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가 운동중독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공석배
Issued Date
2019
Abstract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28, 2018, the citizen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in the gymnasium, cultural center, fitness and welfare center in GGC.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eople, using 5 random numbers in G metropolitan city, 2 centers in each city, and 40 centers in each center. For the 400 questionnaire retrieved, 28 items were excluded and 37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irs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exercise on participation motivation, exercise addiction,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articipants' motivation to exercise o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persistence through life sports was analyzed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은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G광역시 소재한 생활체육센터, 문화센터, 피트니스, 복지센터에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표집방법은 유층집낙표집법을 이용하여 난수표를 적용하고, G광역시 5개구, 각 구별 2개 센터, 센터별 4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400명의 설문지는 28부를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372부의 설문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첫 번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두 번째, 생활체육을 통한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에 따른 운동중독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4.0를 사용하였다.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Addi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lternative Author(s)
Gong Seok Ba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윤오남
Awarded Date
2019-08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 문제 3
4. 연구 가설 4
5. 연구의 제한점 5
6. 용어의 정의 5
가. 운동참여 동기 5
나. 운동중독 6
다. 참여지속의도 6

Ⅱ. 이론적 배경 7
1. 생활체육 7
가. 생활체육의 개념과 정의 7
나. 생활체육의 특징 8
다. 생활체육의 역할 9
라. 생활체육의 필요성 13
2. 운동중독 16
가. 중독의 개념 16
나. 운동중독의 개념 17
다. 운동중독의 유형 19
라. 운동중독의 진단기 23
3. 참여지속의도 24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조사도구 28
가. 설문지의 구성 28
나. 설문지의 신뢰도 32
3. 조사절차 35
4. 자료분석 35

Ⅳ. 연구결과 36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36
가. 성별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36
나. 연령별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38
다. 최종학력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39
라.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40
마. 운동빈도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차이 41
2. 생활체육을 통한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에 따른 운동중독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42
가. 생활체육을 통한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와 운동중독 및 참여지속의도의 상관관계 42
나.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의 상관에 대한 영향력 43

Ⅴ. 논 의 45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45
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참여 동기, 운동중독,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45
2. 생활체육을 통한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에 따른 운동중독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47
가. 생활체육을 통한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47
나.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가 운동중독 요인 중 감정적 애착, 금단증세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48

Ⅵ. 결론 및 제언 49
1. 결 론 49
2. 제 언 51

참고문헌 52

부 록 55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공석배. (2019).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운동참여 동기가 운동중독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308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7473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9-08-23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