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고한나
Issued Date
2023
Keyword
여성노인, 정신건강,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공적연금, 사회서비스
Abstract
The researcher noted that the mental health problem of the elderly women is not a specific individual problem but a universal social problem of many elderly women.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level in that it can not be achieved through any one system intervention.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lderly's personal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children, public pension, and organic relevance to social service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whether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and whether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anel data was used as the Korea Welfare Panel for 2021,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0.
Of the total 13,144 data, 1,042 elderly women (65 years or older) were extra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elderly women on their mental healt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cademic journals, these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reports, books, and Internet searches. Statistical data of each variable related to the study were utilized.
Second, for this study, the 16th year (2021)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data surveyed and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of each variable.
Thir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utliers in the data values, and the outliers or inappropriate data were removed.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multicollinearity.
Fifth, SPSS 26 and AMOS 24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nd significance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PSS 26 was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ain variables used in the study, and then AMOS 24 was used to perfor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ingle variables, and each variable was refined.
Sixth, Scheffe's test was conducted with t-test, ANOVA and post-hoc test to test the difference of family relationship,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mental health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omen.
Seven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was confirmed by confirming skewness and kurtosis. Cronbach’s alpha was confirmed to secure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collinearity.
Eigh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rvation variables and latent variable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oncept Reliability (CR) and Average Variance Extraction Index (AVE).
Ninth,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rameter estimation metho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L). For the evaluation of the model, chi-squared difference test and goodness-of-fit index were used.
Tenth,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variable.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and to promote the effects of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s, policy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eeking national intervention and concrete measures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of the elderly wome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mental health.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In detail, the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level.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the positive effect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of the child relationship of the elderly women on the mental health level. In addi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In detail, self-esteem acted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Self-esteem also served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Self-esteem acted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 acted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Public pen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nd social services had a negative effect. The economic stability of public pens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social services increased, mental health had a negative control effect.
This means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ocial services means that the current economic level is low, which means th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is lowered as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ocial services means that the current economic level is low, which means th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is lowered as the use of social services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wom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major family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women by dividing them into spouses and children. It also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s related to improving relationships with major families are important for the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s 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do not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a single group.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mplete enumeration of elderly households is required for the discovery of the elderly in blind spots and the discovery of high-risk elderly, and a social safety net should be urgently established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st efficient way of conducting the survey is to be done by region in the community needs survey conducted every three years. The survey on the elderly households suggests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managing the basic data of all policies as the most basic social interest to find the elderly in the blind spot.
Second,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hat can improve and reduce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various social interes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can be a prerequisite for strengthening the spouse relationship, indicating the need for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health and programs to prevent and reduce the elderly depress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Considering that the elderly's desire for value and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unlike before, various and needs-oriented contents that can enhance the elderly's self-esteem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 As verified in this study, it shows the need for a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long with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mplete enumeration of elderly households is required for the discovery of the elderly in blind spots and the discovery of high-risk elderly, and a social safety net should be urgently established through this.
Second, to improv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various social interes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o prevent depression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ird, it suggests the need for a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long with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s as a means of economic support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public domai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subdivis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public pension entitlement, and it is limited in that it can not analyze the difference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social service used.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this problem.| 본 연구자는 여성노인의 정신건강 문제는 어느 특정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다수의 여성노인들이 가지는 보편적인 사회문제임에 주목하였다.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은 어느 한 체계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개인, 가족, 지역사회 차원의 개입전략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노인의 개인적 차원의 자아존중감, 가족차원의 배우자 및 자녀관계, 공적연금, 사회서비스에 대한 유기적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와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적연금과 사회서비스가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는 2020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1년도 한국복지패널로서 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총 자료 13,144중 여성노인(65세 이상)을 추출하여 1,042명의 자료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가족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공적연금 및 사회서비스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들과 관련된 연구문헌인 학술지, 학위논문, 국내ㆍ외 연구보고서, 도서,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와 관련된 각 변수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 발표한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 중 16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변수의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데이터 값에 이상치를 검토하였고, 발견된 이상치 값이나 부적절한 데이터는 제거하였다. 넷째,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구조방정식 모형의 인과관계 파악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6와 AMOS 2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SPSS 26를 통하여 연구에 사용된 주요 변수들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AMOS 24를 활용하여 단일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CFA)을 실시하여 각 변수의 정제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여성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요인인 우울,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test와 ANOVA 및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여 변수들의 정규성을 확인하였으며 Cronbach’s α를 확인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 정도와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관측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의 구성타당성은 개념신뢰도(CR)와 평균분산추출지수(AVE)를 통해 확인하였다. 아홉째, 잠재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 우도법(maximum likelihood : ML)을 사용하여 모수 추정 방식으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평가를 위해 카이제곱 차이검증과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열 번째, 각 변수별 분석을 통해 검증되어진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공적연금과 사회서비스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개입방안과 구체적 방안의 모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여성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는 정신건강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여성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세부적으로 여성노인의 배우자관계 만족도는 정신건강 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이 지각한 배우자 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여성노인의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신건강 수준에 미치는 정적 영향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가족관계 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배우자관계 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로 작용하며, 자녀관계 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도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로 작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셋째. 여성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공적연금과 사회서비스가 조절효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공적연금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적 영항을 미쳤으며 사회서비스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공적연금이 주는 경제적 안정감으로 인해 정신건강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사회서비스 이용 개수가 늘어날수록 정신건강은 부적 조절 효과를 가졌다. 이는 사회서비스의 이용 개수가 늘어난 다는 것은 현재의 경제적 수준이 낮다는 것으로 사회서비스의 이용이 늘어날수록 정신건강 수준은 낮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여성노인의 주요한 가족관계를 배우자와 자녀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노인의 정신 건강과 심리적 적응을 위해 주요 가족과의 관계 향상과 관련한 개입이 중요하다는 실천척 함의를 제공한다. 노인을 단일 집단으로 간주하여 노인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성별에 따른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각지대 노인 발굴 및 고위험 노인 발굴을 위한 노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가 요구되며 이를 통한 사회적 안전망이 시급히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노인 가구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수조사의 방법은 3년마다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욕구조사에서 지역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노인 가구에 대한 전수조사는 사각지대 노인을 발굴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회의 관심으로 모든 정책의 기초자료를 수집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감소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개입 전략으로 가족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즉, 여성노인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배우자관계를 강화시키는 선행조건일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원와 노인우울을 예방 및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이 요구된다. 이전과 달리 노인의 가치 및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욕구중심적인 내용이 프로그램 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사회적 관계 활동과 더불어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각지대 노인 발굴 및 고위험 노인 발굴을 위한 노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가 요구되며 이를 통한 사회적 안전망이 시급히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우울을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개입 전략으로 가족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적 관계 활동과 더불어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적영역에서의 여성노인에 대한 경제적 지원 수단으로 공적연금과 사회서비스의 관계를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를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공적연금 수급액에 따른 세분화된 분석이 어려웠고 이용하는 사회서비스의 성격에 따른 영향도의 차이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향후 이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on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Women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Pension and Social Service
Alternative Author(s)
Han-Na K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정성배
Awarded Date
2023-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6
1. 연구범위 및 분석자료 6
2. 연구방법 7

