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시 박물관 유물 문양의 상징성 및 홍보 방안 연구
- Author(s)
- 장효량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Patterns on Relics, Semiotics, Symbolism, Cultural Implications, Ideology, 유물 문양 기호학 상징성 문화적 내포 이데올로기
- Abstract
- 한단시 박물관은 한단이라는 역사문화 명성에 걸맞도록 한단시의 오랜 역사를 담은 정수로 한단시의 다채로운 문화적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안에 전시되어있는 귀중한 유물은 고대인들의 지혜와 희망을 가지고 먼 옛날부터 한단시과 함께 해왔다. 박물관에 진열된 유물은 역사의 침전이며 문명의 수용체이자 한 나라의 문화의 응집과 계승이다. 현재 기호학을 활용하여 박물관 소장유물의 문양을 연구하는 데 많은 공백이 있었다. 문양에 대한 연구는 문양의 외적인 형식 소개, 장식기법의 연구나 역사의 서술적 해석에 집중되어 있을 뿐 유물 기호 표현 형식, 기호 상징성 형성과 문화적 함의, 이데올로기 분야를 파고드는 논문은 극히 적다. 현재 한단시 박물관은 유물들이 박물관에 전시할 때 '잠자는' 것 같다. 현재 한단시박물관의 유물 문양 뒤에 숨겨진 문화적 의미와 상징적 정보 전달이 미흡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 문화적 가치를 보여주기 어려워 박물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이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해 이 연구를 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문화를 깊이 있고 잘 연구하여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더욱 잘 보여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사람들은 박물관을 방문해 시각적인만족과 함께 문화재에 대한 가치도 엿볼 수 있다. 그 뒷이야기를 충분히 읽고, 소장유물에 담긴 정보를 발굴하여 최대한 가치를 구현했으면 한다. 대중이 유물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줄 아는 동시에 유물이 담고 있는 시대와 중국이 이어지는 정신적 내포를 이해할 수 있어야 과거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본 논문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물을 통해 당시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그들이 가진 가치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중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호학 이론적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들을 심층 분석 연구하였다. 기호학은 기호의 본질과 기호의 발전 법칙 및 기호의 내포적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내용 분석과 내포적 상징성 연구 측면에서 다른 학문들에 비해 어느 정도 우위에 있다. 소장된 유물 문양기호를 기호학적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은 기호학적 관점과 방법을 활용하여 전통문화에서 기호의 의미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물 문양의 장식예술의 상징적 의미와 문화적 함량, 이데올로기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한단시 박물관의 5대 문화 시리즈 중 대표적인 유물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유물의 문양 연구부터 시작하여 당시의 사회, 정치, 문화 및 종교와의 관계를 결합하여 문양이 생긴 배경과 원인을 탐구하였다. 한단시 박물관의 유물 문양에 대한 발전과정과 유물 해석을 통해 문화적 시대별 유물 문양의 특징과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호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문양의 문화사상과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고 한단시 박물관 유물의 기본적인 특징과 사회문화적 가치 및 이데올로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국 전통문화 예술 연구에 다양한 시각과 방법을 제공하여 전통문화의 전승과 혁신에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전통문양의 심층적인 의미를 기호학적 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은 학술적 의미와 현실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단시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 14점 중 문양기호를 소쉬르의 기호 이원론, 퍼스의 기호 삼원구조, 롤랑 발터의 두 개의 기호학적 체계 및 신화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회적 배경과 함께 그 의존적 사회환경, 스타일 형성, 사회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하고, 그 상징성과 이면의 사회문화와 이데올로기를 해독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시대별 문양은 시대별 미적 정취와 가치 취향을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유물 14점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박물관홍보자료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보여주었다. 현재 박물관에 홍보물이 있지만 미흡한 점이 많다. 홍보 방식이 간단하고 통일된 브랜드 이미지가 없어 문화재의 문화적 가치는 발굴되지 못하였다. 홍보 매체가 콘텐츠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방문객들이 더 많은 체험과 감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낡은 디자인을 새로운 디자인으로 대체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박물관의 문화적 특색을 살리고 홍보하는 역할을 하였다. 방문객도 그 문화적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유물을 생동감 있고 재미있는 문화자원으로 만들도록 하였다.
