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화영
Issued Date
202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y if self-resilience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purposes, the specific qu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What were the general tendencies of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was the difference in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 What was the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of the subjects?
4) What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relating to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relating to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surveyed 280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wangju city using a questionnaire. This study used the mental health problem diagnosis test for adults developed by NIA(2011). To meas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used the tool Allen and Mayer(1990) developed, Gwon Sun-Oh(2001) adapted and Gang Ji-Young(2009) modified and adjust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nderstand self-resilience, this study used the tool consisting of 29 self-report type questions developed and validated by Klohen for the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CPI), adapted by Park Hyon-Jin(1997) and used by Bae Milinae(2014).
To analysed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used a SPSS 23.0 and conducted a frequency test, a descriptive analysis, a t-test, an ANOVA, a Scheffe post-hoc analysis, a Pearson's correlations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according to age, marriage and final education as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bjects. As they were older and married, and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hey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of the research results relat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not matched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sampling metho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the subjects belonged to.
Second, when the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looked 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of the subjects and all of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ndicates that as the subjects had better mental health, they would hav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lso higher. That is, it was understood that higher self-resilience had positive inter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whe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looked at in respect to the effects the subjects' mental health ha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al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mental health had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as for the effects the subjects' mental health ha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resili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As better mental health and higher self-resilience had effects on young children's emo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ubjects, their influenc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efforts to promote mental health and self-resilience are needed.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contain contents that can promote mental health and self-resilience for mor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mental health had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resilience had mediating effects on them.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external variabl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gave a focus on the 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self-resilience as internal variables and it provided basic data needed to suggest direction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서 근무하는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정신건강의 측정 도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성인용 정신건강문제 진단척도이며,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하여 Allen과 Mayer(1990)가 개발하고, 권순오(2001)가 번안한 조직몰입 척도를 강지영(2009)이 유아교사에 맞게 문장을 수정·보완하였다. 자아탄력성은 Klohen(1996)이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CPI)에서 자아탄력성과 관계가 있는 자기보고식 문항 29개를 구성하고 타당화하여 개발한 도구를 박현진(1997)이 번안하였고, 배미리내(2014)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ANOVA, 사후검정(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정신건강,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연령이 높고,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이, 최종학력은 대학원 수료 이상에서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는 표집 방법, 연구대상이 속해 있는 기관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몰입,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은 직무몰입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을 잘 할 수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자아탄력성에서도 조직몰입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대. 즉, 높은 자아탄력성은 교사의 직무몰입에 있어서 긍정적 상호관계를 지님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의 증진은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을 넘어 유아의 정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조직몰입이 높은 유아교사를 위하여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조직몰입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면 더 큰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정신건강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탄력성에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외적 변인의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인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는데 의미를 가지며,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Mental Health on Organizational Commit: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lternative Author(s)
LEE Hwa-Yo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Advisor
서현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정신건강 7
1) 정신건강의 개념 7
2) 유아교사 정신건강의 중요성 8
3) 유아교사 정신건강과 조직몰입도의 관계 9
4) 유아교사 정신건강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10
2. 조직몰입도 11
1) 조직몰입도의 개념 11
2) 유아교사 조직몰입도의 중요성 13
3) 유아교사의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
3. 자아탄력성 16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6
2) 유아교사 자아탄력성의 중요성 18
3)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조직몰입도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도구 24
3. 연구절차 27
4. 자료분석 28

Ⅳ. 연구결과 29
1.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의 일반적 경향 29
2.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정신건강,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의 차이 31
3.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42
4. 정신건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5

Ⅴ. 논의 및 제언 50
1. 논의 50
2. 제언 53

참고문헌 55

부록 64
부록1. 유아교사의 정신건강 검사도구 67
부록2. 유야교사의 조직몰입도 검사도구 68
부록3.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검사도구 6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화영. (2021). 유아교사의 정신건강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7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2187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