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향토민요 분석

Metadata Downloads
Author(s)
나은지
Issued Date
2018
Keyword
향토민요, 통속민요, 민요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교과서 중 민요를 분석하여 균형적인 향토민요 교육 연구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민요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이해하며,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공통교육과정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국악내용을 고찰 할 수 있는 항목으로 ‘중학교 내용 체계’, ‘성취기준’,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14종이며, 각 교과서의 출판사는 금성, 비상교육, 세광음악, 성안당, 아침나라, 박영사, 와이비엠, 동아출판, 천재교과서, 교학사, 지학사, 미래엔, 음악과생활, 다락원이다. 먼저 출판사별 음악 교과서 민요 부분에서 향토민요와 통속민요가 적절하게 나뉘어 실려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민요의 구성현황 및 비중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과서별로 민요 제재곡 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별, 장단별, 지도내용 등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별 향토민요와 통속민요의 수록곡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는 217곡으로 통속민요는 173곡인 반면 향토민요는 44곡에 머물렀다. 또한 향토민요 중 유희요가 30곡, 노동요가 12곡, 의식요는 2곡으로 향토민요 중에서도 민요의 기능에 따라 영역별 불균형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뿐 아니라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의 편차가 크고, 교과서 마다 장단표기가 조금씩 다르게 되어 있어 학생들에게 민요 장단에 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교과서 지도 내용이 너무 획일화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향토민요는 그 음악적 가치 뿐 아니라 삶의 현장 곳곳에서 불리며 우리 민족의 가치관과 삶에 대한 태도가 반영되어 있어 사회·문화적 가치까지 지도할 수 있는 아주 훌륭한 제재이다. 이러한 향토민요가 지닌 다양한 측면의 교육적 의의를 이해하고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면, 교과를 넘나드는 통합적 교육은 물론 우리 음악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학교 교육을 통해 교과서에 다양한 악곡을 수록하여 향토민요를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학생들이 민요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계획해야 한다. 음악 교사들 또한 향토민요 수업을 위한 교재연구나 수업자료 준비를 철저히 하여 더 다양하고 풍성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이 앞으로 더 활발한 향토민요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민요교육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국악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이길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balancing local folk songs educational research by analysing folk songs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music curriculum in revision 2015 which is newly implemented on March, 2018. To perform this purpose, considering the advance research,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olk songs, and comparing the common curriculum of music in revision 2009 and 2015 were researched. Also ‘The system of content of middle school’,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music elements and concept frameworks’ were comparatively analysed as an article to consider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 are composed by 14 types, and the publishers are Kumsung, Visang, Sekwangmusic, Sungandang, Achimnara, Parkyoungsa, YBM, Dongapublishing, Chunjae, Kyohaksa, Jihaksa, Mirae-n, Eumakgwasaenghwal, and Darakwon.
First of all, the present condition and relative importance of folk songs were irradiated to realize that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have been appropriately reported in each publishers of the music textbooks. Also folk songs were examined by the textbooks, and classified by regions, rhythms, and contents of guidance.
In consequence, the numbers of containing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have high deviance. Among 217 folk songs which are contained in all of the music textbooks, there are only 44 local folk songs, while 173 popular folk songs are contained. Also unbalance by functions of folk songs was found where are only 2 livelihood songs, when 30 entertaining songs, 12 working songs are contained. In additional, students can be confused about rhythms of folk songs by the high deviance and the difference in each textbooks.
Local folk songs are the excellent material to supervising not only the musical values, but also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which reflects the national value and the attitude to the life by sang in many places. Local folk songs can be an important background to understanding and studying the essential of our music by deeply understanding the various educational meanings and teaching efficiently at school. To do so, many chances to learn local folk songs should be provided by containing various musics in the textbooks and school education, and the class that various activities are syntagmatically composed should be planned, so that students participating local folk songs class with more interest and attention. Also music teachers should extensively prepare a study of teaching and teaching material for local folk songs class to make it more variety and plentiful.
Anticipate that this thesis will make the local folk songs class more lively, and be used by not only the folk songs education more efficient, but also a base line data for the education of Korean music.
Alternative Title
Local Folk Songs Analysi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lternative Author(s)
Na Eun Ji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조정은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3. 선행연구의 고찰 3

II. 민요의 이론적 배경 13
1. 민요의 개념 및 특징 13
2. 민요의 분류 23

III.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내용 28
1. 신 · 구 교육과정의 비교 28
2. 내용체계 30
3. 성취기준 32
4. 음악요소와 개념 체계표 35

IV. 중학교 음악교과서 민요 분석 36
1. 교과서의 구성 36
2. 교과서의 민요 수록 37
3. 교과서의 민요 장단별 분류 47
4. 교과서의 민요 지도내용 49
5. 음악교과서의 향토민요 분석 79
6. 향토민요 교육적 활용 방안 81

Ⅴ. 결론 및 제언 84

참 고 문 헌 88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나은지. (2018).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향토민요 분석.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23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993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