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한국 현대건축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경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기완
Issued Date
2006
Abstract
자연에 대한 현대의 절박한 인식으로 인해 건축과 자연의 결합에 대한 요구는 현대 건
축계의 또 다른 화두로 대두 되었으며 이러한 작업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라는 개념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랜드스케이프’라는 단어가 현대건축의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면
서 랜드스케이프는 단순한 조경의 의미를 넘어서기 시작하였다.랜드스케이프라는 단어
는 경치,전원풍경을 의미하는 1차적 의미 ‘조경’이라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에서 나아가
자연의 속성을 구축행위에 도입하여 ‘풍경으로서의 건축’을 생성시키고자 하는 개념으로
서 등장하게 되었으며,이와 함께 다양한 층위를 가진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현대 건축에서 랜드스케이프 개념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은 1980-90년대 시기
를 거치면서 최근에 등장한 현상이며,그 실천의 범주에 있어서도 일정한 한계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점에서 다발적으로 촉발된 것이다.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의 영향
하에 우리나라 신진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랜드스케이프 개념이 적용된 다양한 건축적 시
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에 국내에서 계획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 개념 하에 계획된 건축물에 대해서는 구
체적인 평가와 우리나라의 현대 건축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 아직 설정되어 있지 못하
다고 볼 수 있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인간,풍경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개념
을 표방한 우리나라의 랜드스케이프 건축물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
함으로써 한국 현대건축에 나타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이러한 특성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계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
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특성을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현대건축에
서 나타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 개념과 다양한 구현방법들을 살펴봄으로써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을 재유형화하였으며,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랜드스케이프 개념을 강력하
게 전면에 내세우며 건축된 헤이리 아트벨리 내의 건축물들과 파주 출판 산업도시 내에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하고 그 외 기타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랜드스케이프 개념의 재-유형화
EduardBru가 제시한 랜드스케이프의 4개의 유형과 시대의 흐름에 영향을 받으면서
각기 다른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특성
이 서로 유사하더라도 각기 다른 유형으로 분류되어 설명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들을 6가지로 재 유형화할 수 있었다.
2.다양한 건축 분야에서 랜드스케이프를 추구
우리나라의 현대 건축에서는 하나의 특정한 시설만이 아닌 다양한 장르에서 랜드스케
이프 건축적 개념이 시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랜드스케이프 구현 방법의 한계
본 연구에서 설정한 6가지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유형에 따라 그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해
외 사례들이 유형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보다 심층된 랜드스케이프 개념을 실현시키고 있
다면,우리나라의 경우는 각 유형별로 다양한 구현방법이 시도되고 있지 못하고 특정한
방법을 선호하며 구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 건축의 다양한 경향 중 하나로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적 건축은 현
대 과학이론과 철학,예술에 기반을 두고 도시와 자연과의 맥락을 구체화하기 위한 건축적 시도이다.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의 개념은
아직 그 구체적 구현 방법들에 있어서 다양하며 실험적 방법들이 아직 나타나고 있지 못
함을 알 수 있었다.이것은 랜드스케이프 건축물들이 유사한 형태나 획일화된 건축적 방
법들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이며 다양한 기법들이 추구되어져야할 필요성
을 인식시켜 준다.
그러나 최근 파주출판산업단지나 헤이리 아트벨리와 같이 대규모적으로 랜드스케이프
개념을 내세우며 이루어지는 건축적 흐름은 분명 자연과 인간,도시와 자연의 맥락의 중
요성을 인식하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이 자리매김하는데 중요
한 견인력을 하였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으며,이는 더 나아가 많은 건축가들에게 실험적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건이기도 하다.이것은 또한 우리나라에 보다 랜드스케이
프 건축이 이론적으로 정립될 수 있는 계기를 안겨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랜드스케이프적 경향의 건축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
되어 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향후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자칫 획일화 될 수 있는
오류를 탈피하여 한국적인 랜드스케이프적 특성들을 발견하여 이를 도입한 건축적 시도
들이 이어지길 바란다.|As a result of imminent recognition on nature from modern world, the need for the combin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has been raised as another topic in architectural arena, and this kind of work is being conducted under the notion of Landscape. As the term 'Landscape' emerges as the key word in contemporaryarchitecture, 'Landscape' begins to transcend the mere meaning of landscape architecture[gardening]. The word, Landscape, has gone beyond the meaning of mere landscape, or rural vista one-dimensionally, and, after having introduced the attributes of nature into building activities, has emerged as a notion trying to form 'the architecture as landscape.' Together with these, 'Landscape' is expanding as a notion having various layers.
The notion's, 'Landscape', occupying the significant position in contemporaryarchitecture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over 1980-1990s, and its category of practice has not certain limitation, rather it has started simultaneously from various areas. Under such influence of the current of the times, centered on the rising architects of our country, various kinds of architectural attempts applying the Landscape notion are being made.
On the other hand, not only are there any concrete evaluation done on the structures designed under the notion of Landscape in our country, but also there is no definite position of Landscape established in our contemporaryarchitecture. Thus, this study tries to derive the features of Landscape appearing in our contemporaryarchitecture by analyzing how our Landscape architecture, claiming Landscape notion as nature, human, and landscape, is embodied.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presenting its architectural limitation and the direction for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o go through the analysis of such features.
