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오광수
- Issued Date
- 2011
- Abstract
-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함으로써 중학교 체육수업의 운영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현재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선정하였고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1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3문항, 체육수업 재미요인 22문항, 체육수업몰입 23문항, 체육수업 만족도 16문항 등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재미요인의 차이는 성취성, 유능성, 교사지도력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몰입과 수업만족도는 모든 요인(자기목적적경험, 과정통합,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피드백)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보면, 유능성은 1학년이 2,3학년보다 높았고, 2학년은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지도성은 2학년이 1,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자율성과 성취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몰입의 차이를 보면, 자기목적적경험은 1,2학년이 3학년보다 높았으며, 행동과 의식의 일치는 1,2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과정통합, 내용몰두, 구체적피드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수업환경은 1학년이 2,3학년보다 높았으며, 수업지도는 2학년이 1,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내용과 수업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운동수준별에 따른 재미요인의 차이를 보면, 자율성과 성취성은 중․상급 수준이 초급수준보다 더 높았고, 유능성은 상급수준, 중급수준, 초급수준의 순으로 높았으나, 교사지도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몰입의 차이를 보면, 모든 요인(자기목적적경험, 과정에의 통합, 내용에 대한 몰두, 행동과 의식의 일치, 구체적피드백)에서 상급수준, 중급수준, 초급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수업효과는 상급수준, 중급수준, 초급수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환경, 수업내용, 수업지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목적적경험에는 자율성, 교사지도력, 유능성, 성취성의 순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과정통합에는 성취성, 유능성, 교사지도력, 자율성의 순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내용에 대한 몰두에는 유능성, 성취성, 교사지도력, 자율성의 순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행동과 의식의 일치에는 유능성, 자율성, 성취성, 교사지도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피드백에는 유능성, 자율성, 교사지도력, 성취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업환경에는 성취성과 교사지도력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자율성과 유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는 교사지도력, 성취성, 자율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유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업효과에는 성취성, 교사지도력, 유능성, 자율성의 순으로 모두 영향을 미쳤고, 수업지도에는 교사지도력, 자율성, 성취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유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업환경에는 자기목적적경험과 과정통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피드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업내용에는 내용몰두, 과정통합, 행동의식일치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자기목적적경험, 구체적피드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업효과에는 내용몰두, 자기목적적경험, 행동의식일치, 과정통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피드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수업지도에는 자기목적적경험, 과정통합, 구체적피드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njoyment fact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middle school on class flow and satisfaction, and present useful data for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to middle schools in Gwangju were sampled with uses of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315 except those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as an analysis instrument was composed of a total of 67 questions as follows: 3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22 ones on enjoyment of physical education, 23 ones on class flow, and 16 ones on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procedure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results are presented:
First, differences in fun, class flow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in respect to enjoyment in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 achievement, capability and teachers' ability of boy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 students when they enjoyed the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between them. Class flow and satisfaction of boy students were higher in all the factors( autotelic experience, process integration, content flow,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and specific feedback).
For the differences in enjoyment according to grades, competence of the first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and that of the secon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ird graders. For instructive ability of teachers, the second graders had higher consciousness on it than that of the first and third grad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tonomy and achievement between them. For class flow, autotelic experience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ird graders, and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ird grad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ss integration, content flow, and specific feedback between them. In respect to class satisfaction, satisfaction on class environment of the first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s and effects of class.
On the other hand, for enjoyment according to exercise levels, autonomy and achievement of intermediate and upper gra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beginners, and capability was the highest in upper level followed by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ability. For class flow, autotelic experience, process integration, content flow,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and specific feedback were the highest in the upper level followed by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For the satisfaction, class effect was higher in the upper,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in a good or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environment, contents and instruction.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enjoy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class flow. Specifically, in autotelic experience, enjoyment had an effect on autonomy, teachers' ability, competence, and achievements. In process integration, enjoyment had an effect on achievements, competence, teachers' ability, and autonomy. In content flow, enjoyment had an effect on competence, achievements, teachers' ability, and autonomy. In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enjoyment had an effect on competence, autonomy, achievements and teachers' ability. In specific feedback, enjoyment had an effect on competence, autonomy, teachers' ability and achievements.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enjoyment had an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Specifically, in respect to class environment, enjoyment had an effect on achievements and teachers' ability,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competence and autonomy. In respect to class contents, it had an effect on teachers' ability, achievements and autonomy except competence. In respect to class effect, enjoyment had an effect on achievements, teachers' ability, competence and autonomy, and in class instruction, it had an effect on teachers' ability, autonomy, and achievements except competence.
Fourth, its was discovered that class flow had an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Specifically, class flow had an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and process integration,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content flow,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and specific feedback. In respect to class contents, it has an effect on content flow, process integration and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and specific feedback. In respect to class effect, it has an effect on content flow, autotelic experience,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and process integration except specific feedback. In respect to class instruction, it has an effect on autotelic experience, process integration, and specific feedback except content flow and matching of behavior with consciousness.
- Alternative Title
- The effects of middle school`s P.E. class enjoyment on flow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 Alternative Author(s)
- Oh, Gwang Soo
- Affiliation
- 조선대학교
- Department
-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Advisor
- 김응식
- Awarded Date
- 2012-02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문제 4
4. 연구변인 5
5. 연구 가설 6
6. 연구의 제한점 7
7.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체육 8
가. 체육의 성격 8
나. 체육의 목표 9
2. 학교체육의 기본방향 9
가. 학교체육의 기본 방향 9
나. 학교체육의 범위와 역할 10
다. 중학교 체육의 성격 10
3. 재미요인 11
가. 재미의 개념과 스포츠의 재미 11
나. 육감적 즐거움과 재미의 관계 12
4. 수업몰입 13
가. 학습몰입의 개념 13
나. 몰입의 특징 16
다. 몰입과 수업의 효과 18
5. 수업만족도 20
가. 만족도의 개념 20
나. 수업만족도 20
다. 수업만족도의 결정변인 21
Ⅲ. 연 구 방 법 23
1. 연 구 대 상 23
2. 조 사 도 구 23
가. 예비검사 24
나. 설문지의 구성 24
다. 설문지의 타당도 26
라. 설문지의 신뢰도 30
3. 조 사 절 차 31
4. 자 료 분 석 31
Ⅳ. 연 구 결 과 32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차이 32
가. 성별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의 차이 32
나. 학년별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차이 34
다. 운동수준별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차이 46
2.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58
가.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자기목적적경험에 미치는 영향 59
나.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과정통합에 미치는 영향 60
다.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내용에 대한 몰두에 미치는 영향 60
라.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행동과 의식의 일치에 미치는 영향 61
마. 체육수업 재미요인과 구체적인 피드백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62
3.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3
가.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64
나.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내용에 미치는 영향 64
다.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효과에 미치는 영향 65
라.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수업지도에 미치는 영향 66
4. 수업몰입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7
가. 수업몰입이 수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68
나. 수업몰입이 수업내용에 미치는 영향 69
다. 수업몰입이 수업효과에 미치는 영향 70
라. 수업몰입이 수업지도에 미치는 영향 70
Ⅴ. 논 의 72
Ⅵ. 결 론 80
참고문헌 82
부록 87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Citation
- 오광수. (2011).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50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56925
-
Appears in Collections:
- Education > 3. Theses(Master)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Open
- Embargo2012-02-02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