
4. 프로그램 시안의 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 탐색 60
5. 전문가 피드백 61
6.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 최종안 개발 및 적용 62
Ⅳ.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63
A. 연구 대상 63
B. 음악능력 측정도구 64
1. 정의적 영역 64
2. 음악적 인지능력 64
3. 음악적 표현능력 64
4. 음악적 창의성 65
C.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절차 66
1. 효과 검증을 위한 예비연구 67
2. 검사자 훈련 68
3. 교사교육 68
4. 연구 방법 69
5.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실시 72
6. 자료 분석 방법 76
D. 사례별 효과 분석 78
1. 사례1: A&B 유아기관 78
2. 사례2: C유아기관 97
3. 사례3: D유아기관 115
4. 사례4: E유아기관 131
Ⅴ. 사례 간 종합분석 146
A. 양적 종합분석 146
1. 연구대상의 특성 146
2. 프로그램 효과 분석 147
B. 질적 종합분석 150
1. 유아의 음악적 변화 150
2. 유아기관의 차등적 음악능력 증진에 대한 요인 분석 162
3. 포괄적 유아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인식변화 163
4. 학부모의 인식 변화 167
Ⅵ. 논의 및 결론 168
A. 요약 168
B. 논의: 유아기관에서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172
C. 결론 및 제언 185
참고 문헌 190
부록 199
표 목 차

각 그룹이 선택한 기본 개념들 16
주요 음악개념 및 하위 개념 16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및 그 특징 18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접근방법 및 특성 비교 19
설문조사 표본(교사)의 분포 32
유아기관의 음악교육 활동 및 실태파악을 위한 표본(교사)의 분포 33
유아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34
유아 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의 차이 35
기초 현황조사의 주요결과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 39
유아기관 표현생활(예술경험) 영역 및 포괄적 음악교육의 성격 및 목표 41
문헌 연구 결과 음악교육의 내용 요소 45
본 프로그램의 최종 구성요소 46
유아의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48
음악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하위목표 50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선정된 내용 체계 51
음악개념 요소의 순환적 체계 53
비교집단 및 실험집단의 주제에 따른 활동 내용 53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모형 57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연령별 프로그램 58
예비연구의 유아 및 교사의 일반적 특성 60
예비연구 내용 및 결과 61
연구 참여 기관․유아․교사․학부모의 현황 63
수정․보완된 음악적 표현능력 64
수정․보완한 음악적 창의성 65
포괄적 음악교육의 문항 내적 일치도 66
제1차 교사교육 내용(수업내용) 69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실시 현황 7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하루 일과 운영 및 활동 내용 73
비교집단 활동의 예 75
A&B 유아기관의 양적 연구대상의 특성 79
A&B 유아기관의 양적 효과분석 결과 79
실험집단 연령에 따른 영역별 증진 점수 81
연구 참여 유아 및 학부모 현황 81
연구 참여 교사 현황 82
A유아기관의 포괄적 음악수업 사례 87
음악능력 증진의 기회에 대한 빈도수(A유아기관 5세반) 89
면담(교사, 학부모)을 통한 장애유아에 대한 변화 89
A유아기관에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 95
A유아기관에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환경적 측면) 96
C유아교육기관의 양적 연구대상 특성 98
유아기관의 양적 효과분석 결과 98
C유아기관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증진 점수 100
연구 참여 유아 및 학부모 현황 101
연구 참여 교사 현황 101
학습의 참여기회를 증진시키는 포괄적 음악수업 사례(C유아기관) 106
C유아기관의 음악능력 증진의 음악수업 사례 108
C유아기관 포괄적 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 113
C유아기관에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환경적 측면) 114
실험참여 유아교육기관 및 유아의 일반적 특성 116
D유아기관의 양적 효과분석 결과 117
D유아기관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증진 점수 118
연구 참여 유아 및 학부모 현황 119
연구 참여 교사현황 119
D유아기관 학습의 참여기회를 증진시키는 포괄적 음악수업 사례 124
포괄적 음악 교악수업 사례의 영역별 증진의 기회(D유아기관) 125
D유아기관에서의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 129
D유아기관의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환경적 측면) 130
E유아교육기관의 특성 132
E유아기관의 양적 효과분석 결과 133
E유아기관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증진점수 134
연구 참여 유아 및 학부모 현황 135
연구 참여 교사현황 135
학습의 참여기회를 증진시키는 포괄적 음악수업 사례(E유아기관) 139
음악능력 증진의 기회가 주어진 음악수업 사례(E유아기관) 140
E유아기관에서의 실천이 어려운 이유 143
E유아기관에서 포괄적 유아음악교육 실천이 어려운 이유(환경적 측면) 144
유아기관의 지역적 환경 특성 147
지역별 음악능력 점수 비교(사전․사후 점수 차이) 148
실험집단의 연령별 음악능력의 사후․사전 점수 비교분석 149
포괄적 음악능력 증진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기관별 빈도수 152
기관별 정의적 영역 특성 변화 153
기관별 음악적 인지영역 변화 155
기관별 음악적 표현능력에 대한 변화 157
기관별 음악적 창의성 변화 160
수업관찰 결과 기관별 차이점에 대한 요인 분석 162
실험참여 교사들의 인식 변화 164
포괄적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 요인 및 변화 양상 165
교사들의 포괄적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요인 및 변화내용 167
인식틀(구조적 측면, 인적자원적, 정치적, 문화·상징적)의 분류 173
클래스피아노의 장점과 특성 179



그 림 목 차

[그림 Ⅲ-1]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과정 31
[그림 Ⅲ-2] 유아기관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음악활동 36
[그림 Ⅲ-3] 체계적인 연간 프로그램 제공 희망 36
[그림 Ⅲ-4] 포괄적 음악교육에 연수의 필요성 37
[그림 Ⅲ-5] 유아기관 음악적 환경 수준 37
[그림 Ⅲ-6] 포괄적 음악교육을 위한 자료와 교재의 구비 정도 37
[그림 Ⅲ-7] 교사들의 포괄적 음악교육 실천을 위한 요구사항 38
[그림 Ⅳ-1]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절차 67
[그림 Ⅴ-1] 수업관찰을 통한 음악능력 증진 가능성의 빈도 152
[그림 Ⅵ-1] 복잡한 문제와 노출 횟수 17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법순. (2009). 유아의 음악능력 증진을 위한 포괄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31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843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9-08-0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