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광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 및 인지도 조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연아
Issued Date
2010
Keyword
전통음식|세계화|인지도|대학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 일부 지역 대학생 341명(남 : 133명, 여 : 208명)을 대상으로 남도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남도전통음식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음식, 남도전통음식의 계승․발전에 대한 인식, 남도전통음식의 기호도와 섭취빈도,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 남도전통음식 중 세계화에 적절한 음식과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방안을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19-20세 29.6%, 21-24세 54.3%, 25세 이상 16.1%로 21-24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주거상태는 자택이 71.0%, 친척집 17.9%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가족구성은 핵가족이 92.7%로 높았다. 초․중․고 시절 성장지역은 도시가 84.2%이다. 전라남도 거주연한은 20년 이상이 50.6%, 15-20년 이상이 22.6%로 4년 이하 7.6%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 달 용돈은 20-3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남도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남도전통음식의 관심은 ‘보통’정도의 관심을 나타났고, 남도전통음식을 알게 된 경로는 매스미디어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01) 남도전통음식의 섭취장소는 일반식당이 높게 나타났고 단체급식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남도전통음식의 판단기준은 맛, 영양, 위생, 가격,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남도전통음식의 우수성은 음식의 종류가 많고 조리법이 다양하다는 인식이었으며 성별, 연령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남도전통음식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음식으로는 밥․죽류 (산채비빔밥, 대통밥 등), 김치류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등), 구이류 (떡갈비, 굴비구이 등), 국․탕류 (추어탕, 곰탕 등)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남도전통음식의 계승․발전에 대한 인식으로는 남도전통음식의 계승•발전이 ‘보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계승․발전하는데 어려운 점으로는 대중성 부족 46.0%와 복잡한 조리방법 21.1%로 인식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남도전통음식을 계승․발전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향토음식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5. 남도전통음식의 기호도는 전체적으로 주식류 2.10±0.45점, 부식류 1.98±0.40점, 후식류 2.11±0.54점으로 ‘보통이다’ 이상으로 남도전통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기호도는 밥․죽류의 선지육회비빔밥(p<0.001)과 은어죽(p<0.001)이 국․탕류의 추어탕(p<0.001), 용봉탕(p<0.01), 곰탕(p<0.01), 갈낙탕(p<0.01)이 찜․선류의 홍어어시육(p<0.01), 죽순찜(p<0.05), 애저찜(p<0.001)이 조림류의 붕어조림(p<0.05)이 구이류의 낙지호롱(p<0.01)이 회류의 꼬막회(p<0.05), 홍어회(p<0.05), 삼합회(p<0.05)가 부각 ․튀김류의 육포(p<0.001)가 젓갈․식혜류의 진석화젓(p<0.01)이 음청류의 구기자차(p<0.01)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기호도는 밥․죽류의 산채비빔밥(p<0.05), 대통밥(p<0.001)이 국․탕류의 추어탕(p<0.01), 갈낙탕(p<0.05)이 전골․볶음․찌개류의 마늘종볶음(p<0.001), 말린풋고추볶음(p<0.001)이 구이류의 낙지호롱(p<0.05)이 전류의 표고전(p<0.001), 대합전(p<0.001), 풋고추전(p<0.001)이 나물․무침류의 머위나물(p<0.001), 죽순채(p<0.001), 더덕생채(p<0.001)가 장아찌류의 감장아찌(p<0.05), 마늘장아찌(p<0.05), 매실장아찌(p<0.01)가 김치류의 미나리김치(p<0.05)가 젓갈․식혜류의 진석화젓(p<0.01), 참게장(p<0.01)이 음청류의 유자화채(p<0.05)가 연령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남도전통음식의 섭취빈도는 주식류 1.91±0.70점, 부식류 2.10±0.63점, 후식류 2.01±0.76점으로 3달 1회 이상(3점) 이하로 일 년 중 4회 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에 따른 섭취빈도는 국․탕류에서 추어탕(p<0.01), 곰탕(p<0.001)이 찜․선류에서 홍어어시육(p<0.05)이 회류에서 삼합회(p<0.05)가 부각․튀김류에서 육포(p<0.01)가 삼합회를 제외하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섭취빈도는 밥․죽류에서 대통밥(p<0.001)이 국․탕류에서 갈낙탕(p<0.01)이 전골․볶음․찌개류에서 말린풋고추볶음(p<0.001)이 전류에서 표고전(p<0.01), 풋고추전(p<0.01)이 나물․무침류에서 더덕생채(p<0.05)가 회류에서 꼬막회(p<0.05), 장아찌류에서 마늘장아찌(p<0.01)가 젓갈․식혜류에서 진석화젓(p<0.05)이 25세 이상 그룹에서 가장 높은 섭취빈도를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으로는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가능성에 대해서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남도전통음식을 세계화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주체는 매스컴이라고 인식하였다.