제2장 이론적 배경 9

제1절 가족관계 9
1. 가족관계의 개념 9
2. 가족관계의 특성 10
제2절 정신건강 12
1. 정신건강의 개념 12
2. 정신건강의 구성요소 14
제3절 자아존중감 17
1. 자아존중감의 개념 17
2. 자아존중감의 특성 18
제4절 공적연금 20
1. 공적연금의 개념 20
2. 공적연금의 특성 21
제5절 사회서비스 24
1. 사회서비스의 정의 24
2. 여성노인의 사회서비스 26
제6절 선행연구 29
1. 정신건강과 가족관계 29
2. 가족관계와 자아존중감 33
3.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36
4. 공적연금과 정신건강 38
5. 사회서비스와 정신건강 41
6. 선행연구 평가 43

제3장 연구설계 46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6
1. 연구모형 46
2. 연구가설 47
제2절 연구대상 48
제3절 변수정의 및 측정도구 48
1. 독립변수: 가족관계(가족생활, 배우자관계, 자녀관계) 51
2. 종속변수: 정신건강 52
3. 매개변수: 자아존중감 53
4. 조절변수: 공적연금 54
5. 조절변수: 사회서비스 56
6. 통제 변수 56
제4절 분석방법 57
1. 분석자료 57
2. 자료점검 57
3. 자료분석 58
제4장 실증분석 60

제1절 측정도구의 검증 60
1. 가족관계 60
2. 정신건강 62
3. 자아존중감 66
4. 조절변수 68
5. 통제변수 69
제2절 일반적 특성 70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70
2.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72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 73
4.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78
제3절 연구모형 검증 78
1. 측정모형 검증 78
2.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83
3. 측정모형의 매개효과 검증 85
4. 측정모형의 조절효과 검증 88
5. 가설 검증 92

제5장 결 론 94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4
제2절 논 의 96
1. 주요변수에 대한 논의 96
2.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 98
3. 조절효과에 대한 논의 100
제3절 시사점 100
1. 이론적 시사점 101
2. 정책적 시사점 102
3. 실천적 시사점 103
제4절 향후 연구 방향 105

참 고 문 헌 108
국 문 초 록 126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한나. (2023). 가족관계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55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6935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