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輸入食品의 安全性에 관한 實證的 硏究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시권
Issued Date
2007
Keyword
수입식품|안전성|실증적 연구|식품안전관리체제|인체 위해물질
Abstract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수입식품 안전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며 설문조사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수입식품안전성에 대한 태도와 지식, 행동을 분석하여 각국과의 FTA체결 확산에 즈음하여 수입식품안전의 바람직한 방향과 글로벌시대의 국제적 규제에 부응할 수 있는 방법과 소비자의 수입식품오염 노출에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식품안전에 관한 논의동향과 안전체계를 국제기구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식품안전관리제도의 현황과 비교분석한다. 다음으로 수입식품 안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비자의 태도, 지식, 행동을 고찰하고 가설을 설정에 대한 검증을 통계적 분석기법에 따라 실시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및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2장에서는 먼저 식품안전성에 대한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들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고찰한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 식품산업과 수입식품관리체계 현황과 문제점을 평가한다. 4장에서는 먼저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를 실증분석하고 검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수입식품안전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끝으로 6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과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We met with a new era of liberization of world trade, and therefore the importation of foreign food has increased rapidly every y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National-based policy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of imported foods and catch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mported food safety.
There have been accomplished numerous researchers for the food, but few researchers for safety of imported food in view of consumer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safety awareness for imported foods by 273 housewife in Kwangju-Chonnam.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the program educating cosumers by understanding the knowledge, the attitude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relative to safety of imported food.
The process for researching safety of imported food comprises of classifying respondent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ttitude about safety of imported food,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for their buying behavior, reliability on imported food, government, and demographic factors among groups.
The results verifying the hypothesi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presented that the group regarding the safety of imported food as serous purchases domestic foods, and confirms thoroughly the representation of the place of origin.
Second, it is represented that the group regarding the safety of imported food as serious has the low reliability about imported food, merchant, government, and others.
Third, it is represented that the group regarding the safety of imported food as serious is educated about imported food contamination, and income are high.
The food was imported through three stages: During the first stage food was cultivated and produced in exporting countries. In second stage Food was inspected in imported countries and during the final stage was distributed at domestic market in imported countries.
We have many problem with imported food safety during each stage now. There are many precise examinations and low rate of disqualification than other countries. There are a result of unqualified manpower, uncontrolled importer, and ununified management system on distributed imported food.
Therefore, the national-based policy most proceed as follows: First of all, during the first stage inspector are dispatched the exporting countries to collect dates on exported food and countries. During the second stage, Inspection manual was revised for decreasing a precise examination rate and increasing the disqualified rate like other countries. Also professional program have developed manpower to increase their specialty. In the last stage, the cold-chain system is perfectly built, the inspection on distributed food is strengthened for increasing safety of imported food, and further step up publicity activities on imported food safety.
And the government has to prepare the thorough saintary system for imported food by providimg public information about food contamination via mass communication and others.
Alternative Title
An Empirical Study on the Safety of the Imported Foods
Alternative Author(s)
Kim, Si-K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윤주한
Awarded Date
2007-08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제3절 기존문헌 검토 및 연구의 연관성 = 5
1. 기존문헌 검토 = 5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연관성 = 9
제2장 주요국의 식품 안전관리 체계 = 10
제1절 식품안전관리체제의 변화와 국제기구 = 10
1. 식품안전관리체제의 변화배경 = 10
2. WTO의 SPS와 TBT 협정 = 12
3. FAO와 CODEX의 관계 = 13
제2절 미국의 식품안전 관리체계 = 16
1. 안전관리 = 16
2. FDA의 관리체계 = 19
제3절 캐나다의 식품안전 관리체계 = 21
1. CFIA(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의 창설 = 21
2. Canada Food Safety and Inspection Act의 제정계획 = 22
3. HACCP의 승인과 지원 = 23
제4절 영국의 식품안전 관리체계 = 25
1. 식품규격청(Food Standards Agency) 설립 배경 = 25
2. 식품규격청의 목표 및 업무 = 25
3. 식품규격청의 조직 = 26
4. 지역정부와의 관계 = 29
제5절 일본의 식품안전 관리체계 = 32
1. 2003년 식품안전행정의 개혁 = 32
2.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운영방법 = 36
제6절 중국의 수출식품 안전관리 = 38
1. 수출 농식품 안전성관리 체계 = 38
2. 수출 농식품 안전관리 동향 = 39
3. 중국의 농식품 안전성 관리의 문제 = 41
제3장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제도의 현황과 평가 = 43
제1절 식품안전관리 여건의 변화 = 43
1. 식품 위해요인의 증가 = 43
2. 소비자 인식의 변화 = 47
제2절 식품안전 관리체계 = 49
1.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변천 = 49
2.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현황 = 53
제3절 식품안정성 관리제도 = 57
1. 식품표시 및 인증제도 = 57
2. 식품안전성 관련 식품법령 = 68
제4절 식품안전제도의 평가 = 74
1. 업무의 중복 및 연계성 부족 = 74
2. 관련기관간 파트너십 미흡 = 75
3. 국내외 식품안전관련 정보 수집 및 공유 미흡 = 75
4. 식품안전관리 인력 및 전문성의 부족 = 76
제4장 수입식품 안전성에 관한 소비자행동분석 = 77
제1절 가설의 설정 = 77
제2절 변인과 분석방법 = 79
1. 종속변인 = 79
2. 독립변인 = 80
3. 분석방법 = 81
제3절 조사결과의 분석 = 81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81
2. 실태 분석 = 84
3. 가설의 검증 = 94
제5장 수입식품 안전성제고를 위한 방안 = 101
제1절 HACCP제도의 활성화 방안 = 101
1. 식품의약품안전청 소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 101
2. 법률 체제상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 102
3. 관리·운영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 104
제2절 식품안전관리의 발전방안 = 106
1. 식품안전관리체계 개선 = 106
2. 식품관리제도의 강화 = 108
3. 식품관리의 과학화 추진 = 110
제3절 설문분석 결과에 따른 제언 = 115
제6장 요약 및 결론 = 118
제1절 요약 및 결론 = 118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120
참고문헌 = 121
부록 = 129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시권. (2007). 輸入食品의 安全性에 관한 實證的 硏究.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688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409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7-11-1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