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색채인식을 확장하는 경험중심 미술교육 수업지도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형선
Issued Date
2021
Keyword
미술교육, 색채 교육, 색, 색채, 경험중심 미술교육, 색채미술교육
Abstract
교육이란 사람을 교육하는 행위를 일컫는 단어로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는 것만이 아닌, 사회에서 원하는 인재상을 육성하고 인간의 잠재 능력을 일깨워 훌륭한 자질과 인격을 갖추도록 이끄는 일이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 사회가 변하고, 사회가 변하면 자연히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 역시 변화하기 마련이다. 2021년 현재, 현대 사회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사태 등의 거대한 사건들로 말미암아 사회 전 분야에 대한 변혁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교육 분야 역시 이와 같은 흐름에 따라 2015개정 교육과정으로 대표되는 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학습 내용에선 여전히 부족한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학문 위주의 공교육에서 미술을 비롯한 예체능 교과의 중요도는 국, 영, 수 등의 주요 과목과 비교조차 할 수 없다. 그러한 학문 중심의 교육은 자연히 학생에게 감성적인 부분을 표출할 기회를 제한하게 되고, 더불어 미술 교육의 제한된 수업 시수를 이론 교육 위주로 치중하게 되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이는 미술 과목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를 낮추는 주원인이 되기도 하며, 아이들의 창의력과 감성을 함양하는 데 있어 큰 장애가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색채 미술교육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색채의 기본 개념에서 벗어나는 색채 인식의 확장을 중심으로 아동에게 일어나는 교육적 효과와 기대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색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리하여 색과 색채 미술교육의 이해 그리고 초등학교 색채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 연구를 위해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경험 중심의 미술교육 관점’과 ‘아동 인지발달’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색채 인식의 확장에 관한 교육적 가치를 활용해 지도안을 구성하여 구체적인 새로운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교육적 효과들은 무엇들이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육의 방향은 '경험중심'을 토대로 진행하고, 연구 대상은 아이의 인지발달에 맞춰 개념이 정립된 아이들로 연구 기준을 정하여 초등학교 3~4학년으로 선정하였다.
이 수업 지도안은 이전 연구자들에 의한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의 감성 증진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색채 인식의 확장이 초등학교 3~4학년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여러 방향으로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시작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색채 미술교육에서 감성교육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보이는 것에 대한 모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닌, 색을 다양하게 경험하여 남다르게 사고하며 자유롭게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The term "education" means an act of educating people, not just transferring knowledge and skills, but fostering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society, awakening human potential, and having excellent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as times change, society changes, and as society changes, the image of human resources that society demands naturally changes. As of 2021, modern society is facing a period of change in all sectors of society due to major events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ronavirus crisis.
In the field of education,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change on behalf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prior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in parts of the learning content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cluding art, cannot be compared to major subjects such as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ch academic-oriented education naturally limits the opportunities to express emotional aspects to students and causes the effect of focusing on theoretical education for the limited number of classes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is is the main cause of lowering students’ interest in the art subjects themselves, and it is also a major obstacle to children's creativity and sensibility. This study proposes color art training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nd expected effects of children, focusing on expanding color perception that deviates from the basic concept of color,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 First, we organized the basic concepts of color,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color and art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col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in the case of educational research, empirical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re investiga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surveys. Third, we propose a concrete new approach by leveraging the educational value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of color recognition. Fourth, we consider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education is based on ‘empirical-oriented’, the study target are children whose basic concepts was selected as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ith established concepts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Based on various studies conducted by previous researchers, this course guide proposed a new plan for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education. And,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lor recognition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n various aspects.
Starti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children's color education will not be an education that mimics what they see, but an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children so that they can experience color in various way to think differently and freely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lternative Title
Experience-based Study on Art Education Instruction to Expand Color Recognition-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 (3rd to 4th graders)-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g-sun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유섭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ⅲ
그림 목차 ⅴ
국문초록 ⅵ
ABSTRACT ⅷ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색과 색채 미술교육의 이해 4
1. 색에 대한 정의 4
2. 색채의 지각 및 역할 6
제2절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색채 미술교육 13
1. 미술교육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의 관점 13
2. 초등학교 색채 미술교육의 현황 및 실태 20
제3절 경험중심 미술교육 24
1. 경험중심 미술교육의 배경 24
2. 경험중심 미술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26
3. 아동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분류 27

제3장 색의 인식 확장을 위한 수업지도안 연구 33
제1절 인식의 확장에 대한 교육적 가치 33
제2절 수업지도안 설계 및 제시 34
1. 교수학습 지도안 설계 34
2. 교수학습 지도안 제시 38

제4장 결론 59

참고문헌 6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형선. (2021). 색채인식을 확장하는 경험중심 미술교육 수업지도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95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615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