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환희
Issued Date
2018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2015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2018년도에 새롭게 출판되는 중학교 음악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적용됨에 따라 현재 중학교 음악교육의 목표 및 가치는 무엇이며, 이러한 내용이 교과서에 잘 반영되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했다. 현 교육과정에서 이전의 교육과정과 가장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은 총론에서 6가지 역량 제시됨에 따라 음악교과의 성격에서도 6가지 역량이 음악적 감성, 음악적 창의 융합 사고, 음악적 소통, 문화적 공동체, 음악적 정보처리, 음악 관련 자기관리 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 중 음악의 표현을 성숙시키고 음악을 생활화 하는데 도움을 주는 감상영역의 제재곡을 6가지 역량으로 분류하고 분석해보았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출판된 중학교 음악 교과서는 모두 14종이었으며, 감상영역의 제재 곡은 대부분 음악사, 음악의 형식, 연주의 형태에 따라 제시되었다. 제재곡에 해당되는 역량을 제시한 출판사와 제시하지 않은 출판사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역량을 제시한 출판사는 제시해 놓은 대로 분류하였으며, 역량을 제시하지 않은 출판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가지 역량에 대한 해설에 따라 학습 목표와 활동에서 6가지 역량을 분류하였다.
6가지 역량의 해설을 기준으로 제재곡을 분석한 결과, 감상영역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음악적 감성 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음악적 창의 융합 사고 및 음악 관련 자기관리 영역의 비율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따라, 창의 융합 사고 역량 및 음악 관련 자기관리 역량은 교사의 능력 및 영향력에 따라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역량의 수준이 달라질 것으로 보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사가 6가지 역량 요소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파악한 후,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한 수업 지도안을 설계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에서 골고루 6가지의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둘째, 교사가 감상영역의 제재곡을 통해 음악적 창의 융합 사고 및 음악관련 자기 관리 영역에 해당하며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학생들에게 제시해주어야 한다.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변화를 맞이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올바르게 시행되고 문제점이 발견된다면 교사들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어 보완되고 수정되길 바란다.|This study began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goals and values of current mus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also whether such content was well reflected on textbooks before the scheduled application of new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o be published in 2018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currently in operation to the field of school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with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curriculum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s that six capabilities are proposed for the nature of the music subject according to the six capabilitie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They include musical sensitivity, creative and integrated musical thinking, musical communication, cultural community,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music-related self-management. The study thus used these six capabilitie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pieces introduced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o help the students develop maturer musical expression and make music a part of their daily life among the content systems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There were total 14 types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The textbooks presented most of the pieces in the area of appreciation according to the music history, forms of music, and types of performance. Some of the publishers covered the capabilities concerning a piece being introduced, whereas others did not. The investigator categorized the capabilities just the way that they were presented by the publishers and us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s of the six capabilities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o categorize six capabilities for the publishers that did not present capabilities concerning a pie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iec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six capabilitie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musical sensitivity was the highest overall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and that musical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music-related self-management recorded a low percentage.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can cultivate different levels of musical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music-relate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abilities and influences of their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e investigator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teachers should understand and grasp the six capability elements accurately before designing a lesson plan fit for the level of their students and help them develop the six abilities evenly in lessons.
Secondly, teachers should conduct ongoing research on activities that belong to the domains of musical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music-related self-management and are accessibly by students during a lesson through the pieces in the area of appreciation, as well as present the results to their students.
Facing changes according to the shift in educational paradigms,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ill be hopefully implemented the right way in the field of education. If problems are found with the Curriculum, they will be hopefully supplemented and revised based on the reflection of teachers' voices on policies.
Alternative Title
An Analytical Study on Appreciation sec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15
Alternative Author(s)
Kim Hwan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박재연
Awarded Date
2018-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4
3. 선행연구의 고찰 5

II. 음악과 교육과정 10
1. 교육과정의 변천 10
2.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 비교 15

III. 현행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 분석 26
1. 제재곡의 역량 분류 기준 26
2. 제재곡의 역량 비율 28
3. 교과서별 역량 분석 35

IV. 결론 및 제언 82

참 고 문 헌 84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환희. (2018).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207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830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8-08-24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