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생활체육광장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덕희
Issued Date
2017
Keyword
생활체육, 지도행동유형, 수업만족도,지속참여
Abstract
ABSTRACT

(An)effect of leadership types of the Square Leaders of Sports-for-All on class satisfaction and sustained participation intention


Kim Deok-hee
Advisor : Prof. Lm Ji-hyeong Ph.D.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Recentl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derived people’s leisure time in a healthy athletic lifestyle. Also promote the low-income and people, enabling health promotion and expansion of the sport for locals to enable the participation of sport for older people, from teenagers to retirees, including. This is creating harmony residents induction and healthy cultural environment. But life sports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life and athletic performance such as the participants themselves are important, but the will of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s bound to b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leader’s acting.
In other words, the instructor’s behavior affects th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status and class sport for participants, and the instructor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port for the participants because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uration or abandonment of the sport for particip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of the instructor’s behavioral styles of living Sports, aimed at Seogu Distric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o suggest the policy measures to enable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leisure sports programs.
This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living in the leisure sports programs.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specific to the participants of the leisure sports programs and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in Gwangju in the Seogu Distric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did not appea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behavior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alyzed age, occupation, average time to exercise, etc.
The results of the type of instructor’s behaviors are as follows; the first, training order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e second,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cratic behavior and participation rate, the third, social support ac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income, participation period, the forth, authoritaria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inco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in frequency, the fifth, reward positiv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e.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classes lasting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income, participation dura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etc. showed a significant result, but gender, age, and job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Seco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guidance of behavior in lessons and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instructor’s action especially, sub-factors type of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rian patterns of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typ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These results showed that instructor’s behavior is the important antecedents to class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behaviors and ongoing engagement and the type of instructor’s action especially, sub-factors type of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rian patterns of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type had affected ongoing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training order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did not affect the continued participation.
Fourth,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class satisfaction and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Sport for all. Class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inued participation. This result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lessons are important antecedents to the continued participation.
By the above results, the will of the participants themselves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perform on the Sport for all for participants, but, the type of instructor’s leadership behaviors is also important to participants. Therefore, instructor’s leadership has been affecting the new engagement, participation continued, and the abandonment of physical activity on Sport of all.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have the limitation of the scope of research area, unabling of the understanding level of non-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and not suggest an alternative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uture study is needed to comparative study with the entire country and Gwangju, as well as the western region of Gwangju. Second,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sptort fo all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proceeding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with the program. Third, it is need to identify the instructor’s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continued participation, then, it is require the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continued participation.

|Ⅴ. 결론

A. 요약

본 연구는 생활체육광장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지속참여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생활체육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두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중 지역 광장생활체육의 참여자들을 분석대상으로 특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으로 분석대상으로 적합하지 않는 설문지 47부를 제외한 261부를 유효 표본으로 하여 통계패키지 SPSSWin(Ver.18.0)을 분석도구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증은 요인분석으로 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로 하였다.
타당성 검증과 관련하여 KMO(Kaiser-Meyer-Olkin) 측도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0.7이상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지도자 행동유형별 요인분석 결과는 0.771, 수업만족도와 지속적 참여 요인분석 결과 0.718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설문지 신뢰도를 검증을 위한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 검사 결과 신뢰도 계수는 .711부터 .916으로 나타나 설문지 구성에 있어서 신뢰도 계수는 적절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결과 상관계수도 p<0.01, p<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차이에서 연령, 직업, 평균운동시간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훈련지시행동은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민주적 행동은 학력과 참여빈도에서, 사회적지지 행동은 학력, 소득, 참여기간에서, 권위적 행동은 학력, 소득, 참여기간, 참여빈도에서, 긍정적보상 행동은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와의 관계에서는 학력, 소득, 참여기간, 참여빈도 등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지만 성별, 연령, 직업, 평균운동시간 등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수업만족과의 규명한 결과 광장생활체육 지도자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민주적행동유형, 권위적행동유형, 긍정적보상유형은 참여자들의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장생활체육지도자 지도행동유형은 수업만족도에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광장생활체육지도자 지도행동유형과 지속적인 참여와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광장생활체육지도자 지도행동유형인 하위요인은 민주적행동유형, 권위적행동유형, 긍정적보상유형 지속적인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으며, 훈련지시행동유형, 사회적지지행동유형은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장생활체육에 참여자들은 수업만족도와 지속적인참여와이 관계를 규명한 결과 참여자들의 수업만족도 지속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만족은 지속참여에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생활체육에 대한 이해와 수행능력 등은 참여자 자신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의해 생활체육 참여자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에 따라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은 생활체육활동에의 신규참여, 참여지속, 그리고 중도포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광장생활체육에의 새로운 참여 혹은 현재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꾸준히 참여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유형 중 민주적행동, 권위적행동, 긍정적보상 유형들을 유념하면서 지도를 한다면 더 많은 지역주민들에게 여가시간을 건전한 생활체육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체육 활성화를 통한 주민 화합 유도 및 건전한 문화여건 조성은 물론 국민들의 건강증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B. 제언

본 연구는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의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에 기초해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연구대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에 거주하고 있고 현재 광장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에 한정하여 조사·분석하였기 때문에 일반 국민들로 일반화시키는데 한계성과 지역적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본 연구 대상을 현재 광장생활체육 참여자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비참여자들에 대한 비참여의 이유, 향후 참여의사여부 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해 일반인들의 생활체육에 대한 이해도 수준을 파악할 수 없었다.
셋째, 광장생활체육 구성원의 하나인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위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본 논문이 광주광역시 서구지역 뿐만 아니라 광주광역시, 더 나아가 전국을 대상으로 한 단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광장생활체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수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물론 기타 다른 생활체육프로그램들과의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
셋째, 광장생활체육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일반인들의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의도 관계를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Alternative Title
(An)effect of leadership types of the Square Leaders of Sports-for-All on class satisfaction and sustained participation intention
Alternative Author(s)
Kim Deok-hee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Advisor
임지형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모형 및 가설 4
1. 연구의 모형 4
2. 연구의 가설 5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생활체육의 개념 6
1. 생활체육의 개념 6
2. 생활체육의 필요성과 특징 9
B. 생활체육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12
1. 생활체육 지도자의 이해 12
2. 생활체육 지도자의 지도행정유형 15
C. 수업만족도 19
1. 수업만족의 개념 19
2. 수업만족도의 결정 변인 22
D. 지속참여의도 24
1. 지속참여의도의 개념 24
2. 운동 지속참여 의도의 결정 요인 26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조사도구 35
1. 설문지 작성 및 구성 35
2.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37
C. 자료처리 42
1. 빈도분석 42
2. SPSSWin(Ver. 18.0)을 활용한 분석 4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4

A. 연구결과 44
1.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4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행동 유형과 수업만족도 및 지속참여 47
3. 가설검증 56
B. 논의 60
1.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지도자행동유형, 수업만족도와 지속참여의도와의 관계 60
2.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수업만족과의 관계 61
3.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지속참여와의 관계 61
4. 광장생활체육지도자의 수업만족과 지속참여와의 관계 61

Ⅴ. 결론 62

A. 요약 62
B. 제언 64

참고문헌 66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덕희. (2017). 생활체육광장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지속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6086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054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