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지역축제의 사회적 영향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보성군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정현
Issued Date
2005
Keyword
region festivals|social impacts|scale development
Abstract
그동안 많은 연구자나 지방자치단체들이 관광이나 축제의 영향에 대한 유형적 성과측정에만 관심을 두고 경제적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왔을 뿐 무형적이고 동태적인 주민들의 태도와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사회적 영향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별 관심을 두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영향을 측정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고 그것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이 전무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많은 지방정부들이 경쟁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지역축제에 관한 사회적 영향에 대해 지역주민들이 어떻게 기대하고 인식하는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도구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을 위해서 관광 및 이벤트의 사회적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을 빌려왔으며 그것들을 토대로 사전조사와 현지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요인을 확인하였다.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의 탐색결과, 사회적 영향을 크게 사회적 이익과 사회적 비용으로 구분하였으며 실증분석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이익은 ‘문화전통적 가치’, ‘개인적 이익’, 그리고 ‘공동의 이익’ 등의 3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사회적 비용은 ‘축제의 의미퇴색 걱정’, ‘질서환경 걱정’, 그리고 인적물적자원 걱정‘ 등 3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이들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요인을 확인하였다.
축제의 환경적 요소 및 일반적 감정과 축제의 사회적 영향간에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분석한 결과, 사회적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주민들이 축제에 참여하고 축제내용에 만족하며 지역의 여러 단체에 관여하는 것과 관련되어, 사회적 비용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은 지역의 전통과 관습 그리고 지역토착주민들이 확립해 높은 질서환경이 파괴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resident attitudes toward the social impacts of region festival.
This study is comprised of three stages. First, a listing of the social benefits and costs of region festivals are generated. Second, the listing of items is tested on judgemental sampling of officials Boseong Gun in Jeonnam. These items are then purified using Cronbach's alpha and item-to-total correlation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and factor analyses to assess the dimensionality of the scale and further purify the measure. Finally, the scale is verified through testing on local residents in Boseong Gun, Jeonnam. This study uses these procedures and applying directly to the emerging area of festival-related social impacts, and the standardized measurement and articulation of those impacts.
Each social impact in the Festival Social Impact Analysis Scale (FSIAS) is measured in terms of the expectancy of the specific impact occurring, and in terms of the importance placed on that particular impact. Expectancy is multiplied by importance to give a measure of the resident attitude toward the specific impact. Attitudes for each impact are summed togeth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resident perceptions of the overall social impacts of the festival. A two-factor solution, loading on benefits and costs, was identified during both the pretest of purification phase, and the verification phase of scale development.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makes that the understanding of resident attitudes toward the social impact of region festivals is its use of standardized scale development procedures. The development of the FSIAS responds to the need for standardized instrumentation for use in festival research. The FSIAS is two dimensions relating to the social impacts of region festivals: benefits and costs. The scale shows strong reliability and face, and constructs validity, and also good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There is a need to further validate the FSIAS by implementing it in other region, and with different types of festivals. It will allow for greater understanding of resident attitudes toward the social impacts of region festivals, and the dynamic nature of those attitude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ocial Impacts Scale Development of Regional Festival
Alternative Author(s)
Yoon, Jung-Hy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오을임
Awarded Date
2005-08
Table Of Contents
목차
ABSTRACT = ⅵ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범위 = 4
제3절 연구 방법 = 5
제2장 이론적 배경 = 7
제1절 지역축제의 의미와 유형 및 기능 = 7
1. 축제의 개념과 기원 = 7
2. 지역축제의 의의 = 14
3. 지역축제의 유형과 기능 = 17
제2절 지역축제의 사회적 영향 = 23
1. 지역축제와 지역사회 = 23
2. 사회적 영향 = 31
제3절 관련 선행연구 검토 = 35
1. 지역축제 관련 선행연구 = 35
2. 관광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 = 39
3. 선행연구의 평가 = 47
제4절 분석모형 = 48
제3장 조사설계 = 51
제1절 측정문항의 탐색 = 51
1. 척도개발의 배경 = 51
2. 측정문항 개발 절차 = 51
3. 측정문항의 탐색 = 54
제2절 설문구성과 자료의 분석방법 = 59
1. 설문구성과 측정 = 59
2. 자료의 분석방법 = 59
제3절 조사방법과 표본의 특성 = 61
1. 조사방법 = 61
2. 조사표본의 특성 = 62
제4장 사례분석 = 65
제1절 사례대상 축제의 개요 = 65
1. 보성다향제의 유래 = 66
2. 보성다향제의 행사내용 = 67
3. 보성다향제 자원 = 68
제2절 측정도구의 검사와 선별 = 70
1. 측정도구의 사전검사 = 70
2. 측정도구의 분석 = 73
3. 측정도구의 검증 = 82
제3절 기준변수의 평가 = 90
1. 기준변수의 기술통계량과 차이검증 = 90
2. 상관성 분석 = 102
제5장 결론 = 106
제1절 연구요약과 분석결과의 함의 = 106
1. 연구요약 = 106
2. 분석결과의 함의 = 108
제2절 연구의 한계와 과제 = 111
참고문헌 = 113
설문지 = 12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정현. (2005). 지역축제의 사회적 영향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보성군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8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468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5-10-2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