연구의 성과는 다른 박물관 유물 연구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예술문화 연구자들에게는 다양한 연구 시각과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디자인에 대한 사고, 디자이너들에게 디자인 방법 등에 대해서도 시사한다. 또한 연구 성과에 따른 박물관 브랜드 디자인은 유물의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박물관의 홍보역할을 더하여 중국 전통문화의 개척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To matc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putation of Handa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has been revealing the colorful charms of culture in Handan City as the essence of long history in it. The precious relics that are exhibited in it have been with Handan City from a long time ago with the wisdom and hope of the ancient people. The relics displayed in the museum are the sedimentation of history, the accepters of civilization, and the cohesion and succession of a state’s culture.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gaps in studying the patterns of the museum’s antiquities by using semiotics. Advanced research on the patterns has only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exterior forms of those patterns, investigation of decorative techniques, or the descriptive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that delves into the forms of semiotic expressions on the relics, the formation of symbolism of the signs, cultural implications, or the ideology. Presently, it seems that the relics exhibited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are ‘asleep’.The problem that they fail to convey the cultural meanings and symbolic information hidden behind the patterns of the relics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has not been solved yet. As it is difficult to show the cultural value and the visitors to the museum fail to acquire proper information, this author launched this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Chinese culture profoundly and sufficiently as a way to reveal Chinese history and culture better. Visiting a museum, people can get a glimpse of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as well as visual satisfaction.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y will read the behind story well and discover the piece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relics to realize the value as much as possible. Only when the public can appreciate the beauty of relics and understand the times that the relics contain and spiritual implications that allow China to continue to exist, they can understand the past fully. In order to create such valu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his author intends to examine the lives of the people in a particular time and their values through relics and inform contemporaries of the excellence of Chinese culture based on that.
This study introduces the theoretical research method of semiotic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representative antiquities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Semiotics is a field of study on the nature of symbols, the law of development of symbols, and the implied meaning of symbols, and it is above the other sciences to a certain extent in terms of content analysis or research on implied symbolism. The purpose of interpreting the symbols of patterns on the relics in the museum from a semiotic perspective is to discover the meaning of symbols in traditional culture by using semiotic perspectives and method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cultural content, and ideology of decorative art on the patterns of those relics more deeply.
This study targets representative antiquities among the five greatest culture series of the Handan Municipal Museum. Starting with the study of the patterns of those relics,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and cause of birth of those patterns by combining correlations between society, politics, culture, and religion of the time. By analyz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patterns on the relics of the Handan Municipal Museum and also the antiquities themselv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atterns on the relics by culture and by time.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s the analysis method of semiotics to analyze the cultural idea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atterns and also examines the basic characteristics,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ideologies of the relics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transmission and inno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providing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research on China’s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erefore, it i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significant to dissect the profound meanings of China’s traditional patterns with the theoretical method of semiotics.
