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서영
Issued Date
2013
Keyword
AAC, 중도중복장애, 의사소통, 스크립트
Abstract
모든 사람은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며 중도·중복장애애아동도 예외가 아니다. 중도·중복장애아동들은 감각, 운동, 인지, 행동상의 제한으로 인해 언어발달이 지체되거나 손상되어있다. 그들의 제한된 언어는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제한하며 이는 곧 활동과 참여의 제약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중도·중복장애아동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에 통합되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에게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실제적인 적용이 많은 연구를 통해 강조되어왔다. 중도·중복장애아동들에게 적절하고 체계적인 의사소통중재를 제공한다면 그들의 가정, 학교, 지역사회 사람들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함께 생활하는 교사가 평소에 자발적 의사소통시도를 거의 하지 않는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여 학생의 의사소통행동빈도와 의사소통행동유형별 빈도를 증가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의 지적장애, 지체장애아동을 위한 사립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이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스크립트활동은 간식 먹기, 로션 바르기, 그림책 보기, 그림 그리기이며 이 활동들을 매일 10분간 1개씩 돌아가며 16회기동안 실행하였다. 중재 직후 담임교사와의 일반화검사를 3회기 실시하였으며 유지검사는 중재 종료 4주 후에 학생별로 3회기동안 실행하였다. 기초선 부터 유지단계까지의 모든 실험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였으며 학생들의 의사소통행동의 형태별 빈도를 관찰하여 사건기록법으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활동에서 연구참여학생 모두의 의사소통행동빈도가 증가하였고 유지되었으나 일반화되지 않았다.
둘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로 인해 의사소통행동의 형태별 빈도가 변화되었다. 모든 학생의 비구어적 행동 빈도는 중재를 통해 증가하였고 일반화되지 않았으나 유지되었다. 모든 학생의 발성빈도는 중재를 통해 증가하였고 일반화되지 않았으며 학생 A와 C는 유지되었으나 학생 B는 유지되지 않았다. 모든 학생의 사진카드빈도는 중재를 통해 증가되었으나 일반화 되지 않았으며 유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중도·중복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AAC중재는 대화상대자와의 친밀한 관계일 경우, 구조적인 중재일 경우, 아동이 선호하는 활동일 경우,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강화할 경우 의사소통 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중재를 통해 증가한 학생들의 의사소통행동이 일반화되지 못한 결과는 중도·중복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AAC 중재에 ‘자연스러운 맥락에서의 중재’, ‘대화상대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촉진훈련 실행’, ‘실험환경의 통제’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록 일반화 되지는 못하였지만, 세 명의 중도·중복장애아동에게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실시하는 것이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It is inherent nature of human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his is also true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often exhibit delayed or suspended language skill development due to their limited sensory skill, motor skill, awareness, or proper behavioral skill. Their limited language skill can restrict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environment, which results in the limitation in their participation to cooperative activities. However,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es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ssistiv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would help th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so that they can relish their lives within society they belong. By providing proper and structur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It is possible that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an involve in effective interaction with other members in their families, school, or local society.
Thus, in this study, the teachers conduct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picture board based on script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rarely engage in proactive communication attempt, and observe if the intervention would increase the frequency of proactive communication attempts as well as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modes.
For this study, we select three middle-school students from a private special school for children with mind retardation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Chung-Chung-Do, and the intervention is conducted based o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the subjects.
The script activitie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eating snacks, applying lotion, reading picture books, and drawing. Each activity was performed 10 minutes every day for sixteen times.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three generalization examinations were performed with supervising teacher, and maintaining examination was performed four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Entire study process from the initial to maintaining stage was captured by digital photography, and observed frequencies for communication modes were recorded based on event record metho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ry student participated in the study exhibit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y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intervention based on script, but generalization has not been observed.
Second, there were variations on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modes due to the picture communication board intervention based on script. Every student exhibited increase in non-vocal communication by the intervention and this trend was maintained but not generalized. Every student exhibited increase in vocalized communication by the intervention and this trend was not generalized. increased vocalized communication of the Students A and C was maintained but student B wasn't maintained. Every student exhibited increase in picture card frequency were increased and maintained but not genera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AC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structured, preferred activity by children, an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s increased once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with familiar communication partner with emphasis on non-vocal communication. The reason for failed generalization is analyzed due to the structured language intervention, change in communication partner variables, or individual health issue of children.
These results exhibit that AAC intervention can improve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 when:
- The childre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cation partner.
- The intervention is focused on practical communication within daily activity.
- The intervention promotes children’s interest.
- The intervention is systematic.
The result tha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of students could not be generalized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nclude ‘natural way of intervention’,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training’, ‘restriction of experimental environment’ in the AAC Intervention.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icture board interven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for the thre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even though the results are not generalized.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Based on scripts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lternative Author(s)
Seo-young Cho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Advisor
김정연
Awarded Date
2013-08
Table Of Contents
목 차

논문개요 ⅷ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의사소통의 정의 8
2. 중도중복장애아동 교육 14
3.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교육 23
4.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중재 선행연구 34


Ⅲ. 연구방법 40
1. 연구참여자 40
2. 사전검사도구 42
3. 실험기간 44
4. 실험장소 45
5. 실험도구 45
6. 실험설계 47
7. 관찰 및 측정 51
8. 관찰자간 신뢰도 52
9. 중재충실도 53
10. 사회적 타당도 54
Ⅳ. 연구결과 55
1. 스크립트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에 의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 발생빈도의 변화 55
2. 스크립트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에 의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 형태의 변화 61

Ⅴ. 논의 및 제언 70
1. 논의 70
2. 제한점 82
3. 제언 83
참고문헌 84
부록92
ABSTRACT 111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서영. (2013).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631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016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3-08-22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