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타액선 선양낭성암종과 다형선종에서 GFAP 발현의 의의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성준
Issued Date
2005
Keyword
GFAP|pleomorphic adenoma|adenoid cystic carcinoma|다형선종|선양낭성암종
Abstract
배경과 목적 : 타액선 종양은 매우 다양한 조직학적 특성으로 특징 지어지며, 한 종양에서조차 다양한 조직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생물학적 특징과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의 타액선 종양에서 같은 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경우도 흔하고 이러한 특징이 타액선 종양의 진단을 어렵게 한다. 타액선 종양에 대한 많은 수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임상적, 진단적인 연관은 확실하지가 않다. 저자는 다형선종과 선양낭성암종간에 c-kit, Ki-67,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p53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양상을 비교 검토하여 각각의 표지자가 두 종양을 감별하는데 표지자로서의 의의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와 방법 : 1993년부터 2002년까지 타액선 종양으로 진단되어 절제된 다형선종(pleomorphic adenoma) 31예, 선양낭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17예로서 총 48예의 파라핀 포매조직으로 C-kit, Ki-67, GFAP, p53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C-kit, Ki-67, p53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다형선종과 선양낭성암종사이에 감별점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GFAP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다형선종과 선양낭성암종사이에 감별점이 존재했다. 다형선종의 경우 74%에서 양성소견을 보였으나 선양낭성암종의 경우 모든예에서 음성소견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GFAP 표지자는 다형선종과 선양낭성암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염색 시 발현의 현격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서, 두 종양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Background and Objectives : Salivary gland tumors are characterized by extreme histological diversity. Even within a single tumor various histological patterns are observed. The same histological patterns are shared among various tumor types, regardless of the biological behavior, making diagnosis in difficult. Although a great number of immunohistochemical studies of major salivary gland tumors have been published, their clinical and diagnostic implications are not fully apparent. The author have performed basic immunohistological stains of pleomorphic adenoma(PA) and adenoid cystic carcinoma(ACC) to determine the diagnostic value of c-kit, Ki-67,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p53.
Materials and Methods : Paraffin-embedded tissue specimens from 48 cases, who were diagnosed as PA(n=31) and ACC(n=17) from 1993 to 2002,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for c-kit, Ki-67, GFAP and p53.
Results :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c-kit, Ki-67 and p53, there were no differentiation in PA and ACC. However,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GFAP there were differentiation in PA and ACC. GFAP was expressed in 74% of the PA and was not expressed in all cases of ACC.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GFAP immunoreactivity could be helped in the occasional differential diagnostic dilemma of pleomorphic adenoma versus adenoid cystic carcinoma in sailvary gland.
Alternative Title
GFAP expression distinguishes adenoid cystic carcinoma from pleomorphic adenoma of the sailvary gland
Alternative Author(s)
Choi, Seong-J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도남용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목차
표목차 = ⅰ
도목차 = ⅱ
ABSTRACT = ⅲ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Ⅲ. 결과 = 6
Ⅳ. 고찰 = 8
Ⅴ. 결론 = 12
참고 문헌 = 13
표 및 사진부도 = 1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성준. (2005). 타액선 선양낭성암종과 다형선종에서 GFAP 발현의 의의.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9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70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