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관숙
Issued Date
2022
Keyword
Multicultural Youth, Family Support, Life Satisfaction, Social Withdraw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bstract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multicultural youth's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social withdraw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estimated for 5 years in order to fin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The direct and indirect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troph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group comparison and verification according to club activit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side of school were also examined.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th to 8th years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prepared and provid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used. For the sample, 1,169 multicultural youth (575 males, 594 females) were selected and SPSS 26.0 A longitudin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rough the and AM0S 26.0 program.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as the final selected linear growth model after comparative verification of the no-change model and the linear growth model, and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established with the selected linear growth models.
To verify the multi-parameter effect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 bootstrap method using phantom variables was used. To this end,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indirect effect paths was investigated by forming phantom variable modeling for individual indirect effect paths.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group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club activit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side the school. For the verification of measurement equivalence, conclusions were drawn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fit between the unconstrained model and the non-constrained model sequentially for intercept identity, covariance identity (intercept + covariance), and measurement error identity (intercept + covariance + measurement error).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comparing the fitness of the no-change model and the linear growth model for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social withdraw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latent growth model was finally set as the linear growth model.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social withdraw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ach variable had individual differences at the initial value level,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ate of change over time. Also, the covariance of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each variabl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the rate of change for multicultural youth with high initial values ​​of each variable changes gradually over time, whereas for multicultural youth with low initial values, the rate of change changes relatively steeply.
Second, looking at the initial values and initial values of variables, famil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atrophy, social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youth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youth with a high level of family support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had a low level of social withdrawal, and those with a low level of social withdrawal had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youth with high family support had hig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adolescents with high multicultural youth had high life satisfaction. Also, looking at the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s of variables,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ocial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youth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youth from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are growing up, youth with high initial family support show a gradual increase in multicultural receptivity.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is gradual for youth with high initial social atrophy, and the rate of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is gradual for youth with high initial multicultural youth. Lastly, looking at the rate of change and rate of change of variables,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withdrawal and that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s small, and the growth chang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s large. This means that multicultural youth with high family support have low social withdrawal, high multicultural youth, and high lif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initial value of social withdrawal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initial value of family support and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and the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initial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initial value of family support and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can be strengthened by social withdraw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family support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change of social withdrawal.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lub activity was pres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ub activity in the path that the initial value of social atrophy had on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P < .05)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the social withdrawal level of multicultural youth on the level of initial life satisfa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ub activit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 of sch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 of school in the path of the initial value of family support on the rate of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was very significant (P < .001),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the initial family support level of multicultural youth on the chang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iffe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ult helping outside schoo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and strategies that can strengthen family capacity, reduce social atrophy, and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since multicultural youth grow up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lan to build a local community support system such as micro-system and intermediate system, as well as exosystem and macro system. In addition, family support, social withdraw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re factors with continuity and dynamism, rather than temporary and provisional factors. Therefore, it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studies and deriving results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을 위해 5개년 동안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의 발달궤적을 추정하였고,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직·간접 종단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른 집단 비교검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작성·제공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4차년도부터 8차년도까지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표본은 다문화청소년 1,169명(남 575명, 여 594명)을 선정하여 SPSS 26.0과 AM0S 26.0 프로그램을 통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은 무변화 모형과 선형 성장모형을 비교 검증한 후 최종 선택된 선형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선택된 선형 성장모형들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의 다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이용한 부트스트랩(bootstrap)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별 간접효과 경로에 대한 팬텀변수 모델링을 형성하여 개별 간접효과 경로들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 집단비교분석은 동아리활동과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해 먼저 형태동일성 검증 후, 측정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해 순차적으로 절편동일성, 공분산동일성(절편+공분산), 측정오차동일성(절편+공분산+측정오차)을 비제약모델과 모형적합도 비교·검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모두 무변화 모형과 선형 성장모형의 적합도 비교 후 최종적으로 선형 성장모형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삶의 만족도,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각 변수들 모두 초기값과 초기값의 분산이 유의하고 변화율과 변화율의 분산이 유의하여 초기값 수준에도 개인차가 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율에도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 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의 공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각 변수의 초기값이 높은 다문화청소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율이 완만하게 변화는 반면, 초기값이 낮은 다문화청소년의 경우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가파르게 변함을 의미한다.
둘째, 변수들의 초기값과 초기값을 살펴보면,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에,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와 다문화수용성에, 다문화수용성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1 시기 가족지지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 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고, 사회적 위축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은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지지가 높은 청소년은 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가 높고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삶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수들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살펴보면, 가족지지가 다문화수용성에,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다문화수용성이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1부터 고2까지 청소년들이 성장하는 동안 초기 가족지지가 높은 청소년들은 다문화수용성의 증가 속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고, 초기 사회적 위축이 높은 청소년들은 삶의 만족도의 감소 속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며, 초기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청소년들은 삶의 만족도의 증가 속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수들의 변화율과 변화율을 살펴보면, 가족지지가 사회적 위축에 부적인 영향을, 가족지지가 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지지의 성장변화가 클수록 사회적 위축의 성장변화가 작고, 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의 성장변화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위축 초기값은 가족지지 초기값에,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부분매개 하였으며, 사회적 위축 변화율 또한 가족지지 변화율과 삶의 만족도 변화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였다.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수용성 초기값은 가족지지 초기값에,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부분매개 하였다. 이는 중1 시기의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에 의해 보다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중1 시기부터 고2 시기의 가족지지의 변화가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통해 삶의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사회적 위축 초기값이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미치는 경로에서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P <.05) 나타나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적 위축 수준이 초기 삶의 만족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가족지지 초기값이 다문화수용성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매우 유의미하게(P <.001) 나타나 학교 밖에서 도움 주는 어른 유무에 따라 다문화청소년들의 초기 가족지지의 수준이 다문화수용성의 변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족의 역량강화 및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고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개입방법과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그리고 다문화청소년은 다양한 환경체계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기 때문에 미시체계, 중간체계 뿐만이 아닌 외체계, 거시체계 등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가족지지, 사회적 위축, 다문화수용성, 삶의 만족도는 일시적이고 잠정적인 요소가 아닌 지속성과 역동성을 가지고 있는 요인임으로 일정 시점에서 특정 표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는 횡단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각각의 변화궤적을 살필 수 있는 종단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lternative Title
A Longitudinal Study o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Living Environment
Alternative Author(s)
Kim kwan so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Advisor
김용섭, 박희서
Awarded Date
2022-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다문화청소년 12
1. 다문화가정 12
2. 한국의 다문화청소년 15
3. 한국의 다문화청소년 동향 18
제2절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요인 23
1. 삶의 만족도의 개념 23
2. 삶의 만족도의 구성요소 26
3.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30
제3절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 효과 32
1. 가족지지의 개념 32
2. 가족지지의 구성요소 34
3.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 36
제4절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현상 38
1. 사회적 위축의 개념 38
2. 사회적 위축의 구성요소 39
3.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40
제5절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효과 43
1. 다문화수용성의 개념 43
2. 다문화수용성의 구성요소 45
3.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47
제6절 선행연구 48
1.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 48
2.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 51
3.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 54
4. 가족지지와 사회적 위축․다문화수용성과 삶의 만족도 57
5. 선행연구의 평가 59

