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 Author(s)
- 서정희
- Issued Date
- 2016
- Abstract
- Korea's integrated education started from 1970s and in the early 1980s and as it is expanding,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that support integrated education are increasing as well. According to a statistical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s Annual Report of 2015, from 1 class in 1971 the number of spacial classes increased in number to 355 in 1980, 3,181 in 1990, 3,802 in 2000, 7,792 in 2010 and 9,868 in 2015. There are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at integrated education brings positive outcome not only to disabled students but also to non-disabl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receive education with their classmates who go through conventional development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and learn appropriate behaviors of that age from their classmates. This enhances their re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development of their sociality and allows non-disabled students to enhance wrong perceptions on disabled students. Non-disabled students can also accept the diversities of each individual and their differences, thus having the opportunity to grow into a mature citizen. (Odom & McEvoy, 1990; Brown & Bergen, 2002).
For a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to take place, there are many various programs being proceeded to change perceptions of disabled stud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bu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among these are lessons through textbooks during a regular curricular lesson. The reason is that all students can receive a systematic and linked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 literature curriculum, there are many academic curriculum designed to change perceptions of the disabled, and through this students can accept the diversities in others and have positive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m so that they can grow into a mature citizen.
This research analyzes disability-related materials in a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n 2009 to aim for the practice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ties in order to enhance the attitude towards accepting disabled people.
Research subject are extracted terminologies from classical literature, narrative literature, theater literature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curriculum of 2009, to recognize the degree of perception towards the disabled. Also, the types of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to see what types of disabilities were being dealt with the most. Also, the revised textbooks of 2009 and the 7th high school curricular literature textbook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changes in disability-related materials and attitudes towards accepting di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59 literary works with disability-related termionology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 books of 2009, which was conspicuously higher than 14 works in the 7th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s.
To categorize the commonly seen disabled people in the works, the most common disability was physical disability (approximately 52%), next was visual handicap (approximately21%), next was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 15%), hearing disorders(approximately6%), and communica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 4%).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the most common disability was physical disability (approximately 37%), the second common disability was visual hadicap (approximately 17%), next was communicational disorders (approximately15%), health disorders (10%), intellectual disability (approximately 7%), in 6th place was hearing disorder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learning disorders, and the least common disability was autistic disorders (0%).
After analyzing the reasons of disabilities to innate disabilities and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the case of innate disabilities were 18 works, with the ratio of approximately 58.06%, and there were 13 works depicting thos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ith the ratio of approximately 41.94%.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of 2009, innate disabilities were approximately 55%, and acquired disabilities were approximately 45%, almost similar to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Next, the perception towards the disabled was analyzed.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 books of 2009, disabled people were mostly seen as subjects to "sympathy and charity", which was the same for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However, the fact that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of 2009, the perceptions towards the disabled have diversified than the past should be recognized. Lastly, there were no works that illustrated disabled people as an always optimistic person in the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but in the revised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 of 2009, there were 6 works contained such as 「착한 사람 문성현, showing a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related perceptions.
The similarities of the revised literary textbooks of 2009 and 7th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curriculum are that they do not deal with more divers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re are more works picturing prejudices of the non-disabled towards the disabled, rather than illustrat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disabled. Consequently, this research could work as a basi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disability types as work material, and also to include more works that depict the disabled as an always optimistic person, should the future literature textbooks be revised. Also, through this, it could contribute for right disabled perceptions for the disabled, and also for the non-disabled to escape from the negative and prejudiced views towards the disabled.
|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시작된 우리나라 통합교육이 점차 확대되면서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특수학급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육부의 2015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1971년 1개 학급에서 1980년에 355개 학급, 1990년에 3,181개 학급, 2000년에 3,802개 학급, 2010년에 7,792개 학급, 2015년에 9,868개 학급에 이르기까지 급증하였다. 통합교육은 장애학생에게는 물론 비장애학생에게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는 선행연구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장애학생은 통합교육 환경에서 전형적 발달을 하는 또래들과 함께 교육을 받음으로써 또래들의 연령에 적합한 행동을 습득하고 인지, 의사소통 능력, 사회성의 발달이 촉진되며, 비장애학생에게는 그릇된 장애 인식을 개선하도록 도와주고 개인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Odom & McEvoy, 1990; Brown & Bergen, 2002: 조소이, 2014 재인용).
성공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교육현장에서는 비장애학생 대상에게 여러 가지 다양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정규교과시간에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통한 장애이해 교육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체계적이고 연계적인 장애이해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학 교과목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인식 개선을 위한 교과내용이 편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인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갖게 하여 건강하고 성숙한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드러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장애 수용 태도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 실천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서정 문학, 교술 문학, 서사문학, 극 문학에서 장애 관련 용어를 추출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장애유형을 분류하여 어느 유형의 장애의 내용을 더 많이 다루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비교하여 장애 관련 내용과 장애 수용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용어를 사용한 문학 작품의 수는 총56편으로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의 총14편과 비교하면 그 작품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장애인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 1위는 지체장애(52%), 2위는 시각장애(21%), 3위는 정서·행동장애(15%), 4위는 청각장애(6%), 5위는 의사소통장애(4%)이었다.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는 1위가 지체장애(37%), 2위는 시각장애(17%), 3위는 의사소통장애(15%), 4위는 건강장애(10%), 5위는 정신지체(7%), 6위는 청각장애, 정서·행동장애, 학습장애, 7위는 자폐성장애(0%)의 순이었다.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실린 등장인물의 장애 발생의 원인을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진 경우는 총 18편으로 약 58.06%의 비율을 보였고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은 인물을 묘사한 작품은 총 13편으로 약 41.94%의 비율을 보였다.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 선천적 장애는 약 55%, 후천적 장애는 약 45%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 장애인을 ‘동정과 자선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공통된 점이었다. 그러나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이전과 달리 다양화되었다는 점이 현저하게 눈에 띄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교과서에서는 장애인을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으로 설정한 작품들이 한 편도 수록되어 있지 않았지만, 2009 개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는 「착한 사람 문성현」 등 총6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장애 인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상의 2009 개정 문학교과서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비교 분석결과 공통점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에 관한 내용을 소재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는 점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장애인의 삶의 자세를 다루는 주제 보다는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시혜적인 내용을 다루는 작품의 수가 더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향후 문학교과서의 수정 및 개편 시 다양한 유형의 장애유형을 소재로 다루며,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으로 묘사된 장애인의 모습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문학 교과서에 더 많이 수록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근거자료로 사용되는 바탕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비장애인에게 올바른 장애인관을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되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편견에 치우친 시각을 조금이나마 벗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Alternative Title
- An Analysis on the contents Related Disabilities in the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s - focused o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 Alternative Author(s)
- SEO JUNGHEE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Advisor
- 허유성
- Awarded Date
- 2016-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4
2.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발달과정…………………………………………8
3. 장애이해 교육 ………………………………………………………10
4. 문학 교과서를 통한 장애 이해교육 ……………………………………13
5.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20
1. 연구 대상 ……………………………………………………………20
2. 내용 분석 기준 ………………………………………………………21
3. 연구절차 ……………………………………………………………25
Ⅳ. 연구결과 …………… ………………………………………………26
1. 장애 관련 용어 ………………………………………………………26
2. 장애유형………………………………………………………………32
3. 장애발생 원인 ………………………………………………………39
4. 장애인에 대한인식 ……………………………………………………43
Ⅴ. 결론 및 논의…………………………………………………………48
참고문헌 …………………………………………………………………52
부 록 ……………………………………………………………………55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서정희. (2016).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91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243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6-02-25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