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유리
Issued Date
202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at kind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admission officers show on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CESSR) policy, and to analyze the contextual factors of such behaviors. An admission officer, who is the main enforcer of CESSR policy, operates a university admission screening program for student selection and a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In the course of policy enforcement,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of the enforcer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olicy. Therefore, the more important the policy of enforcement site is, th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whether the enforcer complies with the policy or not and their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licy enforcement process at the university site by analyzing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on CESSR policy and the situational context. This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know how the policy is enforced by them, but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site that operates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 enforcer as admission officers, the reality of CESSR policy can be reviewed,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can be obtain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ompliance behaviors did admission officers show in the course of enforcing CESSR policy, and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ed the behaviors?
Second, what kind of non-compliance behaviors did they show in the process of enforcing CESSR policy, and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ed the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tudy was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First, ‘compliance’ was defined as the behavior of the admission officer is superficially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and guidelines of CESSR policy, and ‘non-compliance’ was done as that of the admission officer isn’t superficially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and guidelines of the policy. In addition, the types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intentional compliance’, ‘unintentional compliance’, ‘unintentional non-compliance’, and ‘intentional non-compliance’, using the theory of Sorg(1983), which combines external behaviors and internal intention. More detailed behavior patterns were embodied using the theories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n analysis using qualitative data was conducted. This enables in-depth understanding and in-depth analysis of real phenomena. The main data sources of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uxiliary data sources were don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20 with 11 admission officers selec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theoretic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 of Seidman(2006)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researcher.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mission officers showed compliance behaviors of ‘acceptance’ and ‘revision attempts’ with the intention of complying with CESSR policy, while though they did not inten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showed ‘formal compliance’ and ‘paper compliance’. Specifically, when they intende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accepted the policy as it was, and in situations where it was difficult to follow the policy, they showed the behavior to comply with the policy with an ‘attempt to revise’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In the intentional compliance behaviors like this, the coercion of policy, the influence of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university, and the hope of the policy worked as common factors. However, in the revision attempt behaviors, the lack of enforceable resources and the disadvantages that the university would face worked as the contextual factors that forced them to try to revise.
Meanwhile, even though they did not intend to comply with the policy, they showed unintentional compliance behaviors to the policy. They showed ‘formal compliance’ in which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ir enforcement did not correspond to the actual policy goals and guidelines, and they formally enforced the policy, and ‘paper compliance’ in which they seemed to comply with the policy only on paper by inflating their performance. These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excessive work, lack of resources,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need for policy. In addition, the coercion of a policy, the influence of financial support projects, essential result reporting, and formal monitoring also served as contextual factors.
Second, though admission officers had no intention of not complying with CESSR policy, they showed some unintentional non-compliance behaviors, doing “adding” and “subtraction” to the policy. In addition, they showed non-compliance behaviors, such as ‘delay’, ‘discretionary change of policy’, and ‘attempts to cancel or change policy’ with the intention not to follow the policy. Specifically, they showed ‘adding’ behavior, that they didn’t comply with the policy by adding various procedures or materials while performing work, and ‘subtraction’ behavior, the unintentional behavior, that they didn’t comply with the policy by reducing procedures or contents. These behaviors were caused by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olicy by admission officers and where they had to enforce the policy despite the lack of enforcement discretion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re was also an intentional non-compliance behavior of admission officers, who intended to disobey the policy. That is, they showed the behaviors of ‘delay’, that they postpone the introduction or change of policy guidelines, ‘discretionary change of policy’, that they arbitrarily change the goals, contents and targets of policies to suit their own convenience, and ‘attempts to cancel or change policies’, that they try to change or eliminate the policy itself. The reasons they showed these behaviors were due to frequent changes in policy, negative perception of the need for policy, and a conservative and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excessive work, insufficient resources, lack of executive capacity and motivation, unclear policy guidelines, distrust of the policy itself, and relatively large discretion also acted as contextual factor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level’, ‘organizational structure level’, and ‘policy level’ affected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These characteristics had different effects on admission officers’ compliance with or disobeying the policy.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at the individual level included ‘work of admission officers’, ‘personal ability’, ‘identity recognition’, and ‘degree of discretion’. The characteristics a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evel included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university’ and ‘work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at the policy level included ‘the coercion of CESSR policy’,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These characteristics each affected admission officers, acting as contextual contexts which made them show different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even under similar condi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the suggestions of policy and for further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ggestions at admission officer level are as follows:
1) Measures to secure expertise should be discussed so that admission officers can properly enforce CESSR policy. 2) An environment must be created that can increase their motivation. 3)Concrete plans are needed to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olicy.