This study analyzes the symbols of the patterns on 14 pieces of antiquities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with Saussure’s dualism of symbols, Pierce's triadic structure of symbols, Roland Barthes' semiotic systems, and mythologies. This author studies them in diverse aspects including the dependent social environment, style formation, and social culture as well as the social background and also deciphers the symbolism and the social culture and ideology behind 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atterns of each period reflect the taste of aesthetics and of value in each time. It is needed to show the results of semiotic analysis on 14 representative items of antiquities to the visitors in the forms of the museum’s promotional materials. The museum has promotional materials now, but they are not good enough. Because the way of publicity is too simple and there is no unified brand image, it is hard to discover the cultural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in it. As the media of publicity fail to deliver the contents properly, the visitors cannot have much experience and appreciate them adequately. Therefore, this researcher intends to play roles in replacing the old design with a new design and then enhanc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through the new design and publicizing it. Also, it will allow the visitors to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s better and turn the relics into more vivid and exciting cultural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good reference for the study of antiquities in other museums, too, provide various research perspectives and ideas for researchers of arts and culture, and suggest a lot to designers about thinking for design and design methods. Moreover, designing a brand for the muse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allow us to realize the value of relics anew and help discover and develop China’s traditional culture by adding the roles of publicity for the museum.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Symbolism and Publicity of the Patterns of Antiquities in the Handan Municipal Museum
- Alternative Author(s)
- ZHANG XIAOLIANG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Advisor
- 장재욱
- Awarded Date
- 2022-08
-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ⅴ
그림 목차 ⅷ
ABSTRACT xv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 5
제3절 연구의 대상 6
제4절 연구 흐름도 6
제2장 한단시 박물관 및 소장된 유물의 시기 분류 9
제1절 한단시 소개 9
제2절 한단시 박물관 소개 10
제3절 한단시 박물관 소장된 유물의 시대 분류 12
3.1 자산 문화 12
3.2 선상 청동기 문화 14
3.3 조 문화 15
3.4 자주요 문화 17
3.5 고대 석각 예술 문화 20
제3장 기호학 이론 21
제1절 기호와 기호학 21
제2절 현대 기호학 체계의 확립과 발전 22
2.1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 23
2.2 퍼스의 기호학 이론 25
2.3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이론 29
제4장 유물 문양의 기호학적 상징성 분석 연구 32
제1절 분석 대상의 선정과 이유 32
제2절 분석방법 38
제3절 유물 문양의 기호학적 상징성 분석 연구 40
3.1 자산 문화 유물 문양의 상징성 분석 40
3.1.1 물결 문양 도우와 도지각 문양분석 41
3.2 선상 청동기 문화 유물 문양의 상징성 분석 46
3.2.1 도철문동양수존 문양분석 47
3.2.2 기룡매미문직이삼족정의 문양분석 55
3.2.3 투조룡봉문동사 문양분석 62
3.3 조 문화 유물 문양의 상징성 분석 연구 66
3.3.1 전국투조기용문금패식 문양의 상징성 분석 67
3.3.2 촉서공금은도승여대작주존 문양분석 75
3.3.3 전국청동마 분석 82
3.3.4 전국청동마 분석 86
3.4 자주요 문화 유물 문양의 상징성 분석 92
3.4.1 백지흑화어조문분의 문양분석 93
3.4.2 백지흑화획용문분 문양분석 99
3.4.3 백유삭각착지모란문반구병 문양분석 104
3.4.4 백지흑화영희문대관 문양분석 110
3.5 고대 석각 예술 문화 소장된 유물의 문양 상징성 분석 115
3.5.1 한백옥석조연화비천불상배광 문양분석 116
3.5.2 당나라 관음보살 두상 문양분석 122
제4절 종합분석 127
제 5장 한단시 박물관 브랜드의 디자인 131
제1절 한단시 박물관 유물 전시 및 홍보 현황 134
제2절 디자인 방안 136
2.1 한단시 박물관 홍보물 디자인 137
2.1.1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 문양의 팸플릿 디자인 137
2.1.2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 문양의 브로셔 디자인 152
2.1.3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 문양의 카드 디자인 155
2.1.4 한단시 박물관 홈페이지 디자인 158
2.1.5 한단시 박물관 APP 디자인 161
2.2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 문양의 전시 디자인 164
2.2.1 한단시 박물관 유물의 소개 카드 디자인 164
2.2.2 한단시 박물관 대표적 유물의 패널 디자인 167
2.2.3 한단시 박물관 현수막 디자인 169
2.3 실외 홍보물 디자인 169
2.3.1 포스터 디자인 169
2.3.2 외부 배너 디자인 177
2.4 문화상품 디자인 177
2.4.1 엽서 디자인 178
2.4.2 우표 디자인 178
2.4.3 달력 디자인 179
2.4.4 에코백 디자인 181
2.4.5 머그컵 디자인 183
제 6장 결론 200
참고문헌 205
국문초록 210
부록 213
한단시 박물관 브랜드 디자인 효과도 213
한단시 박물관 소장된 유물 234
- Degree
- Docto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장효량. (2022). 한단시 박물관 유물 문양의 상징성 및 홍보 방안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853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5367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8-26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