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소년범죄 피해자의 권리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송태영
Issued Date
2022
Keyword
소년범지 피해자의 권리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Abstract
Currently, the juvenile justice process has an asymmetric structure centered on the juvenile perpetrators rather than guaranteeing the victims' legitimate rights in the judicial process under the guise of the realization of the ideology of 'national kinship' and 'human rights treatment'. Although juvenile crimes have recently become ferocious and brutal, the measures to protect victims are insuffici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juvenile crimes, juvenile justice procedures and policies centered on perpetrators are not functioning properly to reduce or prevent juvenile crimes, and rather, they are mass-producing recidivism.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ere victims' rights are strengthened, most federal states have amended laws emphasizing 'rehabilitation' and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for juvenile crimes emphasizing 'punishment' and 'public protection'. Similarly, victims of juvenile crimes, like victims of adult crimes, are broadly recognizing the rights of victims by applying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victims of crime to protect victims' witnesses. In particular, it guarantees the victim's right to make an active statement,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tencing of the trial. In Japan, the 「Juvenile Act」 was amende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victims of juvenile crimes, the scope of reading and copying of records of victims, etc. was expanded, the number of people who could listen to opinions by request of victims, etc. A notice system after judgment is in operation. In New Zealand, a family group conference, a victim-centered restorative judicial procedure led by a professional private institution, is being operated at an appropriate time to induce reconciliation that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can sympathize with.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mprove the juvenile justice procedure to strengthen the rights of victims of juvenile crimes in Korea by introducing positive aspects to these foreign legislative practices.
First, although there are provisions for allowing victims to attend the hearing and the right to make a statement, the juvenile law has no sense of efficacy due to various special rules.
Second, although there is a provision for perusal and copying of the victim's protection case record, it has been improved to allow very limited permission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juvenile division judge. It should be possible to read and copy, and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records related to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read and copy records related to flight facts. In addition, I believe that the number of persons who can peruse records and evidence after the start of the hearing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assistants, but also victims, legal representatives, and defense counsel.
Third, by improving the blocking of acces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about the perpetrators of juvenile crime victims, the victim or his/her legal representative is notified of case-related information, whether or not a hearing has started, the date and place of the hearing, and the outcome of the judgment and treatment after the result. i think you should
Fourth, in the case of juvenile protection ca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ilateral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procedure of the family court judge by improving the fact that the reconciliation recommendation is carried out only at the court level and that the reconciliation procedure is proceeded by the juvenile deputy judge's arbitrary decision. To this end, a system was newly established to proceed with the reconciliation procedure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of the police and prosecutors, and during the trial, the reconciliation procedure should be conducted at the request of the victim or the decision of the family court judge. I believe that it should be entrusted to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Fifth, in the case of family court hearings, the right to appeal, which is a means of objection, must be recognize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victim's right to testify by improving the fact that the victim of juvenile crime has the status of the right to appeal, but the juvenile does not have the right to appeal. I think it is appropriate to give the victim the right to appeal against the decision not to initiate the hearing, the decision not to dispose of it, or the decision to cancel the protective disposition.
Sixth, it is considered that the 「Juvenile Crime Victims Protection Act」 should be enacted to enable protection, support, and rescue of juvenile crime victims like the 「Crime Victims Protection Act」, which is the basis for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adult crime victims.|현재 소년사법절차는 ‘국친사상’이라는 이념의 실현과 ‘인권적 처우’라는 미명아래 피해자의 사법절차상의 정당한 권리보장보다는 가해소년의 중심의 불균형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 소년범죄가 흉포화되고 잔인한 양상을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피해자의 보호에 대한 방안은 미비한 상황이다. 소년범죄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가해자 중심의 소년사법절차와 정책이 소년범죄를 감소하게 하거나 예방하는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재비행을 양산하고 있다. 피해자의 권리를 강화한 미국의 경우 연방 주(州)의 대부분이 청소년 범죄에 대핸 ‘재활’와‘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강조하는 법령을 ‘처벌’과 ‘대중보호’를 강조하는 개정을 하여, 성인범죄 피해자와 마찬가지로 소년범죄 피해자도 형사소송법상의 피해자의 권리, 피해자의 증인 보호를 위한 범죄 피해자의 권리와 의무 규정을 적용받아 피해자의 권리를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특히 재판의 양형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피해자의 적극적 진술권을 보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소년범죄 피해자의 지위를 강화하는 「소년법」 개정을 하였으며, 피해자 등에 대한 기록의 열람 및 등사 범위 확대, 피해자 등의 신청에 의한 의견 청취 대상자 확대, 심판결과 통지제도, 심판의 방청 인정, 심판 후의 통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뉴질랜드의 경우 전문적인 민간기관이 주도하는 피해자 중심의 회복적 사법절차인 가족집단회의를 운영하여 적절한 시기에 피해자 측과 가해자 측이 공감할 수 있는 화해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의 입법례에 긍정적인 측면을 도입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소년범죄 피해자의 권리 강화를 위한 소년 사법절차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의 심리 기일 참석 허용, 진술권의 규정은 있지만 소년법이 각종 특칙 때문에 효능감이 없기 때문에 피해자 측의 심리기일 참석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고, 적극적인 진술권과 의견권을 보장을 해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피해자의 보호사건기록의 열람·등사의 규정은 존재하지만 소년부판사의 결정에 따라 아주 제한적으로 허가하고 있는 점을 개선하여 사건 본인·보호자·보조인 또는 피해자 측의 신청이 있을 때 심리기록의 열람·등사가 가능하도록해야 하며, 민감한 신상에 관련된 심리기록 외에 비행사실과 관련된 기록을 열람·등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심리개시 후 기록과 증거물을 열람할 수 있는 자를 보조인 뿐 만아니라 피해자·법정대리인·변호인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 소년범죄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정보 접근과 제공이 차단된 것을 개선하여 피해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에게 사건관련 정보, 심리개시의 여부, 심리의 기일·장소, 심판 결과와 결과 후의 처우에 대한 통지를 해야 한다고 본다.
넷째, 소년보호사건의 경우 화해권고의 단계가 법원 단계에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과 소년부판사의 독단적인 결정에 의해 화해절차가 진행된다는 점을 개선하여 가정법원판사의 일방적인 화해권고 절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찰·검찰 수사단계에서 화해절차를 진행하는 제도를 신설하고, 재판진행 중에는 피해자의 신청이나 가정법원판사의 결정으로 화해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되, 유연한 화해조정절차의 진행을 위해 화해전문기관인 민간기관이나 개인·단체에 위탁하여야 한다고 본다.
다섯째, 가정법원심리의 경우 가해소년에게는 항고권의 지위가 있지만 소년범죄피해자에게 없다는 점을 개선하여 피해자의 진술권의 효능을 위해 불복수단인 항고권을 인정하여야 하며, 가해소년 측의 항고권과 같이 심리불개시 결정, 불처분 결정, 보호처분 취소의 결정에 대해 피해자 측의 항고권을 부여하는 적절하다고 보며, 특히 피해자 측에도 변호사제도를 도입하여 심리의 주체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본다.
여섯째, 성인범죄 피해자의 보호와 지원의 근거가 되고 있는 「범죄피해자보호법」과 같이 소년 범죄피해자의 보호와 지원, 구조가 가능하도록「소년범죄피해자보호법」을 입법해야 한다고 본다.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Rights of Victims of Juvenile Crimes
Alternative Author(s)
Song, Tea-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종구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 1 장 서론 1
제1절 최근 소년범죄의 경향 1
1. 소년법의 변천사 2
2. 일반적인 소년사법절차 9
제2절 연구배경 11
1. 사법절차의 문제제기 1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제 2 장 소년범죄 사건의 현황 15
제1절 통계로 본 소년범죄 사건 15
1. 소년범죄 사건 접수현황 15
2. 18세 이하 소년범죄와 범죄 발생비 16
3. 20세 이하 소년범죄 피해자 현황 18
제2절 소년범죄자의 재범 19
1. 소년범죄자의 재범률 19
2. 재범의 원인 20

