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경숙
Issued Date
2021
Keyword
유아교사, 자아탄력성, 행복감, 사회적지지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사회적지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 행복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변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2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감, 사회적지지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유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수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특히 집단 간 다중비교를 위한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p<.05)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유아교사 행복감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연령, 결혼 여부, 학력, 교육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정도는 그렇게 높은 평균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 간의 관련성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특히 동료교사와 원장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지지의 매개적 효과의 중요성을 살펴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되며, 이에 따라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speculate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euphoria and social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the relations.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what wa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uphoria?
Second, what was the influence euphoria of the subjects had on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ird, what wa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ariables on the self-resilience and euphori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on self-resilience, euphoria and social support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with the use of SPSS 23.0. To investigat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test and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test, this study obtained Cronbach’s α coefficients.
Also, to test level differences in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uphoria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is study conducted a t -test and a F test.

In particular, as a post-test for multiple comparison between groups, a Scheffé test(p<.05)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uphoria, this study calculated a Pearson's coefficient.
For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euphoria of the subjects had on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a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self-resilience and euphoria, a mediating effect test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Then to test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used a Sobel's method(1982).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an value of perception of the subjects on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uphoria according to age, marriage, education and working types was not very high.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uphoria perceived by the subjects.

Third, in respect to the relations between self-resilience and euphoria perceived by the subjects,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between fellow teachers and director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had meaning in that it speculated on the importance of mediating effects social support had on self-resilience and euphoria.
Therefore, as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in promoting euphor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ill seek diverse strategies to facilitate their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lternative Author(s)
kim kysung sook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Advisor
서현
Awarded Date
2021-02
Table Of Contents
ABSTRACT v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자아탄력성 7
1) 자아탄력성의 개념과 중요성 7
2) 자아탄력성의 특성과 구성요인 10
2. 사회적지지 11
1) 사회적지지의 개념과 중요성 11
2) 사회적지지의 구성 요인 13
3. 행복감 16
1) 행복감의 개념과 중요성 16
2) 행복감의 구성 요인 18
3) 유아교사 행복감의 관련 변인 20
4)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 22
5) 사회적지지와 행복감 간의 관계 24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연구도구 28
1) 자아탄력성 28
2) 사회적지지 29
3) 행복감 29
3. 연구절차 30
4. 자료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1.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2
2.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행복감 간의 관계 및 영향 39
3.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42

Ⅴ. 논의 및 제언 47
1. 논의 47
2. 제언 53

※ 참고문헌 55

※ 부 록 69
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검사도구 71
2.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검사도구 73
3. 유아교사의 행복감 검사도구 7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경숙. (202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73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2052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1-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