제3장 연구설계 64
제1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64
1. 잠재성장모형 64
2. 연구모형 77
3. 연구가설 79
제2절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81
1. 분석자료 81
2. 분석대상 82
제3절 측정도구 83
1. 삶의 만족도 83
2. 가족지지 84
3. 사회적 위축 86
4. 다문화수용성 87
제4절 자료의 분석방법 88
1. 분석절차 88
2. 자료처리방법 89

제4장 실증분석 95
제1절 연구대상의 특성 95
1. 인구통계학적 특성 95
2. 변수의 기술통계 및 차이검증 98
제2절 측정도구 검증 110
1. 변수 타당도 검증 110
2.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114
제3절 잠재성장모형의 변화모형 설정과 성장변화 119
1. 삶의 만족도 119
2. 가족지지 121
3. 사회적 위축 123
4. 다문화수용성 125
제4절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127
1.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합도 검증 127
2.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 검증 130
3. 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검증 133
4.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의 집단 간 비교 검증 138
제5절 연구결과와 종합적 논의 157
1. 특성별 차이 분석 결과 158
2. 가설 검증 결과 159

제5장 결 론 16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67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170
1. 이론적 시사점 170
2. 실천적 시사점 173
3. 정책적 시사점 177
제3절 향후 연구방향 180

[참고문헌] 183

[부록] 설문지 211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관숙. (2022).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2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6713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