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혜원
Issued Date
2022
Abstract
어휘 지식은 의사소통적 대화 상황뿐 아니라 학습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매체, 텍스트 등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여러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파생어는 학령기에 학습해야 할 어휘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파생어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읽기이해에 기초한 학업기술 향상을 위해 주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이처럼 학령기 시기에 필수적인 어휘를 중재하는 방법에는 크게 정의법, 문맥 접근법, 형태 분석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문맥 접근법과 최근 대두되고 있는 형태 분석법의 내용과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3학년 일반 아동 42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개발한 문맥 추론 중재 프로그램과 형태 추론 중재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파생어 의미 습득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접두사-어근’의 어휘 4개와 ‘어근-접미사’의 어휘 6개의 총 10개 어휘에 대하여 2학년과 3학년 각 1개, 총 2개 학급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프로그램 모두 파생어 의미 습득에 개별적인 효과가 있었고, 두 프로그램 간 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학년과 프로그램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그 효과가 입증된 문맥 추론 중심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형태인식에 기반한 프로그램이 유사한 어휘 습득 효과를 지니는 것을 함의한다 이는 초등학교 2~3학년은 문맥을 통한 의미 추론 및 모니터링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임과 동시에 형태인식능력이 함께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일 것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연구 과정에서 두 집단 아동은 다소 다른 반응을 보였는데, 문맥 추론 프로그램 집단 아동은 배운 어휘를 새로운 문맥에 자주 활용하여 적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형태 추론 프로그램 집단 아동은 형태론적인 분석을 빈번히 하고, 부분적인 의미와 전체적인 의미에 함께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3학년 아동에게 문맥 추론과 형태 추론을 이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파생어 의미 습득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 수가 적고, 프로그램 내에서 자극의 빈도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중재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은 방법(예, 인터넷 검색)을 통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언어장애 아동과 읽기장애 아동에게 적용하기에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더 많은 대상자에게 자극의 빈도와 인터넷 등의 외부 환경을 잘 통제한 연구가 필요하며, 언어 및 읽기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중재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Vocabulary knowledge, as a focal factor affecting not only conversational situations but also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media and texts in the course of education, is often the object of attention for many researchers. In particular, as a vast majority of the vocabulary demanded throughout school-age consists of derivatives, exact understanding of such words solidifies the foundation of the progress of academic skills based on reading comprehension. Whereas there are three main approaches, the definitional approach, the contextual approach, and the morphological approach, in intervening the essential vocabularies of school-age, this study aims on examining the contents and efficacy of the latter two. Whil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xtual approach has been endorsed by previous studies, the morphological approach has only recently come to the fore.
In this study, forty-two second to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respectively completed either a contextu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 or a morphologic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 (both developed grounded on preceding research). As the programs ai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meaning acquisition in derivatives, they were implemented in two second-grade classroom and two third-grade classrooms, centering on the learning of four ‘prefix-root’ words and six ‘root-suffix’ words. Results showed that both programs were effective in the meaning acquisition, showing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contextual and morphological inference programs. There were no disparities according to grades and programs as well.
Such results imply that in terms of vocabulary acquisition, morphologic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s are as fruitful as the previously validated contextu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s. This may be further elucidated by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second to third-grade children, whose morphological awareness as well as their semantic interference and monitoring ability are in the course of maturity. Meanwhile, the children in each program also showed rather different reactions. While the children of the contextual interference program were shown to conjugate their newly acquired vocabularies in different contexts regularly, children from the morphological interference program displayed frequent morphological analysis, concentrating on both partial and general meaning.
The focus of this study was assessing the effectivity of contextual and morphologic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s in derivative acquisition among second to third-grade elementary students. However, the study still has its limits due to the lack of subjects, difficulty in regulating the frequency of stimulation, and incapacity of controlling variables outside the intervention program, such as internet use. In addition, research also falls short in that it consider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s its target as opposed to children with linguistic or reading disabilities. Thus, we call for further study that investigates a larger number of subjects and controls variables such as frequency of stimuli and external environments, as well as those that examine appropriate intervention techniques for children with linguistic and reading disabilitie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ontextual versus morphological inference intervention on the acquisition of derivative in 2nd and 3rd graders
Alternative Author(s)
Jeong, Hye Wo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언어치료학과
Advisor
정부자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Ⅰ. 서론 및 이론적 배경 1
A. 어휘 지식 1
1. 어휘 지식의 정의와 특성 1
2. 학령기의 어휘 발달과 파생어 2
B. 어휘 중재법 4
1. 어휘 중재법과 종류 4
2. 문맥 추론 어휘 중재법 6
3. 형태 추론 어휘 중재법 9
C. 연구 문제 11

Ⅱ. 연구 방법 12
A. 연구 대상 12
B. 연구 도구 13
1. 검사 도구 13
a. 대상자 선정 도구 13
b. 사전/사후 검사 도구 15
2. 중재 도구 16
a. 중재 어휘 선정 16
b. 문맥 추론 중재 프로그램 18
c. 형태 추론 중재 프로그램 20
C. 연구 절차 23
1. 자료 수집 23
a. 대상자 선정 검사 23
b. 사전/사후 검사 23
2. 중재 프로그램 실시 24
3. 중재 충실도 검사 25
4. 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25

Ⅲ. 연구 결과 27

Ⅳ. 논의 및 결론 31

참고문헌 41

부록 4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혜원. (2022).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8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690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