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최민경
Issued Date
2020
Keyword
중학생, 공동체 의식,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는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사회로, 공동체 사회를 이루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구성원이 하나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는 공동체 의식이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주변 사람들과 조화롭게 어울리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맺는다. 특히 학교라는 공동체는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게 되는 중요한 사회적 환경으로 작용하며,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청소년들은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조화롭게 어울리고, 협동하며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성장해나간다. 청소년들이 학교 안에서 공동체 생활을 원만하게 영위하기 위해서는 나와 더불어 살아가는 타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협동하는 자세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대의 청소년들은 과도한 학업 경쟁과 평가 중심의 교육으로 인해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경쟁적 교육 현장 속에 놓인 청소년들의 경우 개인주의 및 이기주의가 심화되어 협동적 사회성을 기르지 못할 뿐 아니라,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완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이처럼 청소년들에게 서로 함께하는 공동체 의식 함양이 결여되거나 약화된다면 고독감, 우울 및 자살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청소년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어 학교생활 및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가 이러한 문제를 양성하지 않도록 우리나라 교육환경에서 공동체 의식의 부재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중학생 시기 때부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결속력을 다지고 협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미술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타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함께 협력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 미술 수업지도방안을 연구·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공공디자인의 형성 배경 및 원칙 나타난 공동체 의식의 형성 덕목을 발견 및 제시하였으며, 공공디자인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의 특징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로 먼저 공동체 중심의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의 시작과 발전 과정을 살펴본 후, 오늘날 공동체 의식이 함양된 미술교과 수업 사례를 알아보고,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에 대한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차별성을 드러내고, 기존 연구들에 대한 시사점 및 결과를 도출하여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공공디자인 수업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은 학생들이 다양한 수업을 통해 공동체 의식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덕목을 함양할 수 있도록 3개의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 각각 총 3차시의 수업지도안으로 설계되었으며, 각 수업지도안은 미술 교과서의 공공디자인 영역 분석과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을 통해 학생 개인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환경과 공간을 연관 지음으로써 타인과 사회, 자아를 인지하는데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둘째, 공공디자인 수업 속에서의 자연스러운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개인의 의무와 책임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공동체 중심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미술이 나의 생활 가까이에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여, 미술에 대해 무관심하고 수동적으로 지나쳤던 학생들을 보다 능동적인 존재가 되게 만들고, 공공디자인이 나와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서부터 시작한다는 점에서 구성원 간의 공동체 의식을 통해 사고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다. 넷째, 이 같은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공동학급과 학급 구성원들 사이에서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경쟁의식보다는 서로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학교생활에 필요한 연대감, 조화와 단결, 자율성, 공공의식, 타인 존중 의식, 협동심, 준법정신, 봉사정신, 책임감과 같은 공동체 의식 형성덕목을 배우게 되어 학급생활 속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에서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지도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공동체 의식과 공공디자인의 연관성을 미술교과 뿐만이 아닌 타 교과에서도 활용하여 새로운 학습법을 발견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oday's modern society is a community that lives together,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building a community is the sense of community that each member is aiming for a goal. Members of the community set common goals and strive to achieve them, mingling harmoniously with the people around them and forging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e community of schools acts as an important social environment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and within the community of schools, teenagers grow up harmoniously, cooperate with others, and form various relationships. In order for teenagers to lead community life smoothly in school, it is necessary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a position to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thers living with me.

However, today's youth are finding it difficult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due to excessive academic competition and assessment-oriented education. In the case of teenagers in this competitive educational arena, individualism and selfishness have deepened, failing to develop a cooperative sociality, as well as having difficulty fulfill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Such lack or weakness of shared sense of community can lead to problems such as solitude, depression and suicide, and may lead to a negative impact such as a decline in the satisfaction of youth life and difficulty adjusting to school life and society. Therefore, we need to strengthen our solidarity and maintain cooperation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by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from the time of middle school, when the absence of a sense of community is the most common in our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ways of utilizing public design art to foster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and society, and to study and develop public design art teaching methods to foster community consciousness in cooperation with other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discovered and presented the virtues of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in public design, and conducted a prior stud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public design. First, after looking at the process of starting and developing the study on community-oriented art education, we looked at the examples of art classes where the sense of community has been fostered today, and analyzed the thesis on public design class guidance, through which the researcher also developed a public design class plan that can differentiate the existing pre-existing studies and draw implications and results for existing stud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ublic design classes for fostering community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thre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so that students could cultivate the virtue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various classes, each designed as a total of three teaching guidelines,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found in the analysis of public design areas in art textbooks and existing prior study.

Therefore,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public design class guidance for fostering community consciousness, it can have educational effect in recognizing others, society and self by associating the environment with space in everyday life of students. Second, through natural collaborative learning in public design classes, students will not only be able to improve their individu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but also form community-centered thinking. Third, by making art feel close to my life, it makes students who are indifferent and passively passable about art become more active beings, and can bring about expansion of thought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members in that public design starts from something else about my surroundings. Fourth, such classes will allow students to have a more positive influence among their co-academic and class members and learn how to solve problems through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Through this, students will learn the necessary skills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such as solidarity, harmony, unity, autonomy, public consciousness, respect for others, cooperation, law-abiding spirit, volunteer spirit, and responsibility, so that they can grow with one another positive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class guidance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improv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ublic design discus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other subjects as well as art subjects to discover and apply new learning metho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ublic Design for Humanity Cultiv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lternative Author(s)
Choi, Min gyeo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종경
Awarded Date
2020-02
Table Of Contents
제 1장 서 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제 2장 공공디자인의 형성 배경 및 원칙과 공동체 의식의 관련성 4
제 1절 공동체 의식 개념과 구성요소 4
1. 공동체의 개념 4
2. 공동체 의식 개념과 구성요소 7

제 2절 공공디자인의 형성 배경 및 원칙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15
1.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형성 배경 15
2. 공공디자인의 원칙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형성 덕목 17
제 3장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 개발 필요성과 교육현황 21
제 1절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 필요성 21
1. 공동체 의식의 붕괴 22
2. 삶의 만족도 저하 25

제 2절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교육 현황 27
1.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 27
가.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27
나. 미술교과 역량과 성격 28
다. 미술교과 내용체계 및 영역별 성취기준 30

2. 중학교 미술교과서 공공디자인 영역 분석과 시사점 34
가. 미술교과서 공공디자인 영역 분석 34
나. 교과서 분석의 시사점 46

제 3절 선행연구 분석 49
1.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의 시작과 발전과정 49
2. 공동체 의식이 함양된 미술과 수업 사례 선행연구 분석 50
3.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53
4. 선행연구 분석 결과 및 연구의 차별성 54



제 4장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 개발 56
제 1절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 설계 56
1. 수업설계 56
2. 차시별 수업계획 58

제 2절 교수-학습과정안 60
1. 우리 학교 실내 환경 꾸미기 60
2. 색과 공간을 통한 벽화 그리기 67
3. 안전한 스쿨존을 위한 조형물 만들기 75

제 5장 결론 85
참고문헌 8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민경. (2020).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공공디자인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370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0805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20-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