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QR코드 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임우정
Issued Date
2020
Keyword
전통시장, QR코드, 디자인
Abstract
국 문 초 록


오늘날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많은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현대인이 살아가는 방식을 변화시켜나가고 있다. 간단한 검색으로 전 세계의 다양한 지식과 정보들을 얻을 수 있으며 각계각층의 사람들과의 즉각적인 소통의 방법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온라인 상거래에서 그 빛을 발한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컴퓨터 웹사이트를 통한 인터넷 쇼핑이 구매형태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주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특정장소에 고정된 컴퓨터의 제한성에서 벗어나 공간과 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 편리함에 기인한다.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며 오프라인 판매시장도 가격비교, 쿠폰, 전자결제, QR코드 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변화하는 시장에 적응하고 있다.

전통시장은 쉽게 접할 수 있는 오래되고 과거의 판매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군집된 오프라인 매장이다. 근래에는 각종 대형마트와 온라인 상거래의 활성화로 과거의 규모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지만 ‘시장경제’라는 단어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서민들의 삶과 소통의 장으로서 문화적 가치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아직도 서민들에게는 생활의 기반이 되는 거래의 공간이다. 정부 및 각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전통시장에 활력을 부여하고자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계속하고 있지만 새로운 상거래의 형태로 변화하기에는 요구되어지는 조건들이 많다. 디자인의 영역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전통시장의 브랜드화를 통해 여러 고객층에게 쉽게 소구할 수 있도록 개성을 강조하고 현대화해왔으며 외관을 정비하고 온라인의 판매방식이나 현대화된 판매형태를 도입해왔다. 국내의 여러 전통시장에서 소기의 성과를 이루고 있지만 광주지역의 전통시장에서는 아직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특히 손쉬운 결재방식이나 편리한 가격비교, 제품 정보제공 등 온라인 세대가 이용할 만한 서비스의 도입이 요원한 상황이다. QR코드는 단순한 결재의 수단인 바코드를 넘어 문자, 음성, 영상, 위치 등 각종 정보와 함께 구매부터 배송까지 진행하는 원스톱 유통 서비스 등 무궁한 활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젊은 세대를 새로운 소비자로 유입시킴은 물론, 다양한 연령층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와 전통의 중심도시인 광주지역의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의 하나로서 QR코드의 기술적 측면이 아닌 구매자의 손쉬운 정보습득과 판매의 촉진을 도모하는 편리하고 직관적인 구매 방식인 QR코드의 디자인적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본 QR코드는 단순하고 획일화되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디자인 QR코드’이다. 디자인 QR코드는 기본 QR코드에 디자인을 적용하여 개성과 차별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행동에서 시각적 흥미나 만족도와 같은 감성적 요인을 자극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술적 활용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전략이며, 광주지역 전통시장의 아이덴티티를 파악하고 변하는 시대의 트랜드에 맞게 반영하는 방법을 통해 디자인 QR코드를 통해 구현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광주지역 전통시장들 중 1913 송정역시장, 남광주시장, 대인시장, 말바우시장, 무등시장, 송정5일장, 양동시장까지 7개를 선별하고 전수조사를 통해 QR코드의 활용상황을 파악한 뒤, 각 전통시장의 역사와 생성의미를 이해하고 조형적 요소들을 추출한 뒤 이를 도입하여 디자인 QR코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디자인 QR코드는 도어 부착형, 스탠드형, 상품 부착형의 형태로 제작되었고 각 시장의 판매부스에 반영하는 방식을 통해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해 광주지역 전통시장의 현황을 파악해보고 많은 부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부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디자인적 해결책인 디자인 QR코드를 제안하고 적용해봄으로써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 및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광주의 전통시장은 기존의 전통적 판매방식으로는 그 생명력이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며 전통 방식의 색깔을 고수하되 다양한 방식으로 변모해나가야 할 것이다. 디자인 QR코드는 이러한 변화의 한 부분을 책임 질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다.|ABSTRACT


