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송수호
- Issued Date
- 2023
- Keyword
- 취업 스트레스, 가족 건강성, 우울감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고용시장 침체와 오랫동안 지속해온 가족 건강성 변화의 사회적인 현상에 대해 상호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고용불안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의 관계에서 우울감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 및 4년제 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ANOVA,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분석한 결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가족 건강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원 유대(F=6.199, p<0.1), 의사소통(F=7.170, p<0.1), 문제해결 수행능력(F=8.189 p<0.001), 가치체계공유(F=7.752, p<0.001)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취업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가족원 유대와 의사소통이 높았다. 또한, 문제해결 수행능력과 가치체계공유는 취업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수준은 우울감의 하위차원인 정서적(F=22.389, p<.001), 인지적(F=26.618, p<.001), 동기적(F=26.163, p<.001), 생리적(F=11.582, p<.001)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취업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동기적, 생리적 우울감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 우울감 수준은 가족 건강성의 하위차원인 가족원 유대,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치체계공유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 우울 정서 수준이 낮을수록 가족원 유대,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치체계공유가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 인지의 수준 또한 낮을수록 가족원 유대,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치체계공유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우울감의 영향은 경제 수준 변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학년, 휴학 여부, 전공, 성적, 취업 준비 정도 등의 여타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는 정서적(r=.463, p<.001), 인지적(r=.475, p<.001), 동기적(r=.473, p<.001), 생리적(r=.353, p<.001) 우울감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고, 가족원유대(r=-.305, p<.001), 의사소통(r=-.324, p<.001), 문제해결 수행능력(r=-.327, p<.001), 가치체계공유(r=-.325, p<.001) 등의 가족 건강성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취업 스트레스(β=-.202, p<.01)와 우울감(β=-.274, p<.001)은 가족 건강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가족 건강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취업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의 관계에서 보다 다양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고려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ent job market stagnation and the long-lasting changes in family health and the social phenomenon. In particular,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job stress caused by job insecurity on family health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mily health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and 4-year undergraduates, and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through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job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family member bonding (F=6.199, p<0.1), communication (F=7.170, p<0.1), problem-solving performance (F=8.189 p<0.001) and shared value system (F=7.752, p<0.001)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articular, the lower the job stress level, the higher the family ties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and value system sharing were higher as the job stress level was lower.
Second, the job stress levels of college students were emotional (F=22.389, p<.001), cognitive (F=26.618, p<.001), and motivational (F=26.163, p<.001) sub-dimensions of depression. , showed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hysiological (F=11.582, p<.001).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job stress level, the higher the emotional,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depression.
Third, the emotion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levels of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family member bonding,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value system sharing, which are sub-dimensions of family healt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ower the depressive emotional level, the higher the family member bonding,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and value system sharing. System sharing was high.
Fourth, only economic level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emotional, cognitive, and motivational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the lower the economic level, the higher the depression. However, other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level, absence from school, major, grades, and job readin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job stress of college students was emotional (r=.463, p<.001), cognitive (r=.475, p<.001), motivational (r=.473, p<.001), and physiological ( r=.353, p<.001)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amily ties (r=-.305, p<.001), communication (r=-.324, p<. 001), problem-solving performance (r=-.327, p<.001), value system sharing (r=-.325, p<.001), etc. appear.
Sixth,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job stress on family health. At this time,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β=-.202, p<.01) and depression (β=-.274,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family health.
In this stud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t was shown that employment stress also affected family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hat considers more divers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mily health.
- Alternative Title
- Effect of college students' job stress on family heal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Alternative Author(s)
- Song Su-ho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
- Advisor
- 박종철
- Awarded Date
- 2023-02
-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ⅶ
ABSTRACT ⅸ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취업스트레스 5
1. 스트레스 개념 5
2.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개념 6
제2절 가족 건강성 10
1. 가족 건강성의 개념 10
2. 가족 건강성의 구성요소 12
제3절 우울감 14
1. 우울감의 개념 14
2. 우울감의 구성요소 16
제4절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19
1.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 19
2.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감 21
3.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 22
제3장 연구방법 23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23
1. 연구모형 23
2. 연구문제 24
제2절 연구대상 25
1. 연구대상 25
제3절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27
1. 연구도구 27
가. 취업 스트레스 척도 27
나. 가족 건강성 척도 28
다. 우울감 척도 29
2. 분석방법 30
제4장 연구결과 31
제1절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 31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33
2.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가족 건강성의 차이 35
3.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차이 36
제2절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의 전반적인 경향 37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가족원 유대의 차이 39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의사소통의 차이 40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차이 41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가치체계 공유의 차이 42
5.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의 차이 43
가.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정서적) 43
나.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인지적) 44
다.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동기적) 45
라. 대학생의 가족 건강성과 우울감(생리적) 46
제3절 대학생의 우울감의 전반적인 경향 48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정서적 우울감 49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인지적 우울감 51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동기적 우울감 52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생리적 우울감 53
제4절 상관관계 분석 54
제5절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56
제5장 결론 59
참고문헌 62
부록(설문지) 70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송수호. (2023).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50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49915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3-02-24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