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시간개념에 관한 연구
- Author(s)
- 최유리
- Issued Date
- 2013
- Keyword
- 시간개념, 유치원 생활
- Abstract
- 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문제해결능력이 부족함을 느끼게 되어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유아의 시간개념을 활동안에 넣어 계획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시간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연구 자료를 찾아 보았으나 자료가 부족하여 교수-학습방법을 찾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시간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2012년 3월 5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전남 N시의 C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시간개념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알아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 생활에서 유아의 시간개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유아기는 성인과 다른 시간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유아기 시간개념은 네 가지로 나뉘어 살펴볼 수 있었다.
시간의 구성하기는 시간을 통해서 논리적 사고가 발달되어지면서 사건의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경험으로 시간의 순서 짓기는 유아가 유치원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활동들의 일과 패턴을 경험하면서 유아의 감각적 직관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알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적 시간 알아가기는 유아가 속한 문화속의 시간적 용어습득을 유아는 나이가 키와 비례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자신의 나이는 변하지 않고 주변인들의 나이는 변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마직막으로 주기적인 시간패턴 예측하기는 유아가 미래 활동을 예측함에 있어 모든 활동을 유추하여 말하기 보다는 유아가 경험했던 주기적 시간패턴을 통대로 비슷한 시간- 날짜 혹은 요일- 안에서 활동을 예측하여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 유치원 생활에서의 시간개념이 유아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유치원 생활에서 시간개념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는 유아 개인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 속에서 생존하여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노력으로 자신의 불안한 심리를 해소하는 요소로 작용하였고 더불어 유아 자신의 생활을 계획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에서 비롯된 갈등상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기 사고의 특징을 바탕으로 유아의 일상생활에서 반복된 경험들의 패턴이 쌓여감에 따라 유아가 시간개념을 알아가는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시간개념은 유치원 생활에서 유아가 쉽게 적응하며 지낼 수 있는 도구가 되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시간개념을 형성해 주기 위해서는 교사-유아, 유아-유아간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역할 그리고 물리적 환경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As lack of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children was found in kindergarten,
it was planned to put time concept of children in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such capabilities. Although the researcher tried hard to find previous studies and other supporting materials to help them to understand time concept, it was very difficult to find desired materials and teach children with the identified teaching-learning method. From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ere 5-year-old children in C kindergarten in N city in Chollanam-do. The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about time concept of children in their lives in kindergarten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achieving such a goal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young children’s concepts of time in their life in kindergartens?
In childhood, they have different concept in time from adults and their time concept can be classified as constructing time order, ordering times of experiences, knowing cultural time, and predicting periodical temporal patterns.
Constructing time order was observed when they developed logical thought and then understood causal effect relations between events. In ordering times of experiences, young children got used to flow of time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periodical repetitive patterns of routines and their sensual intuitions. In knowing cultural time that is related with children’s acquisition of temporal terms within the culture they belong to. Young children though that age could be different in proportion with height and they thought that their own ages were not changing but surrounding people’s ages were. In predicting periodical temporal patterns, it was found out that rather than talking about every activity by analogy in their prediction of future activities, young children predicted and spoke of their activities in similar time―dates or week days―based on the periodical temporal patterns they had experienced.
Research Question 2. What does time concept in their lives in kindergartens means to children?
The meaning that time concept gave to children in the lives in kindergarten acted as an element to resolve unstable psychology as an effort for an individual to survive and sustain in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and they used it as a tool to plan their live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t enhanced the capabilities of children to resolve various conflicts in everyday life.
As patterns of repetitive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of children are being accumul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of children, children can acquire the concept of time. Time concept composed as such becomes a medium for children to be adjusted to kindergarten liv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children and children-children, roles of teachers and physical environments would be very important to let children have time concept.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Children's Concepts of Time in Their Life in Kindergarten
- Alternative Author(s)
- Choi, Yu-Ri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대학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Advisor
- 서현
- Awarded Date
- 2013-08
-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유아기 시간개념 4
B.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9
A. 연구방법 9
B. 연구 장소와 연구대상 10
C. 자료 수집 및 분석 19
Ⅳ. 연구 결과 20
A. 성인과 다른 유아의 시간개념 20
B.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시간개념 24
C. 유아에게 가지는 시간개념의 의미 52
Ⅴ. 논의 및 제언 61
A. 논의 및 결론 61
B. 제언 66
참고문헌 68
부록 72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대학원
- Citation
- 최유리. (2013). 유치원 생활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시간개념에 관한 연구.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6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043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