A Study on QR Code Design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
-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Region-

by : Ou Jeoung Lim
Advisor : Prof. Nam Hoon Kim
Major in Brand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today is changing the way of modern people‘s life based on many new technologies. A simple search provides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nd provides people the instant ways of communications. This characteristics shines especially in online commerce. Just a few years ago, Internet shopping via computer web-sites was the mainstream ways of buying, and more recently, it shows the changes that are made mainly through apps on smart phones. This is due to the convenience of being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computers fixed at a particular location and not related to space or time. Riding on this trend, offline sales markets are also adapting to changing markets by providing convenient services such as price comparison, coupons, electronic payment, and QR codes.
Traditional markets are clustered offline stores that maintain an old and past style of sales that are readily accessible. Although the size of the past has not been maintained due to the recent activation of various large discount stores and online commerce, as seen through the word "market economy," it is recognized as a cultural value as a venue for the lives and communication of ordinary people, and is still a place for the working class to live. Although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continue to provide various policies and support to vitalize these traditional markets, there are many conditions that are required to change to a new form of commerce. It has also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in various ways in the realm of design. The company has emphasized and modernized individuality so that it can easily be made available to various customers through the branding of traditional markets, and has been reorganizing its appearance and introducing online sales methods or modernized sales patterns. There are many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but there are no notable achievements yet in the Gwangju area.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services available to online generation such as easy payment methods, convenient price comparisons, and product information is a long way off. It should be noted that QR codes are not just a means of making payments, but also have endless usability, such as one-stop distribution services that process purchases and deliveries, along with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ext, voice, video and location. This means not only bringing the younger generation into new consumers, but also offering a choice of services that are useful to various age group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design solution for QR code, a convenient and intuitive way of purchasing that promotes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sales of buyers rather than the technical aspect of QR code, as one of the solutions for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The basic QR code is simple and uniform, resulting in drawbacks that do not appeal to consumers. Design QR code was developed to supplement this. Design QR codes stimulate emotional factors, such as visual interest or satisfaction, i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because they give individuality and differentiation by applying designs to basic QR codes. This research is a strategy to induce this through technical use, and we intend to implement it through design QR code through a method that identifies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and reflects it according to the trend of changing times.
For research purposes, seven traditional markets in Gwangju were selected from 1913 Songjeong Station Market, Namkwangju Market, Daein Market, Malbau Market, Mudeung Market, Songjeong 5-day Market, Yangdong Market. Afte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each traditional market and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formation, the design QR code was created The manufactured design QR codes are made in the form of door-attached, stand-type and commodity-attached, and the design-improvement plan is proposed through a method that is reflected in the sales booth of each market.
Through the research,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check the absence of brand identity, and find out that the design solution, design QR code, can be proposed and applied, thereby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and potential for new developments. It was also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development of easier and more convenient services for older generations who lag behind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as essential. Gwangju's traditional market will not last long with the traditional way of selling and will have to be transformed in various ways while retaining the traditional way of color. Design QR codes are a surefire way to take responsibility for one part of these chang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QR Code Design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 :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Region
Alternative Author(s)
LIM OUJE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브랜드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전공
Advisor
김남훈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바코드와 QR코드
1. 바코드와 QR코드의 개념
2. QR코드의 특성
3. QR코드의 시스템 구성

제2절 QR코드의 디자인 연구
1. 디자인 QR코드의 형태
2. 디자인 QR코드의 적용사례

제3절 전통시장의 이해
1. 전통시장의 개념
2. 전통시장의 특성
3. 전통시장의 발전방안


제3장 현황조사 및 사례분석

제1절 광주지역 전통시장과 QR코드 현황조사

제2절 광주지역 전통시장의 디자인 개발 현황
1. 1913 송정역시장
2. 남광주시장
3. 대인시장
4. 말바우시장
5. 무등시장
6. 송정5일장
7. 양동시장
8. 해외 시장의 QR코드 활용 현황


제4장 광주지역 전통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개발

제1절 광주지역 전통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1. 1913 송정역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2. 남광주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3. 대인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4. 말바우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5. 무등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6. 송정5일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7. 양동시장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8. 광주지역 전통시장의 핵심 조형요소 정리

제2절 광주지역 전통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콘셉트 및 디자인 제안
1. 1913 송정역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2. 남광주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3. 대인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4. 말바우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5. 무등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6. 송정5일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7. 양동시장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제3절 디자인 QR코드 적용 및 활용방안 예시
1. 도어 부착형
2. 스탠드형
3. 상품 부착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Citation
임우정. (202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QR코드 디자인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73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0140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