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지이론에 의한 초등학생의 레저시간 운동량 관련요인
- Author(s)
- 김율
- Issued Date
- 2008
- Abstract
- 본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5,6학년 학생 4,151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나라 아동들의 레저시간 운동량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으로서 사회인지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 각 구성변수들이 이들의 운동량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향후 보다 효과적인 아동 운동실천율 개선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들을 연구자와 초등학교 담임선생님 등이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번역하여 이용하였다. 학교장과 부모의 동의서를 받고 부모용설문과 학생용설문에 모두 응답한 학생들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사회인지이론 변수군의 레저시간 운동량의 변이에 대한 설명력은 17.9%로이는 연구대상자의 개인특성변수군(10.1%) 및 부모관련 특성변수군(0.6%)의 설명력에 비해 높았다. 최종분석모형에서 사회인지이론 구성변수 중 레저시간 운동량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물리적 상황, 사회적 상황의 경우 친구(β=1.920; p=.000), 사회적 지지(β=0.342; p=.028), 장애극복(β=1.311; p=.000), 대안마련(β=0.582; p=.002) 등 모든 하위영역의 자아효능감, 자기조절 중 목표설정(β=1.073; p=.000), 강화(β=0.488; p=.005) 등으로서 다른 특성변수를 통제하더라도 대부분의 사회인지이론 구성요인들이 레저시간 운동량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변수들이었다. 그러나 결과기대치는 운동량에 대한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았고 자기조절 중 사회적 지지는 경계역 수준에서 운동량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β=-0.190; p=.072). 사회인지이론 변수 이외에 성(남자>여자), 거주지역(농촌>도시), 몸매만족도(불만족, 보통>만족) 등이 운동량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과외시간은 경계역 수준에서 운동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회인지이론은 우리나라 일부 아동들의 레저시간운동량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임이 확인할 수 있었다. 친구관련 사회적 상황은 운동량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수였다는 점에서 버디시스템 등 이 요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유사한 설명력을 가지는 자기조절이나 자아효능감을 활용하기 위해 이 집단을 대상으로 개발되는 운동프로그램은 운동과 정밀한 계획의 수립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단면연구로서 사회인지이론 변수들과 운동량간의 인과적 관계를 가정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한 다양한 중재연구와 아울러 사회인지이론 변수들간의 구조적 상호연관성을 밝힐 수 있는 추가 연구들이 이루어져 이 연구의 한계들이 극복되기는 기대한다.|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ognition that children are surprisingly inactive and that lifetime health beliefs and behavior patterns are formed in childhood has emphasized the need to examine the acquisition of exercise behavior in children in Korea. Although research has shown social cognitive theory(SCT) variables to be relevant to the study of excerise determinants in adult population or some behaviors other than exercise, there has been no study done with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LTPA) of child populations applying this theory in Ko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of SCT that may influence independently on a child's level of LTPA.
Methods Study population were 4,151 4th through 6th-grade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14 elementary schools recriuted from Gwangju Metropolitan area and Jeonnam Province. After receiving documented informed consent from all of them,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measures for SCT variables, LTPA and so on.
Results A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iory power of SCT variables was 17.9% that was higher than those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10.1%) and parents(0.6%), respectively. The salient predictor variables for LTPA included physical and friends-related social situations(β=1.920; p=.000), all sub-dimensions of self-efficacy such as social support(β=0.342; p=.028), overcoming barriers(β=1.311; p=.000), building alternatives(β=0.582; p=.002), some sub-divisions of self-regulation such as goal setting(β=1.073; p=.000), reenforcement(β=0.488; p=.005). But outcome expectancy was not signigicant correlate, and social support as a subdivision of self-regulation showed inverse association(β=-0.190; p=.072). Besides SCT, the variables such as sex(male> female), residential area(rural>urban), body satisfaction('unsatisfied'>'satisfied') was significant correlates, and the time spent in after-school private education was associated positvely with LTPA.
Concluding Remarks It appears that social cognitive theory variables may be important correlates of LTPA in Korean children, which suggests that in develping the program to improv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them,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utilizing actively the variables of social cognitive theory.
- Alternative Title
- Factors Related with Leisure Time Exercise in High Grade Students of Some Elementary Schools - Applying Social Cognitive Theory
- Alternative Author(s)
- Kim Youl
- Affiliation
-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Advisor
- 강명근
- Awarded Date
- 2009-02
-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iii
그림목차 iv
Abstract v
Ⅰ. 서 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아동의 운동 5
1. 아동과 청소년기의 운동효과 5
2. 아동의 운동과 관련요인 7
B. 사회인지이론 8
1.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의 개요 8
2. 사회인지이론의 구성요소 10
3. 사회인지이론의 활용과 신체활동과 관련된 연구 24
4. 사회인지이론에 대한 비판과 제언 29
III. 연구 방법 32
A. 연구의 틀 32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3
C. 조사도구 및 주요 연구변수 34
1. 레저시간 운동량(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34
2. 학생의 특성변수 34
3. 부모의 특성변수 35
4. 사회인지이론 변수 36
D. 분석방법 39
Ⅲ. 연구결과 40
A. 연구대상자의 특성분포 4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분포 40
2. 연구대상자의 특성분포 : 방과후 활동 42
3. 연구대상자의 특성분포 : 신체적 특성 및 신체에 대한 인지 44
4. 연구대상자의 특성분포 : 부모의 운동관련 특성 46
B. 연구대상자의 운동량 분포 48
C. 사회인지이론 구성변수의 기술통계 49
D.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운동량의 관련성 51
1. 일반적 특성과 운동량의 관련성 51
2. 방과후 활동과 운동량의 관련성 53
3. 운동관련 신체적 특성과 운동량의 관련성 55
4. 부모 및 기타 상황변수와 운동량의 관련성 57
E. 사회인지이론 변수 및 운동량의 상관분석 결과 59
F. 사회인지이론 변수가 레저시간 운동량에 미치는 영향 61
Ⅳ. 고 찰 64
A.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64
B.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66
Ⅴ. 요약 및 결론 78
참고문헌 80
부록 95
1. 조사표 96
2. 연구대상자의 운동관련 시간의 분포 106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 Citation
- 김율. (2008). 사회인지이론에 의한 초등학생의 레저시간 운동량 관련요인.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800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7608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09-02-19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