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현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채영
Issued Date
2021
Keyword
교육, 미술 교과서, 입체 표현,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Abstract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learning in art and education builds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and a structural sense of balance in three dimens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Through this, it is an important area for developing a moral person with values that enabl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xpression, the discovery of the self, understanding the values of others, and enjoying the aesthetic values of nature and sculpture.Currently, all middle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re compiled according to the art curriculum. These art textbooks are used in middle school classes to help create learners' works, to enhance their aesthetic abilities and perspective, and to realize and materialize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art and curriculum to enable systematic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ereoscopic represent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three-dimensional area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representation, present improvements in the content system and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design guidance plans to develop better art education.
To this end, among the art field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the weight, content, and reference plates of each area occupied by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hree-dimensional expression units focused on three-dimensional education were compared. In this wa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each textbook, the actual condition of the textbooks was identified and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 three-dimensional education was considered.
The process of research is as follows.
I.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ders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tructure and representation of the art curriculum, and th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of the three-dimensional domain.
III. I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 analysis, the textbook was first classified, the three-dimensional field was examined, the titl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ection were analyzed by publishers, and the form, method, phenotype, materials, production process, materials, and tools were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contents and procedures, we felt the need to improve the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learning content and the composition of the plaque in the expression are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ree-dimensional area accounts for a small portion of the expression area. It is mainly composed of planar expressions such as painting and drawing, so a balanced unit composition is needed.
Second, the learning content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units was fragmented.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concept learning, the learning content of both units should be properly constructed and presented.
Third, there is a lack of representation materials and reference drawings of the production proces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Fourth, it presents a variety of materials in three-dimensional expression education, but lacks the composition of expression activities.
Fifth,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ctivities mainly focus on individual activities, so learners lack cooperative activities.

Looking at these results, limited expression activities and reference editions of art textbooks lack the effectiveness of three-dimensional expression education. It seems that abundant and diverse expression activities and reference plates are needed for desirabl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education. Therefore, based on the improvements in current art textbooks,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proposed to become an effective class.
1. In order to efficiently organize and guide the traditional and modern learning of the expression area, the first class presented traditional and modern theoretical lectures, and in the second and fifth classes presented expression activities, the techniques presented in the two sections were properly.

2. In order to supplement the individual activity-oriente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book,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was constructed to make it efficient for learners by presenting cooperative activities.
3.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is organized to broaden the expression experience by presenting topics that are not presented in the textbook and areas that are incomplete in the composition of expression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have various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of learners will be actively taught through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learning by organizing the contents of art textbooks variously and appropriately and supplementing the deficiencies with professor-study guidance.|미술과 교육에서의 입체 표현 학습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 발달과 입체의 구조적인 균형감각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창조적 표현능력 함양과 자아를 발견하고 타인의 가치관을 이해하며, 미적 감성을 풍부하게 하여 자연 및 조형의 미적 가치를 향유 할 수 있는 가치관을 지닌 도덕적인 사람으로 육성하는데 중요한 영역이다.
현재 중학교에서 시행하는 모든 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술 교과서 또한, 미술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편찬되었다. 이러한 미술 교과서는 중학교 수업에 활용되어 학습자의 작품을 창작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미적 능력과 안목을 증진 시켜 주며,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적을 실현하고 구체화하여 체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 표현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현영역의 입체 영역을 분석하여 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구성의 개선 내용을 제시하고, 지도 방안을 설계하여 더욱 나은 미술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제시한 미술 분야 중 입체 교육을 중점으로 다룬 전통 조소 단원과 현대의 입체 표현 단원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별 비중과 내용, 참고 도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의 실태를 파악하여 현 중학교 미술 교과서 입체 교육의 효율성 문제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범위에 관해 서술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계와 표현영역 내용과 입체 영역의 학습 내용 및 교육 방법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 2015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에서는 먼저 교과서를 분류하고, 전체 표현영역에서 입체 영역의 비중을 살펴보았으며, 단원의 제목,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출판사 별로 분석하였고, 교과서에서 제시한 표현 형태, 표현 방법, 표현 형식, 표현 재료, 제작 과정 및 재료와 용구 설명 도판 제시 여부, 현대의 입체 표현 단원의 도판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과 절차를 통해 표현영역의 입체 표현 학습 내용 및 도판 구성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느꼈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영역에서 입체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비하다. 주로 평면 표현인 회화, 드로잉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균형 있는 단원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전통 조소 단원과 현대의 입체 표현 단원의 학습 내용이 단편화되었다. 이론적 개념 학습이 부족함으로 두 단원의 학습 내용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 재료와 제작 과정의 참고 도판이 부족하다. 넷째, 입체 표현 교육에 있어서 재료의 다양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표현 활동 구성이 부족하다.
다섯째, 입체 표현 활동은 주로 개인 활동을 위주로 제시하여 학습자의 협동 활동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보면, 미술 교과서의 제한된 표현 활동과 참고 도판으로는 입체 표현 교육의 효과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입체 표현 교육을 위해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 활동의 구성과 참고 도판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현행 미술 교과서의 개선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이 되기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1. 표현영역의 조소 단원의 전통과 현대 학습 내용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지도하기 위해 교수-학습 지도안을 1차시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이론적 강의를 제시하였으며, 2~5차시의 표현 활동에서는 두 단원에서 제시한 기법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표현 활동을 제시하였다.
2. 교과서의 개인 활동 중심 학습 활동을 보충하기 위해 협동 활동을 제시 함으로써 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이 되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3. 학습자의 다양한 입체 표현 활동이 되도록 교과서에서 제시하지 않은 주제와 표현 활동 구성에 미비한 분야를 제시하여 표현 경험을 넓혀 주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의 내용을 다양하고 적절하게 편성하고, 부족한 부분을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보충함으로써 입체 표현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성과 개성을 신장과 입체 표현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에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he Expression Area in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and Study on teaching methodology.:The focus on three-dimensional area
Alternative Author(s)
Kim, Chae-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익모
Awarded Date
2021-08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ⅵ
국문초록 ⅶ
ABSTRACT ⅹ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2장 미술 교과 표현영역의 이론적 배경 및 내용 4
제1절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4
1. 2015 개정 교육과정 4
2.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7
3.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표현영역 11
제2절 표현영역의 입체 영역 이해 15
1. 표현영역 및 조소의 개념 15
2. 표현영역의 입체 영역 교육내용 및 방법 17

제3장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현영역의 분석 22
제1절 출판사별 표현영역의 조소 단원 분석 22
1. 표현영역의 조소 단원 비율 분석 22
2. 표현영역의 조소 단원 내용 분석 23
제2절 출판사별 표현영역의 조소 단원 참고 도판 분석 39
1. 전통 조소 단원 도판 분석 40
2. 현대의 입체 표현 단원 도판 분석 45

제4장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현영역의 입체 영역 개선 및 지도 방안 연구 48
제1절 현행 미술 교과서 입체 영역의 개선 내용 48
1. 편중화된 학습 내용 개선 48
2. ‘표현 활동’의 구성 개선 50
3. 제작을 위한 다양한 참고 도판 제시 56
제2절 현행 미술 교과서 입체 영역의 수업 지도안 연구 58
1. 조소의 전통과 현대 알아보기 교수-학습 지도안 62
2. 우리의 감정을 입체 액자로 표현해 보자! 교수-학습 지도안 68
3. 우리 동네 만들기 교수-학습 지도안 71
4. 다 함께 설치작품 만들기 교수-학습 지도안 74

제5장 결론 78

참고문헌 8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채영. (2021).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현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9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02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8-27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