Next, policy suggestions at the institutional level are as follows:
1) Systematic studies and sufficient discussion are need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CESSR policy. 2)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evaluation method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CESSR. 3) As each university has a different situational and structural context, understanding of it needs to be preceded, and policies are need to be promoted. 4) A bottom-up approach to university admission policy is necessary in order to spread CESSR policy and to lead to successful results.
Seco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are as follows:
1) Researches are needed for admission officers working at the universities in various regions. 2)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on the factors of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of admission officers. 3) Follow-up researches are needed to see how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f admission officers have affected the actual policy performance.|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하여 입학사정관이 어떠한 순응 및 불응 행태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행태의 맥락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주요 집행자로서 학생선발을 위한 대입전형과 정부의 재정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정책집행과정에서 집행자의 순응(compliance)과 불응(non-compliance)은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집행현장이 중요한 정책일수록 집행자의 순응·불응 여부와 행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와 상황적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대학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집행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입학사정관에 의해 정책이 어떻게 집행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대입제도를 운영하는 대학 현장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입학사정관이라는 주요 집행자의 관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실제를 조망할 수 있고, 대입제도 개선과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집행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은 어떠한 순응행태를 보이며, 행태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집행과정에서 입학사정관은 어떠한 불응행태를 보이며, 행태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은 무엇인가?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 논의를 통한 연구의 배경지식을 제시하고 분석틀을 수립하였다. 먼저, ‘순응’은 입학사정관의 행동이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내용, 지침과 표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불응’은 입학사정관의 행동이 정책의 내용, 지침과 표면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순응·불응 행태 유형은 외현적 행동과 내부적 의사를 결합한 Sorg(1983)의 이론을 활용하여 ‘의도적 순응’, ‘비의도적 순응’, ‘비의도적 불응’, ‘의도적 불응’으로 구분하였으며, 보다 세부적인 행태 유형은 선행연구들의 이론을 활용하여 구체화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 자료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실제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심층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의 주요 자료원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보조적인 자료원은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의도적 표집 및 이론적 샘플링을 통해 선정한 11명의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자가 수립한 분석틀을 토대로 Seidman(2006)의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따를 의도를 가지고 ‘수용’과 ‘수정시도’의 순응 행태를 보인 반면, 정책에 따를 의도는 없지만 순응하는 ‘형식적 순응’과 ‘서류상 순응’의 행태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입학사정관은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정책을 그대로 받아들여 ‘수용’하고 있었으며, 정책을 따르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교육부나 대교협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수정을 시도’하여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의도적 순응 행태에는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대학의 관료적 구조, 정책의 소망성이 공통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만 수정시도 행태에는 집행가능한 자원 부족과 대학이 받게 될 불이익이 어쩔 수 없이 수정을 시도하게 된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정책에 순응하는 비의도적 순응행태도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은 집행한 내용이나 결과가 실제 정책의 목표나 지침에 맞지 않고 형식적으로 집행하는 ‘형식적 순응’의 모습과, 실적을 부풀려 서류상에서 정책에 순응한 것으로 나타나는 ‘서류상 순응’의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행태에는 과도한 업무, 자원 부족,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와 함께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필수적인 결과보고와 형식적인 감시도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입학사정관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불응할 의도가 없지만 정책에 ‘더하기’와 ‘빼기’를 하면서 비의도적인 불응의 모습을 일부 나타냈고, 정책에 따르지 않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지연’, ‘정책 임의 변경’, ‘정책 취소·변경 시도’라는 불응 행태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입학사정관은 정책에 불응할 의도가 없으나 업무를 수행하면서 각종 절차나 자료를 추가하여 정책에 불응하는 ‘더하기’와, 절차나 내용을 축소하여 불응하는 ‘빼기’ 의 비의도적 불응 행태를 나타냈다. 