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화된 수치심이 비 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 Author(s)
- 이석현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internalized shame, anger suppression, non-suicidal self-injury, mediating effect Early Adulthood
- Abstract
- 본 연구는 분노 억제가 성인 초기에 내면화된 수치심과 비자살적 자해(NSSI) 사이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참여자(N=1163)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State-Trait Angy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TAXI), FASM(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을 완료했으며, 오직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사람(N=410)의 데이터만 사용했다. 상관관계 분석 및 SEM(Structural Equational Model) 테스트의 경우,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비자살적 자해 사이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 및 NSSI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분노억제는 NSSI에 대해 의미있는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분노억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NSSI 사이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분노 억제를 매개함으로써 내면화된 수치심이 NSSI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분노억제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NSSI의 구조를 더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외에도, 본 연구는 NSSI의 치료적 예방과 NSSI의 개입에 대한 임상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분노 억제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NSSI의 관여에 중요한 위험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현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ger suppre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in early Adulthood
To examine this hypothesis, participants (N=1163) complete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 Functional Assesment of Self-Mutilation (FASM) through an online survey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only data from those who experienced more than NSSI (N=410)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testing Structual Equational Model(SEM), the data collected in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ger suppression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ternalized sham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 suppression and NSSI. Also, anger suppression indicated a signig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NSSI.
Second, anger sup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NSSI. In other words, Internalized shame had not onlt a direct effect on NSSI but also an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the anger sup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o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of NSSI.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is study have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SSI and suggest that anger suppression, as well as internalized sham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risk factor in the engagement of NSSI.
Limitationas of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Non-Suicidal Self-injury : Mediating effect of Anger suppression in early Adulthood
- Alternative Author(s)
- LEE SEOK HYU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Department
-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Advisor
- 정승아
- Awarded Date
- 2022-02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10
A. 비자살적 자해 10
1. 비 자살적 자해의 개념 10
2. 비 자살적 자해에 대한 설명 모형 12
B. 내면화된 수치심 12
1. 내면화된 수치심의 개념 12
2. 내면화된 수치심과 비 자살적 자해 13
C. 분노억제 15
1. 분노의 개념 15
2. 분노억제의 개념 16
3.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 17
4. 비자살적 자해와 분노억제 18
D.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 및 비자살적 자해 19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0
B. 측정도구 21
C. 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5
A. 연구변인의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25
1.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기술 통계 25
B. 측정 모형분석 28
1. 측정 모형검증 28
2. 측정 모형의 타당도 30
C. 구조 모형 분석 31
1. 구조 모형 검증 31
2. 매개 효과 검증 32
Ⅳ. 결론 및 논의 34
참고문헌 39
부록 57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이석현. (2022). 내면화된 수치심이 비 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7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074
-
Appears in Collections:
-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