8. 남도전통음식 중 세계화에 적절한 음식으로는 성별에 따르면 남학생은 떡갈비, 산채비빔밥, 참게장이 여학생은 산채비빔밥, 떡갈비, 대통밥 순으로 인식하였다. 연령별로는 19-20세 그룹은 산채비빔밥, 떡갈비, 곰탕을 21-24세 그룹은 떡갈비, 산채비빔밥, 대통밥 순으로 25세 이상 그룹은 산채비빔밥, 떡갈비, 대통밥 순으로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전체적으로 떡갈비, 산채비빔밥, 대통밥, 곰탕, 참게장, 갓김치를 높게 인식하였고, 감장아찌, 표고전, 집장, 감단자를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9.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인식으로는 남도전통음식을 세계화하는데 가장 적절한 형태로는 퓨전화 35.9%, 지역적 전통성 고수 32.6%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였고(p<0.01) 21-24세 그룹이 19-20세와 25세 이상 그룹보다 높게 인식하였으며(p<0.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도전통음식을 세계화하는데 개선할 점으로는 조리법의 간편화와 짜고 매운 맛 줄이기라고 인식하였으며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가장 우선해야 할 점으로는 전통음식과 관련된 문화행사 개최와 홍보라고 인식하였다. 현지에 맞는 차별화된 메뉴개발에 필요한 점으로는 다양한 상품구성과 제품의 고급화라고 인식하였다. 1인당 남도전통음식의 적정가격은 5천원-1만원 미만이라고 인식하였다. 홍보의 가장 효과적인 경로로 매스컴(TV, 라디오 등)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남도전통음식의 교육의 기회를 증가시켜야 하고, 남도전통음식이 발전하는데 매스미디어(TV, 라디오 등)를 활용하여야겠다. 또한 남도전통음식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밥․죽류 중 산채비빔밥, 대통밥, 구이류 중 떡갈비를 추천한다.|This study interviewe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on Namdo traditional food, their eating frequency and preferences, globalization and general considerations using a questionnaire, targeting students who are attending to a university in Gwangju.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globalization of Namdo traditional foo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subjects showed 'middle-level' attention to traditional food, and knew it through mass-media. They usually eat traditional food in restaurants, but rarely in cafeteria. They usually judge on food based on taste, and consider it as superior because its kinds and how to make it are various.
They suggested the most representative Namdo traditional foods are rice, gruel, Kimchi and roasted meat and fis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considered succession and development the traditional food have been developed in middle level, and pointed out that they have not been publicly recognized They recognized that the most necessary thing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ditional food is publicity of outstanding traditional food
Their preferences of the food are above middle level as presented as follows: 2.10±0.45 points for main dish, 1.98±0.40 points for side dishes, and 2.11±0.54 points for desserts
They eat it less than four times a year as follows: 1.91±0.70 points for main dish, 2.10±0.63 points for side dish, 2.01±0.76 points for desserts. They recognized traditional food can be globalized because it is nutritionally outstanding and the subject of globalization was mass communication.
They recognized traditional food can be globalized because it is nutritionally outstanding and the subject of globalization was mass communication..
They recognized that good traditional food for globalization are Teokkgalbi, Sanchae Bibimbop, Daetongbap, Gomtang, Chamgejang, and Gatkimchi, but pickled persimmon, mushroom Bindaetteok, Jipjang, and Gamdanja.
They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style of globalization was fusion food, simple recipe is needed. and the most urgent things to be dealt with are organiza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event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Gwangju City for Globalization of Namdo Traditional Food
Alternative Author(s)
Kim, Youn Ah
Affiliation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김복희
Awarded Date
2010-08
Table Of Contents
목 차

ABSTRACT ··································································· ⅳ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이론적 배경 ·······················································3
제 1 절 전통음식의 이론적 배경·································· 3
1. 남도전통음식 ·····························································3
가. 남도전통음식의 종류 ············································3
나. 남도전통음식의 특징 ············································4
제 2 절 전통음식에 관련된 선행연구 ·········································10

제 3 장 연구내용 및 방법···················································13
제 1 절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13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13
1. 남도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13
2. 남도전통음식 기호도와 섭취빈도 ·······································14 3.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14
4. 인구통계적 특성 ························································14
제 3 절 자료분석 ····························································15

제 4 장 연구결과 및 고찰 ·················································16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제 2 절 남도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18 1. 남도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18
2. 남도전통음식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음식 ·····················22
3. 남도전통음식의 계승·발전에 대한 인식 ·······························24 제 3 절 남도전통음식의 기호도 ············································28 1. 주식류 ···································································30
2. 부식류 ···································································32
3. 후식류 ···································································41
제 4 절 남도전통음식의 섭취빈도 ··········································43 1. 주식류 ···································································45
2. 부식류 ···································································47
3. 후식류 ···································································55
제 5 절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57
1.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 ···································57
2. 남도전통음식 중 세계화에 적절한 음식 ································60
3.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 방안 ············································62

제 5 장 요약 및 제언 ·······················································67


참 고 문 헌 ··································································· 71
설 문 지···································································75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연아. (2010). 남도전통음식의 세계화에 대한 광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 및 인지도 조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5269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40128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0-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