제 3 장 피해자의 권리를 강화한 외국의 입법례 22
제1절 미국의 입법례 22
1. 청소년법의 강화 22
2. 피해자 권리 운동 23
3. 피해자 진술권 26
제2절 일본의 입법례 28
1. 소년법 개정 28
2. 피해자 지원 35
제3절 뉴질랜드의 입법례 36
1. 소년사법 개혁 36
2. 회복적 사법의 태동 38
3. 가족집단회의의 운영 39
제4절 소 결 42

제 4 장 소년사법절차의 개선방안 44
제1절 피해자의 심리 기일 참석 허용·진술권 보장 44
1. 현행 규정 44
2. 개선방안 46
제2절 피해자의 기록의 열람·등사의 권리 허용 49
1. 현행 규정 49
2. 개선방안 51
제3절 피해자의 정보 접근과 제공 받을 권리 부여 53
1. 현행 규정 53
2. 개선방안 62
제4절 피해자 중심의 화해절차 64
1. 현행 규정 64
2. 개선방안 65
제5절 피해자의 항고권 인정 67
1. 현행 규정 67
2. 개선방안 71

제 5 장 소년범죄 피해자 보호 72
제1절 소년범죄 피해자의 보호이념 72
1. 시대적 배경 72
2. 피해자에 대한 인식전환 73
제2절 범죄피해자보호법 75
1. 입법 배경 75
2. 피해자 보호관련 법규정 83
제3절 소년범죄 피해자보호법 89
1. 소년피해자의 권리보호 89
2. 입법의 필요성 90
제4절 소 결 95

제 6 장 결 론 98

참고 문헌 10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송태영. (2022). 소년범죄 피해자의 권리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9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43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