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정서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산하
Issued Date
2021
Keyword
상위정서철학, 정서적 상호작용, 내러티브
Abstract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effect of meta emotional philosophy on the emotional interaction of couples and on the emotional interaction of parents-children and familie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a narrative exploration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ow parents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infancy wh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creas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or four pairs of parents with children aged between 3 and 6 years of age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 Meta-motion Interview" produced by Gottman and colleagues (1991), referring to the parent's upper emotional philosophy questionnaire composed by Park Ji-sun (2016) and the emotional interaction scale (Kim Jung-hee, 2012).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ver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had difficulty accepting the negative emotions of their infant children, unlike when they naturally expressed emotions with their own beliefs. He failed to look at the child's emotions as emotions, tried to explain and educate them cognitively, or failed to understand the child's emotions from an adult's point of view and reduced or changed the subject.
Second, due to the unconscious nature of emotions, parents' rational thinking easily collapsed in front of the child's anger and crying, causing him to react agitated and impulsively to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Furthermore,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infants beyond logic made it more difficult for parents to control their emotions and act emotionally. In addition, parents accepted their children's emotion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Parents did not accept their children's emotions more when they felt negative, and reacted inconsistently.
Third, differences in beliefs about emotions influenced the way couples interact and how their children deal with emotions. The difference between husband and wife's 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made each other feel disappointed and frustrated, and it also affected the way they solved the problem.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way children were perceived and dealt with negative emotions.
Fourth, according to the mutually beneficial nature of emotions, family members constantly influenced each other. In addition,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on also affected the parents, as well as the parents' emotions and the child's emotions. Parents were either swayed by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or frustrated by the child's expression of their emotions in tears, which in turn affected the way parents handled their children's emotions.
Fifth,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ren in infancy touched their parents' unconscious feelings, and through this experience the parents realized what they had never realized before. In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parents faced constant agitation and lack of self-image, and were able to take time to reflect on why their emotions were being touched. This understanding of parents themselves l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child, which eventually created an opportunity to grow up as a parent.
This study will help to serve as the basis for parent education and family counseling programs for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본 연구는 부모 개인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 철학이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 더 나아가 가족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증가하는 유아기 시기에 부모가 어떠한 정서적 경험을 하는지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에 거주 중인 만 3세에서 만 6세 사이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4쌍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Gottman과 동료들(1991)이 제작한 ‘The meta-emotion Interview’를 토대로 박지선(2016)이 구성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질문지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 척도(김정희, 2012)를 참고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발견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는 자신만의 신념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정서를 표현해 오던 것과는 달리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를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아이의 정서를 정서로써 바라보지 못하고, 인지적으로 설명하고 교육하려 하거나 성인의 관점에서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축소 또는 화제를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정서의 무의식적 특성으로 인해 부모의 이성적인 사고는 아이의 분노와 울음 앞에서 쉽게 무너졌으며, 아이의 부정적인 감정에 동요되고 충동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들었다. 더욱이, 논리성을 벗어난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은 부모의 정서조절을 더욱 어렵게 하였으며 감정적으로 행동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부모는 개인의 심리상태에 따라 자녀의 정서를 다르게 수용하였다. 부모는 자신이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자녀의 정서를 더 수용해 주지 못했으며, 일관되지 못하게 반응하였다.
셋째, 정서에 대한 신념의 차이는 부부의 상호작용방식과 자녀의 정서를 다루는 방식에 영향을 주었다. 부부간 정서 인식과 표현의 차이는 서로에게 서운함과 답답한 감정을 느끼도록 만들었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인식하고 대처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났다.
넷째, 정서의 상호호혜적인 특성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은 끊임없이 서로에게 정서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부모의 정서가 부부의 정서와 아이의 정서에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의 정서표현 역시 부모에게 영향을 주었다. 부모는 아이의 부정적인 정서에 함께 동요되거나 아이가 자신의 정서를 울음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 답답함을 느꼈고, 이는 다시 부모가 자녀의 정서를 다뤄주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부모의 무의식적 감정을 건드렸으며, 부모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이전에는 깨닫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 속에서 부모는 끊임없이 동요되고 부족한 자신의 모습과 직면하게 되었고, 자신의 감정이 건드려지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는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부모 자신에 대한 이해는 아이에 대한 이해로 이어졌고, 결국 부모로서 성장하게 되는 기회를 만들었다.
본 연구는 자녀의 정서발달에 대한 부모교육과 가족 상담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Interaction in Famili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 Meta Emotion Philosophy
Alternative Author(s)
Lee San Ha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Department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과
Advisor
오지현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정서사회화 6
1. 유아의 정서-사회성 발달 6
2. 부모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사회성 발달 7
3.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정서-사회성 발달 8
B. 유아기의 가족 간 정서적 상호작용 경험 12
1. 부부관계와 유아의 정서-사회성 발달 12
2. 가족 간 정서적 상호작용 13

Ⅲ. 연구방법 15
A. 내러티브 탐구방법 15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15
B.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17
1. 현장에 들어가기: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 18
2.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20
3.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22
4.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23
C.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및 윤리적 고려 23
1.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23
2.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24

Ⅳ. 이야기하기 25
A. 네 가족의 이야기 25
1. A 가족의 이야기 25
2. B 가족의 이야기 29
3. C 가족의 이야기 35
4. D 가족의 이야기 40

Ⅴ. 다시 이야기하기 46
A. 가족의 정서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의미 46
1. 자연스럽게 사용하지만, 자연스럽게 다루지 못하는 46
2. 조절되지 않는 ‘정서’ 48
3. 정서에 대한 신념이 다르기에 50
4. 주고받는 ‘정서’ 51
5. 정서, 그 모호함 속에서 성장해가기 52

Ⅵ. 논의 및 결론 53

참고문헌 57

부록 63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산하.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의 정서적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9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0952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