This study, before review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recategorized the architectural notion of Landscape by studying the Landscape notion and its various embodying methods being shown in contemporaryarchitecture.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in detail shown in ad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entering on the buildings within Heyily Art Valley, built with strong Landscape notion, and the works of art within the Publishing Industry City in Paju.
And the findings from this way of examination are as follows.
1. Recategorization on Landscape no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Landscape notion shown in various directions(ways), being influenced by the four Landscape types presented by Eduard Bru and the currents of the times, we can see that, though the features are somewhat similar, they are classified and explained as different typesrespectively. So, we are able to recategorize the features into 6 domains in this study.
2. The search for Landscape in various architectural areas
We can see that there are various attempts seeking Landscape architectural notion not only in unique facilities, but also in various genres.
3. Limitation to the embodying methods of Landscape
As a result of our study in examining Landscape features according to 6 types of Landscape notion set in this study, we can see that, whereas examples from abroad realize the profounder Landscape notion in various ways type by type, in our case, various kinds of embodying methods are not only void building by building, but only specific way(method) is being preferred and being embodied.
Landscape architecture, emerging as one of the various recent trend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an architectural attempt, trying to embody the context between the cities and nature based on modern theory of science, philosophy, and art. We can see that, in the midst of such currents, there is no various and experimental methods in its concrete embodying methods yet, in Landscape notion presented in our country. This fact lets us to recognize the need for Landscape buildings to be sought with more positive and various techniques in that Landscape buildings could be regarded as similar or standardized architectural methods.
Nevertheless,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the architectural current being carried out in large scale representing Landscape notion in recent Publishing Industrial Complex in Paju or Heyily Art Valley was the driving force in maki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known as seeking the harmony with nature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ext between nature-humans and city-nature. Furthermore, they became important events in that they served as an experiment scene to the architects. What is best, it is meaningful that the buildings provided our country with the opportunity for Landscape architecture to be established theoretically.
We could see, through this study, that Landscape-oriented buildings are being attempted in various areas, and from now on we wish, after finding out the features of Landscape fitting to Korea, that architectural attempts, introducing what is learned from this search, will be followed without committing the errors of being standardized in vain.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Landscape Trend in Korea Contemporary Architecture
Alternative Author(s)
Kim, Ki Wa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partment
디자인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Advisor
윤갑근
Awarded Date
2006-02
Table Of Contents
목차 = ⅰ
Abstract = ⅵ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대상 = 3
1.3. 연구 방법과 흐름 = 4
제 2 장. 랜드스케이프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 6
2.1.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변화 = 6
2.2.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현대적 의미 = 8
2.3. 랜드스케이프의 다양한 개념 = 9
2.3.1. 랜드스페이스 Landspace = 9
2.3.2. 지형적 건축 = 10
제 3 장.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특성 = 12
3.1. Eduard Bru 의 분류에 따른 랜드스케이프 개념 = 13
3.1.1. 침투 infiltrations = 14
3.1.2. 랜드마크 landmark = 19
3.1.3. 경계 borders = 21
3.1.4. 내부의 풍경 interior landscape = 24
3.2. Eduard Bru의 분류유형에 따른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구현 방법 = 26
3.3. 랜드스케이프 개념이 대두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축적 특성 = 27
3.3.1. 복잡성 과학에 따른 불확정성 개념의 추구 = 27
3.3.2. 시적인 풍경 구축을 위한 열망에 따른 건축적 특성 = 32
3.3.3. 대지미술의 대두에 따른 건축적 특성 = 33
3.3.4. 이분법 사유의 붕괴에 따른 경계의 소실 = 40
3.4. 시대적 흐름의 영향에 따른 랜드스케이프 건축적 특성 구현 방법 = 43
3.5. 소결 = 44
제 4 장. 한국 현대 건축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경향 = 47
4.1. 분석의 틀 = 48
4.2. 사례 분석개요 = 49
4.3. 주거건축 = 50
4.3.1. H 주택 = 50
4.3.2. 헤이리 스튜디오 = 51
4.3.3. 한길 아트 스페이스 3 = 53
4.3.4. 책 읽는 집 = 55
4.4. 문화시설 = 58
4.4.1. 헤이리 아트벨리의 커뮤니티 하우스 = 58
4.4.2. 후명원 만묘루 = 60
4.4.3. 건축박물관 = 62
4.4.4. 카이스 갤러리 = 64
4.4.5. 의재미술관 = 67
4.5. 공공 . 사무 시설 = 69
4.5.1. 현대고등학교 = 69
4.5.2. 국립문화재연구소 = 71
4.5.3. Greeting Garden = 73
4.5.4. 포토피아 = 74
4.5.5. 파주출판도시 제 5교량 = 76
4.6. 상업 시설 = 78
4.6.1. 딸기테마파크 = 78
4.6.2. 쌈지길 = 80
4.6.3. 파주 헌책방 - 미로의 서가도시 = 81
제 5 장. 분석 결과 = 83
5.1. 시설별 랜드스케이프 경향 = 83
5.2. 유형별 랜드스케이프 경향 = 86
5.2.1. 침투 = 86
5.2.2. 경관 = 87
5.2.3. 경계 = 88
5.2.4. 불확정성 = 89
5.2.5. 유기성 = 90
5.2.6. 연속성 = 91
5.3. 소결 = 92
제 6 장. 결론 = 93
참고문헌 = 95
국문초록 = 97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Citation
김기완. (2006). 한국 현대건축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경향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59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33307
Appears in Collections: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08-09-0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