이러한 행태는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 집행 재량과 자원이 부족함에도 정책을 집행해야 하는 상황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불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도적 불응 행태도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은 정책지침을 새로 도입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미루는 ‘지연’, 정책 목표, 내용, 대상을 자신의 편의에 맞춰 임의로 변경하는 ‘정책 임의 변경’, 정책 자체를 변경하거나 없애버리려는 ‘정책 취소·변경 시도’ 행태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행태를 보이는 이유에는 정책의 잦은 변화, 정책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보수적이고 경직된 조직문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과도한 업무, 부족한 자원, 집행능력 및 의욕 부족, 명확하지 않은 정책지침, 정책 자체에 대한 불신, 상대적으로 많은 재량도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에는 ‘개인적 차원’, ‘조직구조 차원’, ‘정책 차원’의 특성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입학사정관이 정책에 대하여 순응하거나 불응하는 데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개인적 차원의 특성에는 ‘입학사정관의 업무’, ‘개인적 능력’, ‘정체성 인식’, ‘재량권 정도’가 포함되며, 조직구조 차원의 특성에는 ‘대학의 관료적 구조’와 ‘근무환경’이 포함되었다. 정책 차원의 특성에는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강제성’, ‘재정지원사업의 영향력’, ‘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은 입학사정관에게 각각 영향을 미쳐 유사한 조건에서도 서로 다른 순응·불응 행태를 나타내게 하는 상황적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입학사정관 차원의 정책적 제언이다. 1) 입학사정관이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제대로 집행할 수 있도록 전문성 확보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2) 입학사정관의 의욕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3)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도적 차원의 정책적 제언이다. 1)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체계적인 연구와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2)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방법과 정성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3) 각 대학이 처한 상황적, 구조적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고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4)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을 확산시키고 성공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대입정책에 대한 상향식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지역의 대학에 근무하는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입학사정관의 순응과 불응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3)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가 실제 정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Admissions Officers'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Behaviors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Policy
Alternative Author(s)
Jeong YuRi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송경오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8
가.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개념 및 도입배경 8
나.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의 추진 과정 12
2. 입학사정관에 대한 이론적 논의 21
가. 입학사정관의 업무와 근무환경 21
나. 입학사정관을 바라보는 관점 25
다. 입학사정관에 대한 선행연구 33
3. 정책집행자의 순응·불응행태에 대한 이론적 배경 38
가. 정책집행자의 순응과 불응의 개념 39
나. 정책집행자의 순응·불응 행태 유형 43
다. 정책집행자의 순응·불응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라. 교육정책 집행자의 순응·불응 행태에 대한 선행연구 60
4. 분석틀 64

Ⅲ. 연구방법 69
1. 연구 절차 69
2. 연구 자료 72
가. 면담 자료 72
나. 문헌 자료 78
3. 자료 분석 78

Ⅳ. 분석결과 81
1. 입학사정관의 순응 행태 81
가. 수용 81
나. 수정시도 89
다. 형식적 순응 93
라. 서류상 순응 101
2. 입학사정관의 불응 행태 106
가. 비의도적 불응: 더하기 106
나. 비의도적 불응: 빼기 113
다. 지연 118
라. 정책 임의 변경 124
마. 정책 취소·변경 시도 131
3. 종합 논의 136
가.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차원의 특성 136
나.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구조 차원의 특성 142
다.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차원의 특성 145

Ⅴ. 결론 153
1. 요약 153
2. 제언 157
가. 정책적 제언 157
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62

참고문헌 16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유리. (2021). 학생부종합전형 정책에 대한 입학사정관의 순응·불응 행태 분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82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3211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