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교사-유아 관계에 따른 시각장애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 특성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미경
Issued Date
2013
Abstract
이 연구는 교사-유아의 관계에 따라 시각장애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시각장애학교 12개교의 유치원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58명의 시각장애유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로 발송하였고 응답 또한 우편과 이메일로 회수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58부 중 회수하지 못했거나 모든 문항에 같은 점수를 부여하는 등의 불성실한 응답을 한 8부를 제외시켜 최종 50부(86.2%)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들이 교사-유아의 관계,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질문에 평정하는 방법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유아는 교사와 관계가 친밀할수록 자발적이고 즐겁게 놀이에 참여한다. 그리고 교사와 시각장애유아가 친밀하고 갈등이 적을수록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이며, 다른 사람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사회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하지만 교사와 친밀하고 의존적인 시각장애유아는 사회적 표현성이 낮으며, 갈등관계일 때 사회적 표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연령과 경력은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는 유의미한 영향은 주지 않았다. 셋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시각장애유아의 성별에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으나 시각장애유아가 3세인 경우보다 4세인 경우가 교사와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은 연령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중복장애보다 전맹과 저시력의 경우에 교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높은 놀이성을 보이고, 사회성 발달 정도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시각장애의 남아와 여아 모두 교사와 관계가 좋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이 더 높았고, 다른 사람과 더 친밀하며, 높은 사회적응성을 보였다. 시각장애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3세~5세 유아 모두 교사와 높은 관계 수준을 유지할 때 사회성이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각장애유아가 전맹과 저시력의 경우에는 교사와 관계가 좋을수록 신체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이 활발히 일어났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전맹의 경우에는 사회적응성이, 중복장애의 경우에는 표현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교사와 원만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가질 때 시각장애유아가 놀이를 통하여 더 활발히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능력을 습득해 나감을 알 수 있다.|In this study, teacher - was investigated how the playfulness of social blind infant would change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children. For this reason,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isually impaired infants of 58 people to target 19 people a kindergarten teacher of visually impaired school 12 schools nationwide.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also recovered in the e-mail and mail sent by e-mail and mail. By excluding the 8 parts that made ​​a bad faith response, such as to give the same score to all questions, or not collected at 58 parts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as analytical materials 50 parts of the final (86.2%) was used. Questionnaire, teacher visually impaired special school, the kindergarten teacher - were selected how to calm the question of infant relationship, playfulness of the infant, about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infant.
It is as follows: research results. First, visually impaired infants, to participate in the fun and play as intimate a spontaneous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as the conflict is less blind infant teachers and intimate, is active in social activities, for example, to maintain a more intimate relationship with others, adaptability of society is high. However, the social expression of the intimate blind infant-dependent teachers and low, in the case of a conflict relationship, I can be social power of expression is high. Second, the carrier and the age of the teacher, teacher of the visually impaired infant -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yfulness infant relationship and infant, the society of the infant. Third. Teacher -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gender playfulness of infant relationship and infant, the blind infant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t in the case of 4-year-old, and teachers than blind infant is 3 year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aintaining a relationship of better and. The play of social development of the inf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 In addition, it can be said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the case of low vision and blind than multiple disabilities, shows a high game of,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society also high. Fourth , the more good , playfulness of the infant has a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of both the girl and leave the visually impaired , and are more familiar with other people , and showed high social adaptability . Knowing that it is a social development as the age of the blind infant is high , affect results in more of the play of young children ,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of both the infant of 3 to 5 years of age I was able . And , in the case of low vision and blind , as good , cognitive spontaneity and physical spontaneity happened to actively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visually impaired young children. In addition , teacher - higher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is high, in the case of blind , in the case of multiple disabilities , social adaptability , was found to have a high impact most expressive . We conclude , when you have a relationship of harmonious and positive teacher , it can be seen that through the play , blind infant interact more actively , to go to learn social skills .
Alternative Title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Infants in the Relationship Teacher-Infant
Alternative Author(s)
Youn, Mi-Kyo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과
Department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Advisor
정은희
Awarded Date
2014-02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ⅲ
ABSTRACT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시각장애유아의 정의 및 특성 9
2.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관계 12
3. 시각장애유아의 놀이성 발달 16
4. 시각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 21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도구 27
3. 연구절차 31
4. 자료처리 32

Ⅳ. 연구결과 34
1.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 34
2. 교사의 연령과 경력에 따른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차이 37
3. 시각장애유아의 성별·연령별·시각장애유형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차이 40
4. 교사-유아 관계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시각장애유아의 성별·연령별·시각장애유형별 차이 43

Ⅴ. 논의 62
1.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 62
2. 교사의 연령과 경력에 따른 시각장애유아의 교사-유아 관계,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차이 64
3. 시각장애유아의 성별·연령별·시각장애유형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차이 65
4. 교사-유아 관계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시각장애유아의 성별·연령별·시각장애유형별 차이 66

Ⅵ.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2
부 록 7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윤미경. (2013). 교사-유아 관계에 따른 시각장애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 발달 특성.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65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223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