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리좀적 특성 연구
- Author(s)
- 천지현
- Issued Date
- 2022
- Keyword
- 유휴시설, 재생공간, 리좀
- Abstract
-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industrial structure transformed from the industrial age era to the information age. As a result, in the industrial era, industrial facilities, which were the mainstream of transportation, production, transportation, storage,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lost their original purposes and functions and became idle, and at the same time a phenomenon was observed in which they were abandoned in cities. These idle facilities undermined the aesthetic values of the city and has risen as a social problem, causing the decline of surrounding areas.
The term rhizome, derived from a botanical term, is a philosophical concept citing the rhizome of the arboreal system in Deleuze and Guattari's book . The rhizome is open to all points, has no beginning, no end, and no center,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new connections. When thes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are applied to the regeneration space of idle facilities, the rhizome’s characteristics are well shown in the complex facility, so that various spaces are connected while different,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from one space to any other space.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a rhizome analysis was conducted on shared space and public space, and considering that, among various spac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rhizome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rhizome.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rhizom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hizome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regeneration spaces of idle facilities, and therefore, we intend to seek ways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By analyzing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rhizome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were extracted, and rhizom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connectivity, cohesiveness, diversity, non-hierarchy, and discontinuity.
First, connectivity means when two heterogeneous spaces are juxtaposed side by side, and second, connectivity is defined as a characteristic in which heterogeneous elements combine in plural. Third, non-hierarchical structure is when non-hierarchical and heterogeneous lines exchange and inters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flows to have a plural and horizontal structure. In addition, all objects are not fixed, creating various configurations and possibilities and constantly changing. Fourth, due to variability, rhizome expands in various unpredictable directions, creating another manifold in the existing space or connecting to it to create a new composition. In addition, manifolds are defined that has neither a subject nor an object, and these entities are indefinitely connected to create events and actions to form various configurations. Lastly, discontinuity was defined as a characteristic that occurs wh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continues to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actions of users.
Among the idle facilities using the regeneration space, the complex space is juxtaposed and connected, accessible from various points, and can be composed of multiple spac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space is shown in which users' actions can be free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hizome space has various and indeterminate paths due to the coincidental selection of users, and has a spatial structure that is individually juxtaposed side by side, it was possible to connect similar parts to the complex facility of the regeneration space using idle facilities and the rhizom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cohesiveness, non-hierarchy, diversity, and discontinuity. Therefore, in terms of the rhizom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space regenerated as an idle facility to suggest a direction.
In this study, among the regeneration spaces using idle facilities, the rhizom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and thu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space planning. Cases subject to analysis were analyzed based on cases opened within the last 5 years, and continuou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due to limitations in the number and scope of cases.
|경제성장과 함께 기술과 교통 등의 발달로 산업구조가 산업화 시대에서 정보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산업화 시대에 운송, 생산, 교통, 저장, 가공, 제조업 등 주류를 이루었던 산업시설들이 본래의 용도와 기능을 상실하여 유휴화 되고, 도시에서 그대로 방치되고 버려지는 현상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유휴시설은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고, 주변지역 쇠퇴의 원인이 되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다.
식물학 용어인 리좀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저서 에서 수목적체계의 리좀을 인용한 철학적 개념이다. 리좀은 모든 점이 열려있고, 시작과 끝, 중심이 없고 새로운 연결 접속을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리좀의 특성을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 적용했을 때, 복합시설에 리좀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어 다양한 공간이 서로 다르지만 연결 접속되어 있고, 한 공간에서 어느 공간으로 연결 가능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공유 공간, 공공 공간 등에 대한 리좀적 분석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고, 복합문화공간이 여러 공간 중에서 리좀적 특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보아 복합문화공간과 리좀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리좀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 리좀적 특성이 나타남을 보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리좀적 특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리좀의 특성을 추출하여 리좀적 특성을 접속성, 결합성, 다양성, 비위계성, 비연속성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접속성은 이질적인 두 공간이 나란히 병치 되었을 때를 의미하고, 둘째, 결합성을 이질적인 요소가 복수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이라고 정의 하였다. 셋째, 비위계성은 구조상으로 비위계적이고 이질적인 선들은 다양한 방향과 흐름으로 교환하고 상호 교차하여 복수성과 수평적인 구조를 갖는다. 또한, 모든 개체는 고정되지 않아 다양한 구성과 가능성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변한다. 넷째, 다양성은 리좀은 예상할 수 없는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서 확장되고, 기존 공간에 또 다른 다양체를 만들기도 하고 접속하여 새로운 구성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다양체는 주체도 객체도 갖지 않고 이러한 개체는 무한정으로 접속하며 사건과 행위를 만들어 다양한 구성이 된다고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연속성을 이용자들의 이동과 행위에 따라 중심의 위치가 계속해서 변화하면서 생기는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재생공간을 활용한 유휴시설 중 복합공간은 공간과 공간이 병치되어 연결되고 다양한 지점에서 접근 가능하며, 복수적인 공간으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행위가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의 특징이 나타난다. 한편, 리좀적 공간은 이용자들의 우연한 선택에 의해 다양하고 불확정적인 경로를 갖고, 개별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공간 구조를 가지는 걸로 나타나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복합시설과 리좀적 특성 접속성, 결합성, 비위계성, 다양성, 비연속성과 유사한 부분을 연결 지을 수 있었다. 따라서 리좀의 개념으로 볼 때 유휴시설로 재생된 공간을 해석하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 중 복합문화공간, 복합상업공간에 리좀적 특성이 반영되어 공간의 계획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의의를 가진다. 분석의 대상이 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에 개관한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사례의 개수와 범위의 한계로 인해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rhizomal characteristics of the regerneration space using idle facilities
- Alternative Author(s)
- Chun Jihyeon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Department
- 디자인대학원 스페이스퍼블릭디자인
- Advisor
- 윤갑근
- Awarded Date
- 2022-02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3. 연구 흐름도 3
Ⅱ. 유휴시설과 재생공간 4
1. 유휴시설 4
1.1 유휴시설의 발생배경 4
1.2 유휴시설의 개념 및 정의 5
2. 재생공간 8
2.1 재생공간의 개념 8
2.2 재생공간의 가치와 활용 11
3.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16
3.1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16
3.2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18
Ⅲ. 유휴시설 재생공간의 리좀적 특성 23
1. 리좀의 이해 23
1.1 리좀의 개념 23
1.2 리좀의 구성원리 25
2. 리좀적 특성 29
2.1 리좀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29
2.2 리좀적 특성 31
3. 유휴시설 재생공간의 리좀적 특성 33
Ⅳ. 리좀적 유휴시설 재생공간에 따른 사례분석 34
1. 사례분석 기준 및 범위 34
1.1 사례분석 기준 및 범위 34
1.2 사례분석 방법 35
2. 사례분석의 틀 35
3. 사례분석 36
3.1 중림창고 36
3.2 부천 아트벙커 B39 42
3.3 콜 드롭스 야드 46
3.4 마포 문화비축기지 49
3.5 부산 F1963 53
4. 소결 56
Ⅴ. 결론 58
【참고문헌】 60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Citation
- 천지현. (2022).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리좀적 특성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715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7147
-
Appears in Collections:
- Art, Design, & Physical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22-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